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달성군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보
◈ 달성군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세시풍습, 옛 생활 세탁법, 집단 민속놀이, 민요, 농악, 집성촌, 현풍곽씨 솔례마을(率禮 : 大一里), 현곽팔주, 옛 정취가 물신 풍기는 하빈 묘골마을, 남평문씨 본리세거지(민속자료 제3호)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세시풍습
설은 삼가(愼)는 세시풍습이 많다. 정초에 띠(干支)를 따라 정월 첫 쥐날(子日)에는 여자들이 바느질하면 쥐구멍 뚫린다고 삼가고, 소날(丑日)에는 쇠로 된 연장 예를 들어 작두, 부엌칼 등의 사용을 꺼린다. 범날(寅日)은 여자의 출입을 일찍 삼가며, 토끼날(卯日)은 여자가 남자보다 늦게 거동한다. 뱀날(巳日)은 여자들이 머리감는 것을 꺼린다.
 
◈ 옛 생활 세탁법
이곳 사람들은 일제말까지만 하여도 빨래할 때 콩깍대, 따북대, 아카시아, 매물대, 볏짚, 참깨대를 태워서 재를 대소쿠리에 담아 물을 부어서 내려오는 ‘잿물’을 가지고 세탁을 하였다.
 
◈ 집단 민속놀이
이곳의 화전놀이는 비슬산 참꽃 군락지와 산자락에 자생하는 참꽃으로 부쳐왔으나 그 맥이 사라지자 ‘비슬산 참꽃제’로 재연하고 있으며, 다사 서재리의 ‘집터다지기 놀이’가 계승되고 있다.
 
◈ 민요
달성마을지에 수록된 민요수는 197곡이다. 거의 노동요와 의식요로 노동요는 모내기 노래, 논매기 노래, 삼 삼는 노래, 어사령 등이며, 의식요는 상여매기 노래, 지신밟기 노래, 성주풀이와 유가 쌍계리의 토속민요 등이다.
 
◈ 농악
① 다사 12차진굿풍물 : 세천리의 천수제와 빗신제, 토신제에서 전승되어 온 것으로 추학업 →이상길 → 추교봉 → 배기순 → 추교순 → 배관호 등 으로 이어왔다. 사무소 : 다사읍 마을금고 2층 ☎(053)638-4281 ② 현풍 낙동풍물연구원 : 현풍성하리 송임수(90)에 의해서 한기택에 전수되어 쇠와 오복춤 풍물놀이를 계승 발전시켰다. 사무소 : 현풍면 상리 690-3 ☎ (053)616-5353
 
◈ 집성촌
① 한훤당 김굉필 선생 종택 : 현풍 지리(못골) 1142번지의 종택은 대지 1,800평, 안채 정면 6칸(6·25전 12칸), 측면 2칸, 소학당 전면 6칸, 측면 2칸, 행랑 4칸 저후퇴, 창고 4칸, 불천위 가묘 3칸, 소설문 5칸, 소학당은 대청 현남에 한훤고택(寒暄古宅), 안쪽 정면에 소학세가(小學世家) 현판이 걸려 있고, 마루에서 큰 방으로 돌아가는 문위에 광제헌(光霽軒)이란 당호도 걸려 있다. 6·25전에는 대원군의 친필이었으나 오늘의 것은 김규태가 쓴 것이다. 제사는 기일, 다래 음력 정월 1일, 8월 15일, 묘사(3월 10일, 10월 2일)는 도동서원 춘추향사와 함께 유림봉사 한다.
 
◈ 현풍곽씨 솔례마을(率禮 : 大一里)
이 마을은 현풍곽씨 103가구가 사는 집성촌이다. 시조 곽경의 12대손 안방(安邦)이 비슬산 남쪽에서 발원하여 역수하는 차천 북쪽 대니산 자락명당에 세거지로 정한후 2유현과 현곽8주(玄郭八走)를 배출, 문호가 발전하였다. 안방의 아들 승화(承華)는 1477년 진사급제 김종직 문하에서 김굉필과 동학시 선생께서 김, 곽 양수재라 했다. 지운(之雲)은 1524년 문과급제 예조좌랑, 심(心)·모(貌)·문(文)이 빼어나 삼옥당이라 했다.
 
◈ 현곽팔주
① 초(超) : 사마시급제, 인조의 부마 간택에 불응 파방 ② 월(越) : 문과급제, 황해도 관찰사, 명나라동지사 ③ 규(赳) : 문과급제, 외직 6주, 승지 ④ 익(瀷) : 문과급제, 울산부사 ⑤ 간(桿) : 문과급제, 공주, 강릉부사 ⑥ 황(璜) : 문과급제, 함안군수 ⑦ 율(聿) : 사마시급제, 초계군수 ⑧ 준(逡) : 임진왜란 때 안음현감, 황석 산성 성주로 순사, 아들 둘, 자부, 딸 등 오중순사. 특히 임진왜란때 재우(再祐)와 같은 명장을 배출한 곳이다.
 
