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 고려 가요  
고려 가요
자 료 실
(A) 지식자료
(B) 지식구성
구성목록
(R) 참조 자료
참조 지식창고/다큐먼트
about 고려 가요
지식자료관리(A)
지식구성관리(B)
지식분류관리(C)

고려가요    【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2019.06.08. 19:39 (2019.06.08. 19:39)

처용가(處容歌)

 
작자와 연대 미상의 고려속요.
목   차
[숨기기]
신라 성대 밝고 거룩한 시대
천하 태평 나후의 덕
처용 아비여
이로써 늘 인생에 말씀 안 하시어도
이로써 늘 인생에 말씀 안 하시어도
삼재와 팔난이 단번에 없어지시도다
아아, 아비의 모습이여. 처용 아비의 모습이여
머리 가득 꽃을 꽂아 기우신 머리에
아아, 목숨 길고 멀어 넓으신 이마에
산의 기상 비슷 무성하신 눈썹에
애인 상견 하시어 온전하신 눈에
바람이 찬 뜰에 들어 우그러지신 귀에
복사꽃같이 붉은 모양에
오향 맡으시어 우묵하신 코에
아아, 천금을 머금으시어 넓으신 입에
백옥 유리같이 흰 이에
사람들이 기리고 복이 성하시어 내미신 턱에
칠보를 못 이기어 숙어진 어깨에
길경에 겨워서 늘어진 소매에
슬기 모이어 유덕하신 가슴에
복과 지가 모두 넉넉하시어 부르신 배에
태평을 함께 즐겨 기나긴 다리에
계면조 맞추어 춤추며 돌아 넓은 발에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 누가 지어 세웠는가?
바늘도 실도 없이, 바늘도 실도 없이
처용의 가면을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
많고 많은 사람이여
모든 나라가 모이어 만들어 세웠으니
아아, 처용 아비를 많고 많은 사람들이여.
버찌야, 오얏아, 녹리야
빨리 나와 나의 신코를 매어라
아니 매면 나릴 것이나 궂은 말이
신라 서울 밝은 달밤에 새도록 놀다가
돌아와 내 자리를 보니 다리가 넷이로구나
아아, 둘은 내 것이거니와, 둘은 누구의 것인가?
이런 때에 처용 아비가 보시면
열병신 따위야 횟갓이로다.
천금을 줄까? 처용 아비여
칠보를 줄까? 처용 아비여
천금도 칠보도 다 말고
열병신을 나에게 잡아 주소서
산이나 들이나 천리 먼 곳으로
처용 아비를 피해 가고 싶다.
아아, 열병 대신의 소망이로다.
 

 
 

1. 요점 정리

• 갈래 : 고려 속요
• 형식 : 비연시
• 주제 : 역신을 몰아 내는 처용의 위용과 기상
 
 

2. 내용 연구

• 나후 : 해와 달을 가리는 신으로 처용의 위용을 비김
• 삼재 : 불,물,바람의 재앙
• 팔난 : 많은 괴로움, 여덟 가지의 괴로움
• 애인상견 : 사랑하는 사람을 서로 보시어
• 온전하신 : 원만하신
• 오향 : 다섯 가지 향기
• 칠보 : 일곱 가지의 보배
• 길경 : 길함과 경사로움
• 계면조 : 애조를 띤 가락, 여기에서는 계면조에 의한 춤.
• 신코 : 짚신의 앞 끝의 뾰족한 곳, 짚신이 벗겨지지 않게 이곳을 조여 맨다.
• 열병신 : 열병을 일으키는 귀신
 
 
(전강) 신라 성대 밝은 성대의
천하태평은 라후의 덕
처용아비여
이로써 사람들이 별말이 없게 되니
이로써 사람들이 별말이 없게 되니
(부엽) 모든 재앙이
일시에 소멸하도다
(중엽) 아! 아비의 모습이여
처용 아비의 모습이여
(부엽) 머리에 가득 꽂은 꽃이 무거워
기울어진 머리
(소엽) 아! 수명이 장수할
넓으신 이마
(후강) 산모양 비슷한
긴 눈썹
애인을 바라보는 듯한
너그러운 눈
(부엽) 바람이 잔뜩 불어
우글어진 귀
(중엽) 복사꽃같이
붉은 얼굴
(부엽) 진기한 향내 맡으시어
우묵해진 코
(소엽) 아! 천금 먹으시어
넓어진 입
(대엽) 백옥유리같이
하얀 이빨
복이 많다 칭찬 받아
밀어 나온 턱
칠보 무거워서
숙어진 어깨
좋은 경사 너무 많아
늘어진 소매자락
(부엽) 슬기를 모두어
유덕한 가슴
(중엽) 복과 지혜가 다 풍족하여
불룩한 배
붉은 띠 무거워
굽은 허리
(부엽) 태평성대를 같이 즐겨
길어진 다리
(소엽) 아! 계면조에 맞추어 도는
넓은 발
(전강)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
바늘도 실도 없이
바늘도 실도 없이
(부엽) 처용아비를
누가 만들어 세웠는가
(중엽) 많이도 많이도 세워놓았구나
(부엽) 십이 제국이
모두 만들어 세워
(소엽) 아! 처용아비를 많이도 세워놓았구나
(후강) 버찌아 오얏아 녹리야
빨리 나와 내 신코를 매어라
(부엽) 아니 곧 맨다면
궂은 말 떨어지리라
(중엽) 동경 밝은 달 아래
밤새도록 노닐다가
(부엽) 들어와 내 자리를 보니
가랑이가 넷이로구나
(소엽) 아! 둘은 내 것인데
둘은 뉘 것이뇨
(대엽) 이럴 적에
처용아비만 본다면
열병신이야
횟감이로다
천금을 주랴
처용아비야
칠보를 주랴 처용아비야
(부엽) 천금 칠보도 말고
열병신 잡아 날 주소서
(중엽) 산이나 들이나
천 리 밖으로
(부엽) 처용아비를
비켜갈지어다
(소엽) 아! 열병대신의
발원이로다.
 

