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메인화면 (다빈치!지식놀이터) :: 가사  
가사
자 료 실
(R) 참조 자료
참조 지식창고/다큐먼트
about 가사
지식자료관리(A)
지식구성관리(B)
지식분류관리(C)

디렉터리 참조 자료

해당 디렉터리를 참조하는 지식창고 및 다큐먼트를 보여줍니다.
 – 참조 페이지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29. 15:28
낙지가(樂志歌) 최초등록 2019.07.16. 18:44
이 가사는 자연에 묻혀 사는 한가로운 즐거움을 노래한 은일가사로서 서사, 춘사, 하사, 추사, 동사, 결사의 6단락으로 이루어져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8. 14:31
태평사(太平詞) 최초등록 2019.07.18. 14:31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작자가 38세 때에 지은 작품으로 그의 문집인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작자가 경상도 좌병사 성윤문(成允文)의 지휘 아래 왜적을막고 있을 때 부산에 있던 적이 밤에 달아나자, 성윤문이 10여일 그곳에 머무른 뒤에 본영으로 돌아와 수군(水軍)을 위로하기 위하여 박인로로 하여금 이 가사를 짓게 한 것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8. 13:32
자경별곡(自警別曲) 최초등록 2019.07.18. 13:32
이 작품은 제명에 의하면, '스스로 자기를경계하는 노래'라는 경계 가사이다. 향약의 덕업상권, 격몽요결의 '학습지도요목', 학규의 '모범사목' 등과 관련이 깊은데, '덕업상권'의 20개 조목과 특히관련이 깊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8. 13:22
일동장유가(日東壯遊歌) 최초등록 2019.07.18. 13:22
조선 영조 때의 문인 김인겸의 작품으로, 영조 39년 조엄이 통신사로 일본으로 갈 때, 수행원으로 따라갔던 작가가, 출발해서 돌아올 때까지의 여정과 일본의 문물 제도, 인물, 풍속 등의견문을 기록한 기행 가사이다. 영조 39년 8월 3일 한양을 출발하여 이듬해 7월 8일 경희궁에 들어가 복명(復命)할 때까지의 약 11개월에 걸친 긴여정을 빠짐없이 기록한 것으로, 총 4책 8,000여 구나 되는 대작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8. 11:36
영남가(嶺南歌) 최초등록 2019.07.18. 11:36
노계가 75세 되던 해인 인조 13년(1635)에 영남 안절사로 왔던 이근원이 널리 선정을 베풀어 포덕선화하다가 임기가 되어 떠날 때에 그 고장 백성들이 모두 유임하기를 간청했다고 한다. 이 사실을 들은 노계가 그의 덕치를 찬양하기 위하여 지은 송찬가사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8. 11:33
연행가(燕行歌) 최초등록 2019.07.18. 11:33
1866년(고종 3) 가례주청사(嘉禮奏請使)의 서장관으로 북경(北京)에 다녀온 홍순학(洪淳學)이 지은 장편의 기행가사(紀行歌辭).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8. 00:51
속미인곡(續美人曲) 최초등록 2019.07.18. 00:50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4음보 1행으로 따져 48행이며, 기본 율조는 3·4조가 우세하다. 작품 연대는 정철의 나이 50세(1585)에서 54세(1589) 사이로 추측되고 있다. 군왕을 그리워하는 심정을 은유적으로 노래하였다. ≪송강가사 松江歌辭≫라는 판본에 수록되어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21:40
성산별곡(星山別曲) 최초등록 2019.07.17. 21:39
조선 선조 때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총 84절(행) 168구이며, 3·4조가 주축을 이루고 있는데 4·4조, 3·3조, 2·4조 혹은 2·3조, 4·3조 등도 더러 있다. ≪송강가사 松江歌辭≫·≪송강별집추록유사 松江別集追錄遺詞≫·≪서하당유고 棲霞堂遺稿≫ 등에 수록되어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21:26
선상탄(船上嘆) 최초등록 2019.07.17. 21:25
