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달성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보
◈ 달성군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신라군과 서산성(西山城), 대몽항전과 현풍의 고려민(高麗民), 서산성(西山城)과 일본군(日本軍), 한줌의 재로 변한 일본신사 사건 /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김굉필(金宏弼, 1454∼1504), 곽준(郭埈, 1551∼1597), 곽재우(郭再祐, 1552∼1617), 박팽년(朴彭年, 1417∼1456)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신라군과 서산성(西山城)
신라에는 10정의 병사가 있어 그 중 1정의 병사가 달성군 현풍에 배치되었다. 정의 표시를 파랑, 노랑, 녹색, 검정의 색깔로 했는데 이곳 현풍에 배치된 정의 표시는 검정색이었다. 현풍을 신라 때는 현효(玄驍), 고려 때는 현풍(玄豊), 조선 때는 현풍(玄風)이라 하였는데, 이는 모두 머리에 ‘검을 현’자를 붙인 것이다. 신라에서 현풍에 군사를 주둔시킨 것은 현풍에 철기문화가 발달하였고, 대가야에 가까운 전략적 요충지로 저항을 막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 대몽항전과 현풍의 고려민(高麗民)
몽고병란때현풍의 고려민은 현내들의 곡식을 배에 싣고 낙동강을 거슬러 올라간 뒤 이를 등에 지고 문경새재를 넘어 한강상류에 뗏목을 매어 야음을 이용, 강화섬 갑곡까지 운반, 40년 동안 저항하여 끝내는 대몽항전을 승리로 이끌었다. 세계를 정복할 수 있었던 징기스칸(鐵木眞)도 고려만은 항복시키지 못했던 것이다.
 
◈ 서산성(西山城)과 일본군(日本軍)
선조(宣祖) 25년(1592) 임진왜란 때 일본의 9변 대장 우자수승(羽紫秀勝)의 대원에 의해 서산성은 함락되었다. 이때 곽 의병장은 초곡성<草谷城, 일명 과녀성(寡女城)>에 진을 치고 있으면서 잘 훈련된 의병을 뽑아 서산성을 공격했으나 성안의 적들은 꼼짝하지 않았다. 그러자 그는 서산성 뒷산에 야음을 이용하여 ‘허수아비’를 곳곳에 세우고 양손에 횃불을 들고 일제히 징, 꽹과리, 북을 치고 활을 쏘다가 갑자기 멈추면서「천강홍의장군(天降紅衣將軍)이 여기 있다. 내일 성을 뺏고, 네놈들을 모조리 죽일테다. 후회하지 말라」는 격문을 보냈다. 이에 놀란 적들은 그날 밤 성을 비우고 창녕으로 후퇴, 창녕의 적들도 겁에 질려 현풍의 적들과 영산(靈山)으로 후퇴하고, 영산에서도 곽장군의 의병에 쫓겨 성주(星州)로 달아났다.
 
◈ 한줌의 재로 변한 일본신사 사건
일제 강점 후 현풍 소재 사직단(社稷壇)을 허물고 그 자리에 일본신사를 지었는데 2차대전이 한창이던 1945년 1월 우리 애국자 한 분이 됫병에 석유를 넣어 불질러 이를 한줌의 재로 만들어 버렸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김굉필(金宏弼, 1454∼1504)
자 대유(大猷), 호 한훤당(寒暄堂), 시호 문경(文敬), 본관 서흥(瑞興), 벼슬은 사헌부 감찰, 형조좌랑. 무오사화 때 김종직(金宗直)의 문도로 평안도 희천(熙川)과 전라도 순천(順天)에 유배, 갑자사화 때 51세를 일기로 1504년 사사되었다. 평소 6경 연구에 전심하고, 성리학에 통달하였으며, 그의 도학정신은 제자 조광조(趙光祖), 김정국(金正國) 등에 계승 발전되어 이기론(理氣論)을 중심한 영남학파의 양대 지주인 이황(李滉), 조식(曺植)이 도학의 지평을 연 그를 ‘우리나라 도학의 대종’으로 받들어 동방 5현에 올려놓았다. 『경현록(景賢錄)』, 『한빙계(寒氷戒)』는 현대사회에 재조명이 필요하다.
 
