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문묘(-)
문묘
자 료 실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2019년 11월
2019년 11월 7일
고재완의 여행을 떠나요
2018년 11월
2018년 11월 7일
문화재·역사·전
노랗게 물든 500년 된 은행나무
about 문묘


내서재
추천 : 0
문묘(-) 성균관(成均館) 은행나무(銀杏----)
최근 3개월 조회수 : 1 (5 등급)
(게재일: 2018.11.07. (최종: 2019.11.21. 19:07)) 
◈ 노랗게 물든 500년 된 은행나무
서울의 유명한 은행나무가 있는 성균관(成均館)에 다녀왔다. 서울 성균관은 1398년(태조 7)에 세워진 유일한 국립 대학(國立大學)으로 국가 엘리트의 양성소였다. 문묘(文廟)는 공자(孔子, BC 551~ BC 479)를 모시는 사당으로 보물 제141호(대성전, 명륜당, 삼문, 동무, 서무)로 지정되어있다. 문묘의 정전인 대성전(大成殿)은 공자와 제자, 성현 등을 모신 제사 공간이며, 명륜당(明倫堂)은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던 곳이었다. 대성전 구역(삼문 + 대성전 + 동무 + 서무 + 묘정비각)과 명륜당 구역(명륜당 + 동재 + 서재 + 존경각 + 식당)에 은행나무가 각각 2그루씩 총 4그루가 있다. 서울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은행나무(천연기념물 59호)로 노랗게 노랗게 물들어 간다. 이곳에서 만추의 추억을 담고 옆의 창경궁의 춘당지의 단풍까지 운좋게 구경후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서울의 유명한 은행나무가 있는 성균관(成均館)에 다녀왔다. 서울 성균관은 1398년(태조 7)에 세워진 유일한 국립 대학(國立大學)으로 국가 엘리트의 양성소였다. 문묘(文廟)는 공자(孔子, BC 551~ BC 479)를 모시는 사당으로 보물 제141호(대성전, 명륜당, 삼문, 동무, 서무)로 지정되어있다. 문묘의 정전인 대성전(大成殿)은 공자와 제자, 성현 등을 모신 제사 공간이며, 명륜당(明倫堂)은 국가의 인재를 양성하던 곳이었다. 대성전 구역(삼문 + 대성전 + 동무 + 서무 + 묘정비각)과 명륜당 구역(명륜당 + 동재 + 서재 + 존경각 + 식당)에 은행나무가 각각 2그루씩 총 4그루가 있다. 서울에서 가장 크고 오래된 은행나무(천연기념물 59호)로 노랗게 노랗게 물들어 간다. 이곳에서 만추의 추억을 담고 옆의 창경궁의 춘당지의 단풍까지 운좋게 구경후 비가 내리기 시작했다.
 
\na-;▼ 500년 된(1519년 식재) 명륜당 앞 은행나무
 
 
\na-;▼노란 은행잎에 가을의 추억을 담는다.
 
 
서울 문묘는
1398년(태조 7) 세워졌고, 1592년 임진왜란 때 불타 소실되어 1601년(선조 34) 다시 짓고, 고종 때 대대적인 보수를 했다.
 
 
 
\na-;▼좌측부터 동무, 묘정비각, 은행나무, 삼문(三門)이다.
 
 
\na-;▼대성전(공자 외 38분 위패를 모심)은 정면 5칸, 측면 4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며, 현판 글씨는 한석봉의 친필이라 전한다.
 
대성전앞의 향(香)나무는 삼강목과 오륜목으로 삼강오륜(三綱五倫)에서 따왔다고 한다.​
 
 
\na-;▼대성전의 정문인 삼문(三門)은 남향으로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건물로 석전대제 때 열린다. 궁의 건물에서 볼 수 있는 취두, 잡상이 보인다.
 
 
\na-;▼석전대제(釋奠大祭)
문묘에서 매년 봄과 가을에 공자와 성현(聖賢)에게 제사를 지내는 의식을 석전대제라한다.이때 사용하는 음악인 문묘제례악은 종묘제레악과 함께 중요 무형문화재이다.
 
 
\na-;▼동무(東廡)
유현(儒賢)의 위패를 모시는 건물로 정면 11칸, 측면 1칸 반의 맞배지붕 건물로 서무(西廡)와 서로 마주 보며 같은 크기의 건물이다.
 
 
\na-;▼묘정비각(廟庭碑閣, 문묘를 세우고 고친 기록을 적은 비가 있음)
 
 
 
 
\na-;▼명륜당은 성균관 유생들의 강당(講堂)으로, 본당은 맞배지붕이며 대청마루를 깔았고, 동 서 협실은 온돌방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조선 초 약 150여 명의 성균관 유생들이 있었다고 한다.
 
 
\na-;▼열매가 안 열리는 숫은행나무로 악취가 안 나서 좋다. 요즘 어린 은행나무도 유전자 검사로 암수 구별이 가능해져 공해에 강한 은행나무 가로수는 선별해 심을 수 있다. 남아(男兒) 선호(選好)가 아니라 남목(男木)을 선호한다.
 
