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직단과 광주향교 사직봉과 성거산(聖居山, 또는 龜崗)으로 이어지는 동사면에 있는 사직봉의 사직단과 성거산의 광주향교와 성거사터는 유서가 깊다.
일본이 우리나라를 강점한 뒤 사직단에는 군사훈련장과 동물원을, 성거사터에 신사를 짓고 향교가 있는 교촌(校村)을 교사(校社)리로 바꾸고 학생들까지 신사를 참배시켜 우리 민족정신을 말살시키려 했다. 일본이 패망한 뒤 미군정청 군인들이 제일 먼저 신사당에서 요란한 밴드에 맞춰 양춤을 추었다.
그뒤 사직공원의 동물원은 우치공원으로 옮기고 사직단과 호남 유현들의 시비를 세우고, 광주향교 옆에는 전남관찰부 관원들의 치적비군을, 신사터에는 현충탑을 세웠다. 이제 광주공원은 노인들의 낙원이 되어 옛 거북등의 의미를 되새길 수 있게 하여 준다.
◈ 사직제(社稷祭) 맹춘 정월 첫 신일(申日)에 기곡제(祈穀祭, 풍년을 비는 제), 중춘 6월과 중추 8월 첫 술일(戌日)에 납일(臘日, 동지 후 셋째 戌日인데 조선조에 셋째 未日로 변경함)을 기해 국가와 민족의 안녕을 위해 일년에 네 차례 봉행(奉行)하는 제례다.
그리고 가뭄이 들면 기우제(祈雨祭), 비가 많이 내리면 기청제(祈淸祭), 눈이 오지 않으면 기설제(祈雪祭)를 올렸던 전통의식으로 제수(祭需)는 혈제(血祭, 犧牲의 피를 바침)로 날로 봉헌하였다.
일본의 강압으로 1894년 폐례되었다가 1993년 복원하여 1994년 꼭 100년만에 사직제를 올렸다.
◈ 방림뽕뽕다리 광주천에 나무로 얽어맨 다리로 방림에서 학동 삼거리로 건너 다니기가 옹색스럽다 하여 1970년 주민 숙원으로 놓아진 다리가 바로 뽕뽕(활주로 PSP 철판)다리다. 광주에는 우연인지 필연인지 뽕뽕다리가 두 군데 있었다. 광주천변에 위치한 방림은 상류, 발산은 하류의 삼각지대, 더 나갈 수 없는 즉 시작과 끝이 상반된 두 곳은 생활상도 거의 유사하여 더 애환이 서린 그 자리에 1986년 방림교가 놓아지고, 더 나갈 수 없던 삼각지대도 길이 뚫렸고 뽕뽕다리도 사라졌지만 그 정취가 물씬 배어나는 곳이다.
◈ 남구청 자리 마령산 서편(일명 제석산) 기슭에 있는 조봉촌은 동향으로 동이 일찍 트고, 뒷산이 경사져 해 어스름이 빨리 든다. 이러한 입지로 새들이 아침 일찍부터 노래하고, 저녁에 많은 새들이 찾아 드니 으례 봉황이 따르기 마련이다. 봉황의 출현을 영접하는 꾀꼬리가 이곳으로 날아들었다는 조봉촌의 조봉지를 매립하여 남구청 터를 잡아 1994년 착공, 1995년 완공하여 남구민 민원의 산실이 되었다.
◈ 정만종(光州鄭氏 萬鍾) 양림 태생, 조선 중종 11년(1516) 문과에 급제, 예조참판 등을 지내고 『중종실록』을 편찬한 문신, 자는 인보(仁甫), 호는 조계(棗溪).
◈ 정엄(鄭淹, 1530∼?) 정만종의 아들, 문과로 승정원 동부승지 등을 지낸 문신, 자는 중범(仲范), 호는 양촌(楊村, 老仙)으로 양림의 연원이 되었다.