 
 

3. 이해와 감상

처용의 모습과 역신에 대한 것이 자세히 곁들여 있고, 역신에 대한 분노가 고조되어 있는 비교적 장형(長形)의 노래이다. 귀신을 쫓는 ‘나례(儺禮)’에서 처용가면(處容假面)을 쓰고 춤출 때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하며, 조선시대에 들어와 세조(世祖) 때는 대부악(大部樂)으로 확장된 가면희에서 불렀고, 고려 속요 '처용가'는 향가 '처용가'와 마찬가지로 처용이 역신을 몰아내는 축사의 내용을 지닌 일종의 무가로처용의 모습이 자세히 묘사되고, 역신에 대한 처용의 분노가 절실하게 나타나 있어서 희곡적 분위기가 강하다. 향가 '처용가'의 일부분이 들어 있으며, 처용희의 일부로서 가창되었으며, 이 작품을 읽으면서 처용의 정신적 자세를 한번 음미해 볼 필요가 있다.
 
 

4. 심화자료

• 나례(儺禮)
 
대나(大儺)라고도 하며, 원래 중국에서 시작된 것으로 《고려사》에 1040년(고려 정종 6)에 세밑 나례를 행하였다는 기록이 있는 것으로 보아 그 전에 전래된 듯하다. 나례에 동원된 인원은 시대에 따라 다르나, 고려의 궁중에서는 12~16세의 소년을 뽑아 이를 진자(粉子:초라니)라 하고 24인을 1대(隊)로, 6인을1줄로 하여 가면을 씌우고 붉은 치마를 입혔다. 집사자(執事者) 12인도 붉은 옷을 입었고, 공인(工人) 24인 가운데 한 사람은 방상시(方相氏)가 되었는데, 가면을 쓰고 오른손에는 창을, 왼손에는 방망이를 들고, 황금으로 된 눈이 4개 달린 곰의 가죽을 뒤집어썼다. 호각군은 20인을 1대로 하는데 기(旗)를 잡는 사람 4인, 퉁소를 부는 사람 4인, 북을 가지는 사람 12인으로 구성하였다.
 
이 나례의식이 그대로 조선시대까지 전해져 궁중뿐만 아니라 민간에도 널리 퍼졌다. 민간에서는 섣달 그믐날 집 안팎을 깨끗이 청소하고, 악귀는 굉음에 놀라서 달아난다 하므로 그믐날 밤에 마당에 불을 피우고 폭죽을 터뜨렸다. 조선시대에는 나례가 악귀를 쫓아내는 일 외에도 칙사의 영접, 왕의 행차, 감사의 영접 등에 광대의 노래와 춤을 곁들여 오락으로 전용되었다. 나례 가운데 처용무는 악공과 기녀가 맡고, 곡예 ·희학지사(戱謔之事) 등은 재인(才人)이 담당했는데 여악(女樂)까지 동원되었다. 이것을 잡희 ·백희 ·나희라 하였다.
 
나례 출연자로는 나례청에 소속된 배우 ·광대 ·수척(水尺) ·중[僧] ·재인 ·현수재인(絃首才人) ·백정(白丁) 등이 있는데 이들은 사회적으로 천대받았다. 나례의 공연 장소는 야외인 경우는 무대장치를 하였고, 궁중에서는 인정전(仁政殿) ·사정전(思政殿) ·명정전(明政殿) 등에서 행하였다. 그리고 윤거(輪車)라는 수레를 몇 개씩 이동해서 나례를 하였다. 오늘날의 나례는 화려하지 않은 민속예술로 전한다.
【작성】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지식카탈로그 가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디렉터리
◈ 참조
 
◈ 참조
 
▣ 분류체계미지정
▣ 인용 디렉터리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5년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