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쯔쯔가무시증
쯔쯔가무시증
자 료 실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 관련 동영상 (없음)
2019년 10월
2019년 10월 18일
제주특별자치도 보도자료
[수시] 가을철 발열성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2019년 10월 14일
대전광역시 보도자료
2019년 9월
2019년 9월 6일
대전광역시 보도자료
2019년 9월 5일
경상남도 보도자료
about 쯔쯔가무시증


내서재
추천 : 0
제주특별자치도(濟州特別自治道) 렙토스피라증(Leptospira症) # 감염병 # 설치류 # 신증후군출혈열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 진드기 # 쯔쯔가무시증
최근 3개월 조회수 : 0 (0 등급)
【안전】
(게재일: 2019.10.18. (최종: 2019.10.21. 02:09)) 
◈ [수시] 가을철 발열성 진드기·설치류 매개감염병 주의 당부
■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가을철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가 야외 활동 시 감염 예방을 위한 수칙을 준수하고 활동 후 고열, 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보건건강위생과 (064-710-2936)】  2019-10-18 14:58:57
농작업·태풍 복구작업 등 야외활동 시 감염병 예방수칙 준수
야외활동 후 고열, 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
 
■ 쯔쯔가무시증, 신증후군출혈열 등 가을철 진드기·설치류 매개 감염병 발생 증가에 따라, 제주특별자치도가 야외 활동 시 감염 예방을 위한 수칙을 준수하고 활동 후 고열, 구토 등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것을 당부했다.
 
○ 가을철(10~11월)은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감염병이 증가하는 시기이며, 특히 태풍 피해 지역의 경우 렙토스피라증 환자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어 이를 예방하기 위한 주의가 필요하다.
 
○ 진드기 매개감염병인 쯔쯔가무시증은 전체 환자의 90% 정도가, 신증후군 출혈열 및 렙토스피라증은 60% 이상이 가을철에 발생하고 있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도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 쯔쯔가무시증 : ‘18년 전국 6,668명 제주 78명, ‘19년 9월 30일기준 전국902명 제주 4명
*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 : ‘18년 전국 259명 제주 15명, ‘19년 9월 30일기준 전국172명 제주 8명
* 렙토스피라증 : ‘18년 전국 118명 제주 0명, ‘19년 9월 30일기준 78명 제주 0명
* 신증후군출혈열 : ‘18년 전국 433명 제주 1명, ‘19년 9월 30일기준 207명 제주 0명
 
■ 임태봉 제주도 보건복지여성국장은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 감염병은 예방수칙 준수로 예방이 가능하다”며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감염병 예방수칙’을 준수하고, 발열 등 의심 증상 발생 시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을 것”을 거듭 당부했다.
 
<붙임> 1. 진드기 및 설치류 매개감염병 예방수칙
2. 쯔쯔가무시증 개요
3.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개요
4. 렙토스피라증 개요
5. 신증후군출혈열 개요
 
 
 
첨부 :
191018 보건건강위생과-가을철 발연성 진드기 설치류 감염병 주의 당부.hwp (75 KBytes)
 

 
※ 원문보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키워드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