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국립 국악원(國立國樂院)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국립 국악원 (國立國樂院)
전통예술의 보존과 계승, 전통에 기반을 둔 창조적 노력을 지속하기 위하여 설립한 국가기관으로, 보통 국악원이라고도 한다. 위치는 서초구 남부순환로 2364이다.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코로나19 추가 확산 예방을 위해 국립공연장 등 휴관 실시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공연장 내 감염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3월 8일(일)까지 국립중앙극장 등 5개 국립공연기관*을 휴관하고 국립극단 등 7개 국립예술단체**의 공연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공연전통예술과 - 서은주 (044-203-2732)】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 국립 국악원(國立國樂院) 국립 중앙 극장(國立中央劇場) 명동예술극장 정동극장 # 국립공연기관 # 국립극단 # 국립발레단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립예술단체 # 국립오페라단 # 국립합창단 # 국립현대무용단 # 서울예술단 # 코로나19 #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 국립공연장 잠정 휴관 및 국립예술단체 공연 일시 중단을 통해 코로나19 대응 -
 
문화체육관광부(장관 박양우, 이하 문체부)는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이하 코로나19)의 확산에 따른 공연장 내 감염을 선제적으로 예방하기 위해 3월 8일(일)까지 국립중앙극장 등 5개 국립공연기관*을 휴관하고 국립극단 등 7개 국립예술단체**의 공연을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 5개 국립공연기관: 국립중앙극장, 국립국악원(부산, 남도, 민속 등 3개 지방국악원 포함), 정동극장, 명동예술극장,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7개 국립예술단체: 국립극단, 국립발레단, 국립오페라단, 국립현대무용단, 국립합창단, 서울예술단,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이번 조치는 코로나19에 대한 감염병 위기경보가 2월 23일(일)부터 최고 단계인 ‘심각’ 단계로 격상된 데 따른 후속 조치이며, 코로나19 확산 예방에 공연예술계도 동참하기 위해 결정된 것이다. 3월 9일(월) 이후의 국립공연기관의 공연장 재개관 및 국립예술단체의 공연 재개 여부는 코로나19 확산 추이를 보며 결정할 예정이다.
 
앞서, 문체부 박양우 장관은 지난 2월 20일(목) 대학로 소극장을 방문해 코로나19 대응 현황을 점검하고, 예술인 긴급생활자금 융자 지원 등 공연업계 긴급 지원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 ▲ 예술인 긴급생활자금 융자 지원(총 30억 원 규모), ▲ 소독·방역용품, 휴대형 열화상 카메라 지원(전국 민간 소규모 공연장 430개소, 2억 2천만 원 규모), ▲ 코로나19 피해 공연예술단체의 경영 애로 및 법률 상담을 위한 ‘코로나19 전담창구’ 개설(예술경영지원센터), ▲ 공연단체 피해보전 지원(총 21억 원 규모) 등
 
 
한편, 휴관을 결정한 문체부 소관 국립 박물관·미술관·도서관도 휴관기간을 3월 8일(일)까지로 잠정하고, 이후의 개관 여부는 코로나19 확산 추이에 따라 결정할 예정이다.
 
 
붙임 코로나19 예방수칙
 

 
※ 원문보기
문화체육관광부(文化體育觀光部) 국립 국악원(國立國樂院) 국립 중앙 극장(國立中央劇場) 명동예술극장 정동극장 # 국립공연기관 # 국립극단 # 국립발레단 # 국립아시아문화전당 # 국립예술단체 # 국립오페라단 # 국립합창단 # 국립현대무용단 # 서울예술단 # 코로나19 # 코리안심포니오케스트라
【문화】코로나19 추가 확산 예방을 위해 국립공연장 등 휴관 실시
(게재일: 2020.02.25. (최종: 2020.02.28. 10:40))  문화체육관광부 보도자료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