1605년(선조 38)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전문 68절 144구.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지은이가 통주사(統舟師)로 부산에 부임할 때 전선(戰船)에서 전쟁의 비애와 평화를 추구하는 심정을 노래한 작품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9:11
서호별곡(西湖別曲) 최초등록 2019.07.17. 19:11
조선 중기에 허강(許艮)이 지은 가사. 서호가·서호사(西湖詞)라고도 한다. 작자의 손자인 허목(許穆)이 편찬한 ≪선조영언 先祖永言≫과 양사언의 자필첩책(自筆牒冊)에 수록되어 전한다. 〈서호가〉(家傳本)와 〈서호별곡〉(楊氏所傳舊本)과는 사장(詞章)에 있어서 앞뒤가 서로 바뀐 것과 첨삭(添削)이 상반되는 부분이 많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9:07
서왕가(西往歌) 최초등록 2019.07.17. 19:07
고려 말기의 선승 혜근(惠勤)의 가송집. 1권 1책. 목판본. 1363년에 별책으로 간행되었다가 1379년에 ≪나옹화상어록≫과 합본되었으며, 혜근의 제자 각운(覺雲)이 편집하였다. 권두에 〈완주가 翫珠歌〉·〈백납가 百衲歌〉·〈고루가 枯盧歌〉의 3수와 이에 대한 이색(李穡)의 후기(後記)가 실려 있으며, 이어서 송(頌)·게(偈)·찬(讚) 등 300여 수가 수록되어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9:02
상춘곡(賞春曲) 최초등록 2019.07.17. 18:57
조선 전기에 정극인(丁克仁)이 지은 가사. 작자의 문집 ≪불우헌집 不憂軒集≫에 전한다. 작자가 치사 후 태인에 돌아와 자연에 묻혀 살 때 지은 것으로, 속세를 떠나 자연에 몰입하여 봄을 완상하고 인생을 즐기는 지극히 낙천적인 노래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8:12
사미인곡(思美人曲) 최초등록 2019.07.17. 18:12
1588년(선조 21)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26구이다. 음수율에서는 3·4조가 주조를 이루며, 2·4조, 3·3조, 4·4조, 5·5조, 5·3조 등도 나타난다. ≪송강집 松江集≫·≪송강가사 松江歌辭≫·≪문청공유사 文淸公遺詞≫ 등에 실려 전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4:33
북천가(北遷歌) 최초등록 2019.07.17. 14:33
조선 철종 때 김진형(金鎭衡)이 지은 유배가사. 필사본.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026구의 장편이다.작자가 홍문관교리로 있을 때 이조판서 서기순(徐箕淳)의 비행을 논척(論斥)하다가 반대파에 몰려 함경도 명천으로 유배되었다. 이 작품은 그 유배생활로부터 방면되어 돌아오기까지의 과정을 읊은 가사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4:26
북찬가(北竄歌) 최초등록 2019.07.17. 14:26
1755년(영조 31) 이광명(李匡明)이 지은 유배가사. 형식은 비교적 잘 다듬어져 있는데,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며 전체 분량은 2율각 1구로 세어 282구이다. ≪증참의공적소시가 贈參議公謫所詩歌≫에 실려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3:58
목동문답가(牧童問答歌 ) 최초등록 2019.07.17. 13:58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국한문필사본. 작자는 이황(李滉)으로 추정되기도 하였으나, 임유후(任有後) 측근 인물들의 증언과 문헌의 신빙성으로 보아, 임유후로 추정되기도 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3:55
명월음(明月吟) 최초등록 2019.07.17. 13:55
조선 선조 때 최현(崔睍)이 지은 가사. 모두 78구. 작자의 다른 가사 〈용사음 龍蛇吟〉과 함께 ≪인재속집 婦齋續集≫ 권8에 실려 전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3:49
면앙정가(俛仰亭歌) 최초등록 2019.07.17. 13:49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3:46