 
 
 
 
 
▶은행(銀杏) 나무를 왜 심었나?
공자가 행단(杏壇)에서 제자들을 가르쳤다는 데서 유래된 것으로 보며(살구나무 행杏이지만 살구나무는 은행나무보다 그늘이 적고 크지 않음), 병충해에도 강한 것처럼 부정,부패에 강해지라는 의미와 은행나무의 뿌리처럼 깊게 학문을 배우고 연마하라는 의미가 아닐는지...
 
​▼1606년(선조 39) 명나라 사신 주지번이 썼다는 명륜당 현판(명륜은 인간사회의 윤리를 밝힌다는 뜻)
 
 
\na-;▼우측은 동재(東齋,유생들 기숙사)로 서쪽의 서재(공사중)와 대칭을 이루고 있다.
 
 
\na-;▼성균관 입학자격은?
성균관은 조선 최고의 교육기관으로 입학 자격이 제한되어 있었다. 우선적으로는 국가에서 실시하는 생원·진사시, 곧 소과에 합격한 생원·진사에게 입학 자격이 주어졌다. 서울의 사학 생도나 지방 유생으로 정해진 시험에 합격한 일부 유생들에게도 입학을 허용하였다.
 
국가에서는 3년에 한 번씩 생원·진사시를 실시하고 생원·진사 100명씩을 뽑았다. 이외에 국가에 경사가 있을 때 추가로 시험을 더 시행하는 경우도 있었다. 하지만 응시하는 사람은 많고, 선발하는 인원수는 제한되어 있었기 때문에 합격은 쉽지 않았다. 생원·진사시 합격자의 평균 연령은 34.5세나 됐다.
 
\na-;▼존경각(도서관)
 
 
\na-;▼성균관 유생의 특전
조선에서는 성균관 외에도 서울에는 사학, 지방에는 향교를 두고 유학 교육을 벌였다. 그러나 성균관은 전국의 인재들이 모인 국가의 최고 교육기관으로 다른 학교와는 차별화되었다. 이에 따라 성균관 유생들에게는 여러 특전이 주어졌다.
 
국학이었던 성균관에는 유생들의 학업을 장려한다는 목적으로 다양한 시험제도를 두었다. 1월 7일에는 인일제, 3월 3일에는 삼일제, 7월 7일에는 칠석제, 9월 9일에는 구일제를 시행하였고, 명종 대부터는 제주도에서 진상한 귤을 나누어 주고 이를 기념하는 황감제라는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 국왕은 수시로 유생들을 궁궐로 불러 시험을 치렀다. 시험에서 우수한 성적을 받은 유생들에게는 다양한 방식의 상이 주어졌다. 단순히 상품을 주는 경우도 있었지만 문과를 볼 때 가산점을 주기도 하였고, 초시나 회시를 면제받고 바로 다음 단계의 시험을 볼 수 있는 특전을 주기도 하였다. 성균관 유생들은 다른 유생들보다 문과에 급제할 수 있는 기회가 더 많았다.
 
\na-;▼마루가 반짝반짝 윤이 난다. 얼마나 많은 유생들이 여기를 밟고 지났을까?
 
 
\na-;▼반촌(泮村)은?
성균관의 기본 건물들은 태조 때에 지어졌지만 성균관을 둘러싼 인공하천인 반수(泮水)는 성종 때에 비로소 만들어졌다. 반수는 고대부터 학교제도의 일부분을 차지하였는데, 붓을 사용하는 학생들에게 물을 제공한다는 상징적 의미를 지녔다. 한양 성균관의 반수는 현실적으로 학교의 안과 밖을 구분하는 경계로 기능하기도 하였다. 성균관은 반수 위에 놓인 식당교·중석교·향석교 등의 다리를 통해 외부와 연결되었다. 반수 때문에 성균관을 ‘반궁(泮宮)’이라고도 불렀으며, 성균관 앞쪽의 마을은 ‘반촌(泮村)’이라고 불렀다.
 
\na-;▼드라마 "성균관 스캔들"
 
 
\na-;▼탕평비(1742년 영조가 당쟁의 폐단을 일깨우기 위해 세운 비)와 하마비(下馬碑,누구든지 이 앞을 지날 때에는 말에서 내려라)가 성균관 대학교 입구 좌측에 있다.
 
 
▶은행(銀杏)나무 개요
 
☞살아있는 화석으로 불리는 은행나무는 암수 딴몸의 나무로 공해에 강해 가로수로 좋지만, 냄새를 유발하는 암나무의 열매로 요즘은 숫은행나무를 주로 심는다고 한다.
 
☞또한 은행잎에서 추출물은 혈행 개선에 효과가 있어 의약품으로 활용한다.
 
☞양평
용문사(천연기념물 30호)가 제일 유명하다.
 
 
\na-;▼서울 문묘 소개(동영상)
 
▶찾아가기
 
☞혜화역 4번 출구
 
☞성균관 대학 들어가 오른쪽 주차장 쪽으로 가서 좌측 계단으로 올라간다.
 
\na-;출처 : 중앙일보 사진, 문화재청, 구글, 성균관 대학교,한국문화재단,KBS2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