◈ 김문발(光山金氏 文發, 1359∼1418) 옛 광주 평장동(담양)태생, 황해도 도관찰출척사 등을 지낸 문신. 대촌 칠석리로 이거하여 부용정에서 남전향약과 백록동규약을 시향하였다.
◈ 고경명(長興高氏 敬命, 1533∼1592) 광주 압촌 태생, 자는 이순(而順), 호는 제봉(霽峯), 명종 13년 문과 장원으로 세자시강원사서 등을 지내고 동래부사를 끝으로 낙향, 임란이 일어나자 고령에도 7천 의병을 모아 왜적과 싸우다 순국한 충신, 『제봉집』, 『유서석록』, 증 의정부 좌찬성, 시호 충렬(忠烈).
◈ 고종후(高從厚, 1554∼1593) 고경명의 장자, 자는 도중(道仲), 호는 준봉(準峯), 1577년 문과로 출사하여 현령, 의병을 규합해 복수장으로 출전, 진주성이 함락되자 남강에서 순절한 충신, 증 이조판서, 시호 효열(孝烈).
◈ 고인후(高因厚, 1560∼1592) 고종후의 아우, 자는 선건(善健), 호는 학봉(鶴峯), 1589년 문과로 학유하여 아버지와 함께 순국한 충신, 증 예조참의, 시호 의열(毅烈).
• 고경명(高敬命, 본관:장흥(長興), 아호:제봉(霽峯) 또는 태헌(苔軒), 생존시대:1533 ∼ 1592, 유적지:표충사) • 고종후(高從厚, 본관:장흥(長興), 아호:준봉(準峰), 생존시대:1554 ∼ 1593, 유적지:포충사) • 고인후(高因厚, 본관:장흥(長興), 아호:학봉(鶴峰), 생존시대:1561 ∼ 1592, 유적지:포충사)
◈ 서5층석탑(보물 제109호) 광주공원 북쪽 공원 광장에서 시민회관과 실내체육관 사이에 있는 고려시대 탑이다. 이 탑은 성거사(聖居寺)의 5층탑인데 절은 간곳 없고 그 터가 충헌탑이 서있는 곳이라 한다. 오늘날의 광주공원이 있는 성거산 또는 성구강(聖龜崗)이라 하는 곳에 성거사가 있다는 기록이 『동국여지승람』에 있다.
◈ 광주향교(光州鄕校, 시 유형문화재 제9호) 광주공원 남쪽의 광주향교는 조선의 선비들이 학문을 닦던 곳이다.
한편 공자(孔子)를 숭모하는 문묘가 있어 음력 2월 상정일(上丁日)과 8월 상정일(上丁日)에 춘추로 유림들과 관내 기관장들이 제향(祭亨)을 엄숙히 봉행한다.
광주향교는 1398년 무등산 장원봉 아래 있었는데 호환이 두려워 동명동으로 옮겼다. 1488년 홍수로 인하여 광주현감 권수평이 이곳에 중건했는데 정유재란 때 왜적들에 의하여 소실되었으나 위패는 권일제가 보관하였다 다시 지은 다음 봉안하여 오늘에 이른다.
◈ 최희량 임란첩보서목 일괄 임진왜란 때 전남 흥양현감 최희량(崔希亮)이 1598(선조 31)년 3월 20일부터 7월 12일까지 왜병을 격파한 것을 전라좌도 수군절도사에게 첩보한 서목이다.
◈ 최승효 가옥(민속자료 제2호) 광주 부자 최상현(相鉉)의 집인데 차남 집을 사직동에 짓다보니 크게 지어져 최부자가 이거하고, 차남 정엽이 살다 1976년에 양도하였다.
1920년 정면 8칸, 측면 4칸, 건평 49.9평의 동향으로 지은 와가로 대청 천정은 연등이고, 다른 천정은 다락인데 외부에 완공을 두어 안이 훤한 이 다락이 항일 독립투사들의 은신처였다 한다.