◈ 옛 정취가 물신 풍기는 하빈 묘골마을
단종 복위를 주장하다가 화를 당한 사육신 가운데 한분 인 박팽년(朴彭年)의 후손이 총 83가구 중 21가구가 사는 순천 박씨의 집성촌이다. 마을에는 태고정 (太古亭 : 보물 제554호)을 비롯한 삼가헌 (三可軒)및 하엽정(荷葉亭 : 중요민속자료 제104-1호) 도곡재(陶谷齋 : 지방유형문화재 제32호), 낙빈서원, 육신사, 충효당, 암충각, 옛스런 토담, 일반 동산 문화재, 삼해주, 송순주 등 면면히 이어온 조상들의 생활모습과 살아온 내력을 알려주는 훌륭한 문화 유산들이 많이 있다.
 
◈ 남평문씨 본리세거지(민속자료 제3호)
원래 인흥사 자리였던 명당터로 임진왜란 때 불탄 자리에 충선공 문재철(文在徹)이 1715년 문씨일가터로 바꾼 것이다. 그는 넉넉한 재력으로 대웅전 자리에 종택을 짓고 정전법(井田法)에 따라 구획을 정리하여 터전과 도로를 반듯하게 만들어, 크고 작은 집을 지었던 것이다. 지금은 아홉 채의 집과 정자 두 채가 있다. 특히 인수문고(仁壽文庫)에는 한(漢)의 서적 수천 권을 비롯한 1만여 권의 도서가 있다.
 
 
 

1.2. 구전설화

 
◈ 소(沼)바위
옛날 옥포 간경리에 한 부부와 여동생이 살고 있었다. 어느해 여름 억수같은 비가 계속 내려 세 사람이 논의 물을 빼내기에 정신이 없는 사이에 갑자기 집채같은 물결에 휩쓸려 떠내려가다가 남편이 절벽 바위를 재빨리 붙들고 뒤를 돌아보니 아내와 여동생이 떠내려 오고 있는데 한 손은 바위를 붙들고 있으니 두 사람을 한꺼번에 구할 수 없어먼저 아내를 구하고 다시 동생을 구하려 하였으나 이미 멀리 떠내려 가버렸다. 마을 처녀들은 그 처녀의 혼을 달래려 노래를 지어 불렀는데 후세 사람들은 부부가 붙잡고 살아난 그 바위를 ‘소바위’라 했고, 노래 내용은 다음과 같다.
 
능청 휘청 저 비려(벼랑) 끝에 무정하다 / 우리 올배(오빠) 나도 죽어 후생(後生) 가서 / 낭군님부터 싱길라네(섬길려네)
 
 
 

1.3. 주민의 종교생활

 
달성은 비슬산의 불교문화와 낙동강의 유교문화가 발달하여 왔는데 전통사찰은 용연사(龍淵寺), 유가사(瑜伽寺), 소재사(消災寺), 용문사(龍門寺), 남지장사(南地藏寺), 현풍포교당(玄風布敎堂) 등이며, 유림행사를 지내는 서원은 도동서원(道東書院), 이양서원(履陽書院), 화산서원(花山書院), 예연서원(禮淵書院), 인흥서원(仁興書院), 녹동서원(鹿洞書院), 육신사(六臣祠) 등이다. 개신교는 1904년 미국 선교사의 지도로 조기문, 이영우 등이 기독교실을 설치한 것이 현풍장로교회의 효시이며, 화원 천주교 성당은 1938년 대구 남산 본당으로부터 화원본당의 설립 승낙을 받게되어 설립되었다.
 
 
 

1.4. 주민의 생활권역

 
◈ 우록리 흑염소 먹거리골목
가창 우록리와 삼산리 일대 달성군 지정 먹거리 골목에는 염소 불고기, 탕, 전골 등 입맛을 돋구는 식당들이 많이 있어서 다양한 흑염소 요리를 맛볼 수 있으며 정기적으로 흑염소싸움대회를 열어 볼거리를 제공하고 있다. ☎ (053)650-3321
 
 
 

1.5. 지역의 별미음식

 
◈ 현풍 박소선할매집 곰탕
수십년 전부터 정성을 들여 현풍에서 고 박소선 할머니가 곰탕을 개발하였으며, 1987년 구마고속도로가 개통되면서 전국적으로 소문이 나 수많은 고객의 발걸음이 끊이지 않고 있으며, 국가가 인정하는 국제행사인 대전 엑스포, 경주엑스포 등 여러 행사에 시·도지사의 추천을 받아 향토 대표음식으로 참여하여 많은 칭찬과 호응을 받은 바 있으며, 현재 대를 이어 아들 차준용씨가 운영하고 있다.
대구광역시 달성군 정보
• 달성군의 역사문화자원
• 달성군의 생활문화자원
• 달성군의 예술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