매호별곡(梅湖別曲) 최초등록 2019.07.17. 13:46
조선 인조 때 조우인(曺友仁)이 지은 가사.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총 178구이다. 필사본 ≪이재영언 蓬齋詠言≫과 ≪간례 簡禮≫에 전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3:40
만언답사(萬言答詞) 최초등록 2019.07.17. 13:40
만언사답 萬言詞答〉은 이웃사람이 작자를 위로하는 형식으로 썼는데, 사대부 취향의 관념적인 말을 늘어놓으면서 비록 고통스럽더라도 참으며 자신의 도리를 다하는 것이 옳다고 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3:38
만언사 (萬言詞) 최초등록 2019.07.17. 13:38
유배 가사의 하나로, 조선 정조 때 대전별감(大殿別監)이던 안조환(安肇煥)이 지은 가사(歌辭)로 '사고향(思故鄕)'이라고도 한다. 이본으로 필사본 3종이 전하며, 필사본에 따라 작자 안조환이 안도환으로 기록되어 있기도 하다. 작자가 34세 때에 추자도(楸子島)로 유배된 사건을 작품의 배경으로 하고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3:27
만분가(萬憤歌) 최초등록 2019.07.17. 13:27
조선 연산군 때 조위(曺偉)가 지은 유배가사. 국한문혼용체.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127구이며, 3·4조와 4·4조가 주조를 이루고 2·3조, 2·4조 등도 더러 있다. 안정복(安鼎福)의 ≪잡동산이 雜同散異≫ 제44책에 수록되어 전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2:49
독락당(獨樂堂) 최초등록 2019.07.17. 12:49
이 작품은 노계 박인로(1561∼1642)가 만년에 회재 이언적(1491∼1553)이 살던 경주 옥산의 독락당을 찾아갔을 때인 광해 11년(1619)에 지은 모현가사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7. 11:48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 최초등록 2019.07.17. 11:46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 1책. 필사본. 월령체(月令體) 장편가사이다. 작자가 고상안(高尙顔)이라는 설도 있었으나, 정학유로 고증되었다. 필사 이본으로는 권경호본(權卿鎬本, 1876)·이탁본(李鐸本)·정규영본(丁奎英本, 1925)·안춘근본(安春根本)·이능우본(李能雨本) 등이 전하고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6. 19:05
노계가(蘆溪歌) 최초등록 2019.07.16. 19:05
박인로가 남긴 7편의 가사 가운데 최후의 작품으로 '노계집'에 수록되어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6. 18:51
남정가(南征歌) 최초등록 2019.07.16. 18:51
조선 중기의 양사준(楊士俊)이 지은 가사. 목판본. ≪남판윤유사 南判尹遺事≫에 수록되어 있다. 작자가 양사준의 형인 양사언(楊士彦)이라는 주장도 있으나 이는 ≪남판윤유사≫의 편자가 이 작품을 양사언의 작품으로 오인한 데서 와전된 것이라고 본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6. 17:25
낙지가(樂志歌) 최초등록 2019.07.16. 17:25
조선 중종 때 이서(李緖)가 지은 가사. 줄글체 기사형식(記寫形式)에 순한문투의 표기이다. 형식은 모두 4·4조이며, 2음보 1구로 계산하여 전체 152구이다. 그의 문집 ≪몽한영고 夢漢零稿≫에 전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6. 17:21
낙빈가(樂貧歌) 최초등록 2019.07.16. 17:21
작자·연대 미상의 가사. 작품은 전체 51구로 되었으며, 3·4조 또는 4·4조의 형식이 주를 이루나 2·3조도 드물지 않다. ≪청구영언≫(大學本)과 가집 ≪잡가≫·≪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 등에 수록되어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6. 17:06
나옹화상서왕가(懶翁和尙西往歌) 최초등록 2019.07.16. 17:06
