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대통령
자 료 실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2020년 4월
2020년 4월 8일
환경부 보도자료
(공동-참고)제4차 비상경제회의 개최 -「수출 활력 제고방안」 발표 -
2019년 9월
2019년 9월 8일
자유한국당(대변인) 보도자료
(C) 지식분류
부속 기관

비서실
경호실
산하 위원회

국가안전보장회의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민경제자문회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중소기업특별위원회
의문사진상규명위원회
노사정위원회
정책기획위원회
동북아시대위원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국가균형발전위원회
고령화및미래사회위원회
지속가능발전위원회
빈부격차·차별시정위원회
교육혁신위원회
농어업·농어촌특별대책위원회
문화중심도시조성위원회
과학기술중심사회추진기획단
about 대통령


내서재
추천 : 0
환경부(環境部) 대통령(大統領) # 비상경제회의 # 산업통상자원부
최근 3개월 조회수 : 0 (0 등급)
【산업】
(게재일: 2020.04.08. (최종: 2020.04.09. 11:59)) 
◈ (공동-참고)제4차 비상경제회의 개최 -「수출 활력 제고방안」 발표 -
[ Ⅰ. 제4차 비상경제회의 개요]【화학물질정책과 - 서민아 (044-201-6771)】
-「수출 활력 제고방안」 발표 -
I. 수출애로 해소 | 수출 강국 위상 견지
⑴ 무역금융 36조원+α 추가공급: 수출 모멘텀 유지
    ○ 주력시장 수출보험, 중소·중견기업 보증 감액 없이 만기연장 (30조원)
    ○ 주요국 경기부양 사업 수주 지원 특별금융 제공 (5조원+α)
    ○ 수출 안정자금, 제작금융 등 긴급 유동성 지원 (0.9조원)
    ○ 보험·보증금 50% 감면 등 비용경감, 신용도 문턱 완화
⑵ 비대면 수출 전면 지원: 새로운 무역환경 대응
    ○ 온라인 코리아 전시회 60회 개최, 화상상담 인프라 4배 이상 확대
    ○ 코트라·무역협회·중진공 등을 1만개 중소·중견기업 해외지사化
⑶ 기업인 출입국 및 수출물류 애로해소: 기업 비즈니스 정상화
    ○ 양자·다자채널 활용 → 예외입국 표준 모델 확산
    ○ 수출 中企 항공운임 상승분 50% 보조, 현지 물류비용 70% 지원
⑷ 新수출기회 확보 : 위기를 기회로 활용
    ○ 수요가 증가중인 7大 유망상품 수출지원 체제 가동
    ○ 검체매칭 확대, 긴급사용 승인 등 진단키트 수출 전방위 지원


II. 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 긴급 점검 + 공급망 재편 대응

⑴ 핵심품목 점검·관리: 공급망 차질 영향 최소화
    ○ 일본에 이어 美·中·유럽 등 對세계 품목관리 확대 (총 338개)
    ○ 자동차 등 6大 업종별 상시점검 및 관리 실시
⑵ GVC 재편 대응: 투명하고 안전한 생산 전진기지 구축
    ○ 재고물량 확보 지원과 희소금속·원유 등 정부비축 병행 
    ○ 핵심기업 유턴, 투자유치, 해외기업 M&A 추진
    ○ 화학물질 관리, 배출권 거래 등 환경규제 한시 완화
    → ①화학물질 취급시설 인허가 패스트트랙 적용 품목 한시 확대, 정기검사 한시 유예 (화관법) ②年 1톤 미만 신규화학물질 등록시 시험자료 생략 품목 한시 확대 (화평법) ③배출권 보고 및 제출의무 최대 2개월 유예


III. 기업 R&D 부담경감 | 기술혁신 지속으로 수출기반 유지

○ 민간부담금 축소, 인건비 지원 등 R&D부담 2조원 이상 경감

 
[ Ⅰ. 제4차 비상경제회의 개요]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성윤모)는 4.8(수) 대통령 주재 제4차 비상경제회의에서 「위기를 기회로, 수출 활력 제고방안」을 보고
 
이번 비상경제회의에서는 「수출활력 제고방안」외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는 내수·민생에 대한 지원 확대와 스타트업·벤처 지원을 위한 대책을 논의·발표
* ⑴ 선결제·선구매 등을 통한 내수 보완방안(기재부) ⑵ 수출활력 제고방안(산업부)⑶ 스타트업·벤처 기업 지원방안(중기부)
 
