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함양군 경상남도 함양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경상남도 함양군 정보
◈ 함양군의 어제와 오늘
1. 내 고장의 어제와 오늘
 
 
 
함양은 경상남도의 서북쪽에 위치하여 산간오지로서 전체 면적의 79%가 임야이고 경지는 14%에 불과하다. 남쪽에 솟은 지리산(1,915m)을 진산으로 하여 북쪽에는 남덕유산 (1,507m)이 솟아있고 그 중간에 백운산(1,279m)이 솟아있다.
지리산에서 흐르는 엄천(28㎞)과 덕유산에서 흐르는 남계천(20㎞), 백운산에서 흐르는 위천(14㎞)이 군의 동남쪽에서 합수하는데 그 강변에 약간의 전답이 형성되어 취락을 이루고 살아간다. 특히 이 지방은 누에고치와 창호지, 칠기와 곶감이 유명한 고장이었으나 시대의 변천에 따라 쇠퇴해버리고 현재는 고산의 절벽과 암벽에서 따내는 석이버섯과 송이버섯이 유명하고 지리산 벌꿀과 함양사과 양파 등이 특산물이다. 과거에는 교통이 불편하고 문화의 혜택을 받기 어려웠으나 앞으로는 고속도로가 사통팔달로 개통되면서 교통의 중심지가 될 것이며 물류 유통과정에 있어 전국 집산의 중심지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동국여지승람』에 함양은 겸손하고 안의는 투쟁적이라 했으니 「예절이 바르고 근면하며 불의와 싸우는 성격」이 함양의 성품이라 할 것이다.
 
 
 
백천리 고분 토기(사진:정순백)
 
<함양군 연표>
시 대
연 대
주 요 사 항
 
고대
가야시대
안의면 이전리에서 마제석기 출토, 1980년 백천리 고분에서 5세기말의 토기, 철기출토, 1972년 상백리 고분에서 마제 석기 등 6·7세기의 석기, 토기, 철기 출토.
 
신라초
속함군 혹은 함성이라 함.
 
487
각연대사가 안의 장수사 창건.
 
657
행호조사가 안국사, 금대암 창건.
 
757
경덕왕 16년 천령군으로 개칭, 마리현을 안의현으로 개칭.
 
고려
983
성종 2년 천령군을 허주도단련사로 승격.
 
1010
허주도단련사를 함양군으로 강등하고 1018년 현으로 강등했다가 복군하고 함양의 ‘含’을 ‘咸’으로 고침.
 
1380
우왕 6년 왜구의 침입으로 사근산성이 함락되고 박수경, 배언 등 장수와 500여 군사가 전사하고 함양읍성이 소실됨.
 
조선
1395
태조 4년 군으로 승격하고 함양향교를 창건하다.
 
1597
선조 30년 정유재란으로 황석산성에서 혈전이 벌어짐.
 
1729
영조 5년 함양군을 함양부로 승격, 정조 12년 함양군으로 환원.
 
1769
영조 43년 안음현을 안의현으로 개칭.
 
근대
1907
순종 2년 함양에 기독교가 처음으로 들어오다.
 
1908
함명학교 설립, 신교육 실시.
 
1914
안의군 7개 면이 함양군으로 병합.
 
1933
대지면이 안의면으로 병합.
 
현대
1957
석복면을 함양면에 병합, 읍으로 승격시켜 1읍 10개 면이 됨.
 
1973
안의면 춘전리와 진목리를 거창군으로 편입시키다.
 
 
 
 
 
 
 
 
2. 역사문화자원
 
역사적 사건과 현장
◈혈전이 벌어진 고장 함양은 가야국의 문화권에 속했으나 가야가 신라에 병합되자 신라의 국경지대로서 백제와의 패권다툼의 공방전이 계속된 곳으로 많은 산성이 산재해 있는 고장이다. 남해와 가까운 곳에 있는 이 지방은 왜구들의 침략과 약탈로 고려시대부터 환란을 겪어왔다. 임진왜란 때는 많은 의병이 일어났고 진주, 남원과 더불어 남부지역의 3대혈전인 황석산성의 전투에서 왜군이 곤욕을 치렀고 일제침략기에는 문태서, 전성범, 석상용, 권석도, 전백현 등 많은 의병장들이 의병을 일으켜 투쟁했으며 광복후 6·25를 전후해서 7년간이나 빨치산 공비들과 군경들 틈바구니에서 많은 사람들이 희생되기도 한 고장이다.
 