◈ 칠석동 은행나무(기념물 제10호) 높이 26여m, 둘레 6.47m, 지엽 동서 30m, 남북 32m. 수령 800년 추정, 옛부터 고싸움놀이는 고로 은행나무를 먼저 돌고 시작하였다. 옻돌골은 사나운 와우 형국으로 고삐를 맨 말목이 은행나무에 해당된다. 정월 대보름날 밤 당산제를 지낸다.
◈ 필문 이선재(1389∼1454)의 부조묘 조선 초 광주 태생, 문과로 세자빈객, 예문관 제학에 등과했다. 문종 때 『고려사』 편찬에 참여하였던 공을 기리기 위하여 부조지전으로 건립한 사당의 부조묘다.
◈ 고씨 삼강문 임진왜란 때 순국한 고경명(高敬命)선생과 그 일가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정려는 1충, 3효, 2열, 1절의로 현창되어 있다.
◈ 고원희 가옥 고경명선생의 옛 집터에 1917년에 지은 집이다. 사당은 고경명선생과 두 아들 종후, 인후의 부조묘로 구성되어 있다.
◈ 우일선 선교사 사택(기념물 제15호) 미국인 우일선(Wilson)선교사가 1920년경 양림산에 네덜란드식으로 지은 2층 집으로 광주에서 가장 오래된 양관이었다.
◈ 오웬기념각(유형문화재 26호) 양림동 67-1에 있는 전남 최초의 선교사로 순교한 오웬을 기념하기 위하여 지어진 회색벽돌조 건물이다.
■ 중요무형문화재
◈ 고싸움놀이 - 제33호 칠석동127-1
■ 유형문화재(이하 시지정)
◈ 지산재 - 제10호 715-1
◈ 제봉문집 목판 - 제20호 원산동774
◈ 포충사소장 고경명문적 - 제21호 원산동774
◈ 기대승종가 소장문적 - 제22호 월산동979-8
■ 무형문화재
◈ 진다리붓(안종선) - 제4호 백운동623-37
◈ 판소리 고법(김남종) - 제11호 진월동 새한A 103 -1305
◈ 판소리 춘향가(동편제) - 제16호 예능보유자 방아순 사직동238-5
■ 기념물
◈ 포충사 - 제7호 원산동774
◈ 고씨삼강문 - 제12호 압촌동103-5
◈ 양림동 호랑가시나무 - 제17호 양림동230-1
◈ 괘고정수 - 제24호 원산동 579-1
■ 민속자료
◈ 이장우 가옥 - 제1호 양림동128
■ 문화재자료
◈ 양과동정 - 제12호 이장동166-2
◈ 부용정 - 제13호 칠석동 129
◈ 선사주거지 석곽묘 - 제18호 임암동64 원산동 1
◈ 양과동계 고문서 - 제19호 이장동 166
◈ 석아정 오방정 현판 - 제22호 월산동931-7
• 광주서오층석탑(光州西五層石塔) • 고싸움놀이(이인식) • 광주향교(光州鄕校) • 지산제(芝山齊) • 제봉문집목판(霽峰文集木版) • 포충사 소장 고경명 문적(褒忠寺 所藏 高敬命 文籍) • 기대승종가 소장 문적(奇大升宗家 所藏 文籍) • 포충사(褒忠祠) • 칠석동 은행나무(漆石洞 銀杏나무) • 고씨삼강문(高氏三綱門) • 우일선 선교사사택 • 양림동 호랑가시나무 • 필문 이선제 부조묘(筆門 李先齊 不 廟) • 고원희 가옥(高元熙 家屋) • 양과동정(良苽洞亭) • 양과동계 고문서(良苽洞契 古文書) • 부용정(芙蓉亭) • 진다리붓(안종선, 1911년생) • 이장우 가옥(李章雨 家屋) • 최승효 가옥(崔昇孝 家屋) • 임암동, 원산동 선사주거지 및 석곽묘(林巖洞, 院山洞 先史住居址 및 石槨墓) • 석아정·오방정 현판(石啞亭·五放亭 懸板) • 괘고정수(掛鼓亭樹) • 판소리고법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