관계부처 합동으로 마련한 이번 대책은  ⑴수출애로 해소, ⑵글로벌 공급망 안정화, ⑶기업 R&D 부담경감 등 3개 분야를 주요 내용으로 다룸 
 
코로나19로 인해 공급망 충격과 수요 급감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위기를 극복하고 위기를 기회로 활용하기 위한 전방위 지원대책 마련
 
 
 
[ Ⅱ.「수출 활력 제고방안」주요 내용]
 
 
1. 수출 애로 해소 : 수출 강국 위상 견지
 
① 수출기업 금융애로 총력지원 : 36조원+α 추가 공급
 
⑴ (만기연장) 수출 보험·보증 감액 없이 만기 연장 → 30조원 지원
    * (주력시장) 美·中·EU 등 수출기업의 수출보험 한도 무감액 1년 만기 연장 (28.7조원)(선적前보증) 중소·중견기업 무감액 1년 만기 연장 (1.3조원)
 
⑵ (특별금융) 해외 경기부양 프로젝트 수주 지원 정책금융 5조원+α 공급
    * 해외발주처 대상 보증·대출 지원 (貿保 5조원) → 수요 확대시 産銀·輸銀이 추가공급
 
⑶ (비용경감) 수출 중소·중견기업 보험·보증료 50% 감면 등 (265억원)
 
⑷ (유동성 지원) 수출기업 긴급 안정자금 보증 등 긴급 유동성 지원 (0.9조원)
    * ①수출안정자금 보증 (0.1조원), ②수출채권 조기현금화 지원 확대 (0.5→0.7조원)③납품계약 기반 제작자금 보증 (0.5조원), ④해외법인 자금 보증 (0.1조원)
 
⑸ (문턱완화) 신용도 기준 완화*, 온라인 무역보험·보증** 도입 ('20.5월)
    * 수출여력은 있으나 지원받기 어려웠던 기업도 심사를 통해 보험·보증 지원 (500억원)
    ** 온라인 보험·보증 출시('20.5월) → 기간 단축(5일→1일), 서류 간소화(3종→無)
 
② 非대면 수출 전면 지원체제 가동 
 
⑴ (온라인 무역) 오프라인 바이어 매칭 과정을 온라인상에서 구현
 
국내외 화상상담 인프라 대폭 확충*, 비대면 상담·계약 지원**
    * 화상상담 인프라: (국내) 5개 → 89개, (해외) 코트라무역관 등 활용 44개소 → 120개소
    ** 사무실·자택에서 해외 바이어와 상담·계약 시 통역 및 컨설팅 등 지원
 
⑵ (온라인 전시회) AR·VR 활용 '온라인 코리아 전시회' 개최→ 특별 전시회 50회, 상시 전시관 10개 운영
 
⑶ (현지지원) 코트라·중진공 등을 1만개 중소·중견기업 해외지사化
    * △(코트라) 84개국 129개 무역관(500명), △(중진공 네트워크) 37개국 129개사(3,700여명), △(무역협회) 8개국 11개 해외지부(70명), △(세계한인무역협회) 55개국 98개 세계지부(429명)
 
③ 기업인 예외입국 모델 확산 및 물류 애로 해소
 
⑴ (출입국 제한 해소) 수출 기반 유지 및 공급망 관리 필수인력 대상
 
(국내→해외) 양자·다자채널을 통해 입국금지, 격리 등 애로 해소
    * (해결) 입국허용 5건, 격리완화 2건, 비자발급 1건 등 8건
 
중소·중견기업 출장수요 충족을 위한 특별전세기 운항 추진
 
(해외→국내) 핵심 생산설비 가동에 필수적인 해외 엔지니어 입국 지원
    * (해결) 비자발급 신속심사 116명, 체류기한 연장허가 15명, 자가격리면제 신청 286명 등(4.2기준)
 
☞ G20 등 양자·다자채널 활용 → 기업인 예외입국 표준모델 확산
 
⑵ (물류 지원) 항공 및 해운 노선 증편을 통한 화물운송 확대
    * (항공) ① 유휴 여객기 활용 화물노선 증편 ② 수출 中企 항공운임 상승분 50% 보조 ③ 항공운임 관세특례 확대 (기업수요 추가 반영)(해운) 한중일 선박운항 확대, 미주·유럽 노선증편(7개, 4.1~), 유럽 세계최대 '컨'선 투입(12척, 4.25~)(현지 물류) 현지 공동물류서비스 지원 확대(12개국 22개소 → 78개국 119개소), 보관·포장 등 현지비용 70% 국고 지원
 
