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제주사람들이 '곶자왈'이라고 부르는
|
|
|
|
|
|
천연원시림으로 이어져 있는 자연이 만들어낸 제주의 숲
|
|
|
|
|
|
곶자왈은 숲을 뜻하는'곶'과 가시덤불 또는 돌(자갈)을 뜻하는'자왈'이 합쳐진 제주어라고 한다.
|
|
|
|
|
|
|
|
|
|
|
|
|
|
2017년 8월22일은 제주의 날씨는 종잡을수가 없을 정도로 햇빛과 폭우가 번갈아 왔다갔가
|
|
|
|
|
|
곳자왈을 걷는 시간에도 갑자기 비가 내리고 숲 자체가 나무로 햇살이 비취기 어려워
|
|
|
|
|
|
돌에는 초록 이끼가 덮히지 않은 곳이 없었다.
|
|
|
|
|
|
|
|
|
|
|
|
|
|
|
|
|
|
|
|
|
곶자왈은 암괴로 이루어진 장소이므로 땅이 척박하여 경지로 이용되기 어려울뿐만 아니라
|
|
|
|
|
|
방목에도 적절하지 않아 대부분 방치되어 덩굴이 엉클어진 자연림 지대를 이루어 왔다.
|
|
|
|
|
|
그러나 최근 이 곶자왈 지대는 ‘제주의 허파’ 또는
|
|
|
|
|
|
'자연의 허파’등과 같이 인간의 허파에 비유되면서 ‘
|
|
|
|
|
|
제주 생태계의 생명선’으로 강조되면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
|
|
|
|
|
|
|
|
|
|
|
|
|
|
|
|
|
|
|
|
제주도의 한라산 동부와 서부, 북부 사면지역에는 곶자왈이라는 지대가 널리 분포한다.
|
|
|
|
|
|
곶자왈은 생태계의 허파 역할을 담당할 뿐 아니라 한라산과 해안지대를 연결하고
|
|
|
|
|
|
있어 생태계의 가교 역할도 수행한다.
|
|
|
|
|
|
이곳에는 이끼류, 양치류, 초지성 식물,화초류, 수목(침엽수, 활엽수),
|
|
|
|
|
|
습지(물웅덩이)가 발달하여 방목중인 가축들이 물과 먹이를 확보할 수 있고
|
|
|
|
|
|
풍우설(風雨雪)을 피할 수 있었던 장소였기 때문에 목축을 위해 중요한 공간이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한참을 걷다보면 큰지그리오름 정상에 도달하기전 곶자왈에서 벗어나
|
|
|
|
|
|
하늘를 찌를듯이 뻗어 올라간 편백나무 숲을 만날수 있다는데 비때문에 너무 습하고
|
|
|
|
|
|
나이드신 분들을 미그러짐을 배려해서 중간에 나오고 말았다.
|
|
|
|
|
|
다음 기회에 차분히 제주의곳자왈 숲을 걸어보리라 생각하며 ...
|
|
|
|
|
|
|
|
|
|
|
|
|
|
숲을 벗어나서는 아침 일찍 서울에서 출발했기에 제주도 흙돼지고기를 구워
|
|
|
|
|
|
고사리와 함께
|
|
|
|
|
|
점심으로 바삐 걸어온 시간의 허전함을 배속으로 허기를 채운다.
|
|
|
|
|
|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