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고신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고신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6 (4 등급)
◈ 오제본기 10
곡은 고신으로 일컫고 황제의 증손자이다. 고신의 아버지는 교극이라 일컫고 교극의 아버지는 현효라고 일컬었으며, 현효의 아버지는 황제라고 일컬었다.
황제(皇帝) # 고신 # # 교극 # 현효
목   차
[숨기기]
 

1. (원문)

帝嚳高辛者, 黃帝之曾孫也。 高辛父曰蟜極, 蟜極父曰玄囂, 玄囂父曰黃帝。 自玄囂與蟜極皆不得在位, 至高辛卽帝位。 高辛於顓頊爲族子。
 
 

2. (음역)

제곡고신자, 황제지증손야。고신부왈교극, 교극부왈현효, 현효부왈황제。 자현효여교극개부득재위, 지고신즉제위。고신어전욱위족자。
 
 

3. (국역)

곡은 고신으로 일컫고 황제의 증손자이다. 고신의 아버지는 교극이라 일컫고 교극의 아버지는 현효라고 일컬었으며, 현효의 아버지는 황제라고 일컬었다. 현효와 교극은 모두 제왕에 자리에 오르지 못했고, 고신에 이르러 제왕에 즉위하였다. 고신은 전욱에게는 조카가 된다.
 

 
 

4. (주석)

1. 곡(嚳) - 1-009-주석5 참고.
 
2. 고신(高辛) - 1-009-주석4 참고.
 
3. 황제(黃帝) - 1-001-주석1 참고.
 
4. 교극(蟜極) - 고신의 부친으로 제왕의 자리에 오르지 못했다.
 
5. 현효(玄囂) - 1-007-주석5 참고.
 
6. 전욱(顓頊) - 1-007-주석15 참고.
 
7. 족자(族子) - 조카(侄兒).
황제(皇帝) # 고신 # # 교극 # 현효
【저작】오제본기 10
(게재일: 2012.10.25. (최종: 2017.10.12. 18:04))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 동음이어
(용어) 고려, 조선 시대에 행해진 고문 제도. 당시에는 혐의자의 자백이 있어야만 형벌을 내릴 수 있었기 때문에 법률적으로 고문을 허용하였다. 형추·신추라고도 한다.
(용어) 지난날 관직을 받은 사람에게 주는 임명장. 직첩이라고도 한다. 고려와 조선 시대 모두 벼슬의 등급을 아홉 등급으로 나눴으나, 고신 서식은 약간 다르다.
제곡 고신씨(帝嚳高辛氏)은 중국 고대의 신화상의 제왕이다. 상나라 시조 탕의 조상으로 알려져 있으며, 전욱의 뒤를 이어 제위에 올랐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