④ 新수출기회 확보 
 
'7大 상품군*' 수출 패키지 지원 + 온라인 콘텐츠 해외진출 확대**
    * ①의료용품, ②위생용품, ③건강식품, ④홈쿠킹, ⑤홈뷰티, ⑥청정가전, ⑦디지털장비
    ** (지원수단) 통·번역, 현지플랫폼 진출 지원, (지원거점) 美·中 등 8개국 13개 코트라 무역관
 
특히, 세계적으로 관심을 끌고 있는 한국산 진단키트는 검체매칭 확대, 긴급사용 승인, 물류·통관·마케팅, 투자·보증 등 국내생산 및 수출지원 확대
 
 
 
2. 글로벌 공급망(GVC) 안정화 : 긴급점검 + 공급망 재편 대응
 
① 핵심품목 점검 및 애로해소 
 
⑴ (점검대상) 對세계 338개 품목으로 확대 (전체 소부장 수입의 91.5%)
    * (기존) 對日 100개 품목 → (확대) 中·美·EU·아시안 등 238개 추가
 
⑵ (상시관리) 6大 업종별* 수급차질 상시점검·관리
    * ①자동차(26개), ②반도체(15개), ③가전(39개), ④화학제품(57개), ⑤기계장비(74개), ⑥섬유(27개)
 
② GVC 재편 신속 대응 
 
⑴ (재고확충) 재고확보 자금*·공간 지원 + 정부비축(희소금속·원유·석유제품) 병행
    * 금융패키지(企銀 10조원·産銀 5조원) 활용 
 
⑵ (내부화) 핵심기업 국내유턴, 투자유치, 해외기업 M&A 확대 
    * (유턴) 법인세 감면(5년 100%+2년 50%) 등 활용 유턴 유치 및 생산성 향상 지원 병행
    * (투자유치·M&A) 핵심 밸류체인 해외기업 타겟 적극적 투자유치, 글로벌M&A 금융지원('20년 1,600억원, 무보)
 
⑶ (다변화) 신설 공급망 다변화 특별보험 적극 활용 ('20년, 1,000억원. 무보), 신뢰성·양산평가, 기술지원 등
 
⑷ (틈새공략) 100大 글로벌 명장 기업 선정 → R&D·인력·마케팅 집중지원*
    * 코트라 글로벌파트너링(GP), 월드클래스+(기업당 R&D 최대 30억원 지원) 등 연계 활용
 
⑸ (규제완화) 화학물질 관리, 배출권 거래 등 환경규제 한시 완화 적용
 
유해화학물질 취급시설 인허가 패스트트랙 품목 확대* 적용(~'21.12) 및 정기검사 한시(∼'20.9) 유예** 추진(화관법)
* (현행) 일본 수출규제품목 159개 → (조정) 코로나19로 인한 공급망관리 338개로 확대
** (현행) 매년 정기검사 → (조정) 금년 9월까지 유해화학물질 정기검사 유예
 
年 1톤 미만으로 제조·수입되는 신규화학물질의 등록시 시험자료 제출 생략 품목을 한시 확대*(159개→338개) 적용(~'21.12, 화평법) 
 
배출권 보고 및 제출의무 유예, 배출권 가격 안정화 추진
* 명세서보고(3월) 등 의무기한 최대 2개월 유예, 가격급등시 시장안정 예비분(1,400만톤) 공급 검토
 
 
3. 기업 R&D 부담 경감 : 기술혁신 지속으로 수출기반 유지
 
민간부담금 축소, 인건비 지원 확대 → 최대 2.2조원 규모 지원
* (지원대상) 산업·중기·과기부 R&D 사업을 수행하는 중소·중견기업
 
⑴ (민간부담금) 민간 부담비율 축소(최대 35%→20%) 등 (총 1조원 지원효과)
 
⑵ (인건비) 기존 인력 인건비도 정부지원 (총 1.2 조원 지원효과)
* (현재) 신규채용 인건비만 지원 → (개선) 기존 인력도 인정 
 
⑶ (기술료) 금년 기술료 납부 최대 2년 유예 또는 감면 (총 600억원 지원효과)
 
⑷ (재무요건) 부채비율 등 재무요건* 적용 금년 한시 완화
* (例: 산업부) 2년연속 부채비율 500% 이상, 유동비율 50% 미만 → R&D 중단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분류체계
(C) 행정
대통령

대통령
국가정보원
중앙인사위원회
부패방지위원회
국무총리

국무총리
기획예산처
법제처
국정홍보처
국가보훈처
각부처

재정경제부
교육인적자원부
통일부
외교부
법무부
국방부
행정자치부
과학기술부
문화관광부
농림부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보건복지부
환경부
노동부
여성부
건설교통부
해양수산부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