고려 말기의 선승 혜근(惠勤)의 가송집. 1권 1책. 목판본. 1363년에 별책으로 간행되었다가 1379년에 ≪나옹화상어록≫과 합본되었으며, 혜근의 제자 각운(覺雲)이 편집하였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6. 16:58
금강별곡(金剛別曲) 최초등록 2019.07.16. 16:55
1739년(영조 15) 박순우(朴淳愚)가 지은 기행가사. 단권. 한글필사본. ‘금강별곡 기미본’이라고도 한다. 시조 6수가 수록된 〈동유록 東遊錄〉과 함께 작자의 문집 ≪명촌유고 明村遺稿≫에 실려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7.16. 15:47
규원가(閨怨歌) 최초등록 2019.07.16. 15:38
조선 중기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가사. ‘원부사(怨夫詞, 怨婦詞)’ 또는 ‘원부가(怨婦歌)’라고도 한다. ≪고금가곡 古今歌曲≫과 ≪교주가곡집 校註歌曲集≫에 실려 전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5. 08:54
관서별곡(關西別曲) 최초등록 2019.06.25. 08:53
1555년(명종 10) 백광홍(白光弘)이 지은 기행가사. 지은이가 평안도 평사(評事)가 되었을 때 그곳의 자연풍물을 두루 돌아다녀 보고, 그 아름다움을 노래한 작품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5. 00:43
관동별곡(關東別曲) 최초등록 2019.06.25. 00:34
1580년(선조 13) 정철(鄭澈)이 지은 가사. ≪송강가사 松江歌辭≫와 ≪협률대성 協律大成≫에 수록되어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4. 17:53
고공답주인가 최초등록 2019.06.24. 17:32
조선 중기에 이원익(李元翼)이 지은 가사. 허전(許唆)이 지은 〈고공가 雇工歌〉에 화답한 가사이다. ‘고공답가(雇工答歌)’라고도 한다. 임진왜란을 겪은 뒤 명신이던 이원익이 지었다 하며,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전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4. 17:17
고공가(雇工歌) 최초등록 2019.06.24. 17:15
조선 중기에 허전(許唆)이 지은 가사. 순조 때 필사된 것으로 보이는 ≪잡가 雜歌≫라는 노래책에 실려 있다. 작품 전체는 110행이다. 이 작품은 임진왜란 직후에 선조가 지은 것으로 널리 알려져 왔으나, 이수광(李邈光)의 ≪지봉유설≫에 의하면 이는 잘못 전해진 것이고, 실제의 작자는 허전(許唆)이라고 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4. 17:10
계녀가(戒女歌) 최초등록 2019.06.24. 17:07
시집가는 딸에게 시집살이의 규범을 가르치기 위하여 지은 가사. 규방가사(閨房歌辭) 혹은 내방가사(內房歌辭)의 한 갈래로 규방가사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4. 16:20
개암가(皆巖歌) 최초등록 2019.06.24. 16:19
조선 후기에 조성신(趙聖臣)이 지은 가사. 필사본. ‘개암정가(皆巖亭歌)’라고도 한다. 창작연대는 본문 중에 “임술추(壬戌秋) 명년이라 이날 다시 노새”라는 내용으로 보아, 1801년(순조 1)으로 추정된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3. 20:01
강촌별곡(江村別曲) 최초등록 2019.06.23. 20:01
'환산별곡', '낙빈가' 등과 같이 관직 사퇴 후의전원의 한가한 생활을 읊은 가사로 조선 중기에 차천로(車天輅)가 지은 것으로 추정되는 가사. 은거자의 한적한 생활을 노래한 가사이다.
가사∙개화가사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최종변경 2019.06.23. 19:58
갑민가(甲民歌) 최초등록 2019.06.23. 19:58
조선 영조·정조 때 함경도 갑산사람이 지은 가사. 필사본. ≪해동가곡 海東歌曲≫에 실려 전한다. 작자는 성대중(成大中)이 함경도 북청부사로 있을 때, 이웃 고을인 갑산에 살던 사람이다.
 – 참조 다큐먼트
 – 참조 지식창고
지식카탈로그 가기
백과사전 으로 가기
▣ 분류체계미지정
▣ 인용 디렉터리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5년 7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