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세계무역기구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세계무역기구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0 (0 등급)
◈ [모두말씀] 제46회 국무회의
지금부터 제46회 국무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국정운영실】
국무 총리(國務總理) 이낙연(李洛淵) 국무 회의(國務會議) 농업(農業)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철새(-) # 개발도상국 지위 # 독감 # 세계무역기구 # 조류 인플루엔자 # 질병관리본부 # 철새도래지
제46회 국무회의 – 2019. 10. 29. 정부서울청사
 
지금부터 제46회 국무회의를 시작하겠습니다.
 
정부는 향후의 세계무역기구 협상에서 개발도상국 특혜를 주장하지 않기로 결정했습니다. 국익을 최우선에 놓고 우리의 국제적 위상과 경제적 영향 등을 깊게 고려한 결정입니다.
 
농업인들께서는 미래의 피해를 걱정하십니다. 농민단체는 집회를 계획하고 계십니다.
 
정부도 농업인들의 우려를 충분히 이해합니다. 그러나 농산물 관세와 보조금에 미치는 당장의 영향은 없습니다. 정부는 미래의 농업협상에서도 쌀과 같이 민감한 분야는 최대한 보호할 것입니다. 농업의 피해는 보전할 것입니다.
 
이번 결정을 우리는 농업의 체질을 개선하고, 미래 농업의 경쟁력을 강화하는 새로운 출발로 삼아야 합니다. 농림축산식품부·기획재정부 등 관계부처는 농업인들과 긴밀히 소통하는 체제를 가동하며, 현장의 의견을 충실히 수렴해 정책에 반영해 주시기 바랍니다.
 
필요 재원은 국회 예산심의 과정에서 최대한 확보해야 합니다. 농업인들께서도 정부를 믿고 함께 지혜를 모아주시길 부탁드립니다.
 
겨울이 다가오니 철새의 이동도 많아졌습니다. 아직 고병원성으로 확인된 건은 없지만, 조류 인플루엔자(AI) 바이러스가 충북·경북·경기 등에서 잇따라 검출되고 있습니다. 대만·중국·베트남 같은 주변 국가에서는 이미 AI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긴장을 늦출 수 없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 등 관계부처는 지자체와 함께 철새도래지 예찰과 방역, 농가 주변 소독 등 선제적 차단에 나서주시기 바랍니다.
 
아프리카돼지열병은 10월 9일까지 사육돼지에서 14건의 양성 확진이 나온 이후 양돈농가 추가발병은 없습니다. 그러나 멧돼지에서는 16건의 ASF 바이러스가 검출됐습니다.
 
정부는 10월 15일 이후에만도 약 7천 마리의 멧돼지를 포획했습니다. 멧돼지의 이동과 남하를 막기 위해 파주에서 고성까지 울타리를 설치할 계획입니다. 그동안 자제됐던 완충지역 총기포획도 어제부터 허용했습니다. 농림축산식품부와 관계부처는 지자체와 협력해, ASF 방역을 빈틈없이 수행해주시기 바랍니다.
 
통상 11월 중순부터 독감이 전국적으로 유행합니다. 질병관리본부는 독감 유행이 올해는 더 빨라질 수 있다고 말합니다. 감염병은 예방이 최선입니다. 질병관리본부와 관계부처는 독감 예방접종을 적극적으로 독려해 주시기 바랍니다. 특히 어르신과 영·유아에 비해 예방접종률이 낮은 초등학생들이 빠짐없이 접종받도록 해야겠습니다. 올해부터는 임신부들도 예방접종을 무료로 받을 수 있다는 것도 잘 알려드리시기 바랍니다.
 
 
첨부 :
191029 제46회 국무회의 모두말씀.hwp
 

 
※ 원문보기
국무 총리(國務總理) 이낙연(李洛淵) 국무 회의(國務會議) 농업(農業) 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frican swine fever) 철새(-) # 개발도상국 지위 # 독감 # 세계무역기구 # 조류 인플루엔자 # 질병관리본부 # 철새도래지
【행정】[모두말씀] 제46회 국무회의
(게재일: 2019.10.29. (최종: 2019.10.29. 19:42))  국무조정실/국무총리비서실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 동음이어
세계 무역기구. WTO(World Trade Organization)라고도 한다. 1994년 4월 15일 모로코의 마라케시에서 세계 125개국 통상 대표가 7년 반 동안이나 진행해온 우루과이라운드 협상의 종말을 고하고 '마라케시 선언'을 공동으로 발표함으로써 1995년 1월 정식 출범, 1947년 이래 국제무역질서를 규율해 오던 '관세 및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 체제를 대신하게 되었다.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