◈ 곽준(郭埈, 1551∼1597)
자 양정(養靜), 호 존재(存在), 시호 충렬(忠烈), 본관 현풍, 정유재란 때 안음현감(安陰縣監)으로서 황석산성(黃石山城)을 지키던 중 중과부적으로 순사 하였으며, 그의 두 아들(履常, 履厚)도 부친의 피신 권유에도 응하지 않고 순사하였고, 장자부 거창신씨(居昌愼氏)도 남편을 따라 자결하였고, 딸인 유문호(柳文虎)의 처도 남편의 전사를 듣고 목매어 자결하였다. 선조(宣祖)는 일문삼강(一門三綱)이라 정려를 명했다. 예연서원(禮淵書院) 장판각에는 존재선생실기 책판(유형문화재 제299호)이 보관되어 있다.
 
◈ 곽재우(郭再祐, 1552∼1617)
자 계수(季綬), 호 망우당(忘憂堂), 의병장, 시호 충익(忠翼), 본관 현풍, 조식(曺植)의 문인, 정시문과 을과로 급제했으나 왕의 뜻에 거스른 글귀 때문에 파방(罷榜), 성주목사, 경상좌도 방어사, 한성좌윤, 함경도관찰사, 증직병조판서, 예연서원 장판각에는 망우당선생문집 책판 2종, 창의록 책판 140판이 보관되어 있다.
 
◈ 박팽년(朴彭年, 1417∼1456)
자 인수(仁受), 호 취금헌(醉琴軒) 본관 순천(順天) 알성문과 급제, 집현전 학사, 충청도 관찰사, 형조참판, 단종(端宗) 복위를 꾀하다 김질의 밀고로 사형, 낙빈서원(洛濱書院)에 배향하다가 1982년 육신사(六臣祠)에 사육신과 함께 배향, 그의 필적을 알 수 있는 취금헌 천자문이 있다.
 
- 대한민국 제13대 대통령 노태우(盧泰愚)씨도 대구 달성 출신이다.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보물
 
◈ 도동서원강당 사당부 장원 - 제350호 구지면 도동리 35
 
◈ 용연사 석조계단 - 제539호 옥포면 반송리 865
 
◈ 태고정 - 제554호 하빈면 묘리 638
 
◈ 현풍석빙고 - 제673호 현풍면 상리 632
 
 
■ 중요민속자료
 
◈ 묘동박황씨가옥(竗洞朴愰氏家屋)
제104호 하빈면 묘리 800번지 소재. 묘동박황씨가옥(竗洞朴愰氏家屋)에는 별당(하엽정), 곳간 안채, 사랑채(삼가헌), 곳간 대문채 등이 중요민속자료 제104의 1~6호로 지정되어 있음.
 
◈ 달성 조길방 가옥 제200호 가창면 정대리 350
 
 
■ 유형문화재(시지정)
 
◈ 도곡재 - 제32호 하빈면 묘리 692
 
◈ 효종어전 희우시회 인물도 - 제33호 가창면 대일리 51
 
◈ 남지장사 청연암 - 제34호 가창면 우록리 865
 
◈ 달성 용봉동 석불입상 - 제35호 유가면 용리 산1
 
◈ 달성하목정 - 제36호 하빈면 하산리 1043-1
 
◈ 명심보감판목 - 제37호 화원읍 본리리 730
 
◈ 이철견 신도비 - 제38호 옥포면 강림리 731-1
 
◈ 망우당선생문집책판부창의록책판 - 제39호 유가면 가태리 539
 
◈ 존재선생 실기책판 - 제40호 유가면 가태리 539
 
◈ 용연사 극락전 - 제41호 옥포면 반송리 882
 
◈ 대견사지 3층석탑 - 제42호 유가면 용리 산1
 
 
■ 민속자료(시지정)
 
◈ 남평문씨 본리세거지 - 제3호 화원읍 본리리 401-2
 
 
■ 기념물(시지정)
 
◈ 예연서원 - 제11호 유가면 가태리 539
 
 
■ 문화재자료(시지정)
 
◈ 현풍향교 대성전 - 제27호 달성군 현풍면 상리 326-1
 
◈ 용연사 3층석탑 - 제28호 달성군 옥포면 반송리 882
 
◈ 현풍곽씨 십이정려각 - 제29호 달성군 현풍면 지리 1348-2
 
◈ 이노정 - 제30호 달성군 구지면 내리 443
 
◈ 소계정 - 제31호 달성군 옥포면 기세리 714
 
◈ 이양서원 - 제32호 달성군 현풍면 대리 907-4
 
 
■ 무형문화재(시지정)
 
◈ 하향주 - 제11호 달성군 유가면 음리 382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보
• 달성군의 어제와 오늘
• 달성군의 역사문화자원
• 달성군의 생활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전체 의견 0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