◈영남학파의 본거지 점필재 김종직 선생이 이곳 군수로 부임하면서 학문이 불꽃처럼 일어나 정여창, 김굉필, 김일손, 유호인, 표연말 등 영남학파의 거두들이 이 고장에 모여서 학문의 꽃을 피웠으나 무오사화와 갑자사화로 말미암아 죽음을 당하거나 부관참시되기도 했다.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조승숙(여말∼선초) 고려말 두문동 72인 중의 1인으로 낙향, 후진양성으로 학풍을 일으킴, 중국황제의 자금 어대, 조선 태종의 침향궤 하사, 성종은 조의제문을 지어보냄
 
◈정여창(1450∼1504) 동국 18현인 중의 1인, 김종직의 문하생, 성리학의 대가로 5경에 통달하고 역행실천하는 학자로 무오사화에 유배, 갑자사화에 부관 참시당함
 
◈양관(1437∼1507) 3년간 덕천군수로 많은 치적을 쌓고 돌아올 때 몇 권의 책과 학 그림 1점, 베홑이불 1점뿐이었던 청백리, 왕명으로 그의 행색을 그려 대궐 벽에 걸고 관리들의 본을 삼게 함
 
◈문태서(1880∼1913) 농민의 아들로 태어나 1906년 의병을 일으켜 1911년까지 영남, 호남, 호서지방을 누비며 수십회에 걸쳐 왜적을 공격하여 큰 성과를 올리고 수백점의 무기를 노획한 항일의병장
 
◈이병헌(1870∼1940) 타락하고 쇠퇴한 유교를 개혁하여 공자를 유일교주로 삼고 해이해진 국민 정신을 바로잡아 의식개혁을 통해 주권을 회복하고 부국강병을 목적으로 활동했지만 보수 유림들의 완강한 반발에 의해 성장하지 못했으나 근래에 학자들의 연구대상이 되고 있음
 
내 고장의 문화유산
■보물
◈승안사지 3층석탑 제294호, 수동면 우명리
 
◈마애여래입상 제375호, 마천면 덕전리
 
◈함양석조여래 좌상 제376호, 함양읍 교산리
 
◈벽송사 3층석탑 제474호, 마천면 추성리
 
■사적
◈사근산성 제152호, 수동면 원평리
 
◈황석산성 제322호, 서하면 봉전리
 
■천연기념물
◈함양상림 제154호, 함양읍 운림리
 
 
 
함양상림
◈목현리구송 제358호, 휴천면 목현리
 
◈서하운곡리은행나무 제406호, 서하면 운곡리
 
◈학사루느티나무 제407호, 함양읍 운림리
 
■중요민속자료
◈정병호 가옥 제186호, 지곡면 개평리
 
◈허삼둘 가옥 제207호, 안의면 금천리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함양이은리석불 제32호, 함양읍 운림리
 
◈승안사지석조여래좌상 제33호, 수동면 우명리
 
◈금대사 3층석탑 제34호, 마천면 가흥리
 
◈안국사부도 제35호, 마천면 가흥리
 
◈극락사지석조여래입상 제44호, 서상면 옥산리
 
◈용추사일주문 제54호, 안의면 상원리
 
◈함양학사루 제90호, 함양읍 운림리
 
◈함양남계서원 제91호, 수동면 원평리
 
◈광풍루 제92호, 안의면 금천리
 
◈일두선생문집책판 제166호, 수동면 원평리
 
◈개암선생문집책판 제167호, 수동면 원평리
 
◈함양향교 제225호, 함양읍 교산리
 
◈안의향교 제226호, 안의면 교북리
 
◈함화루 제258호, 함양읍 운림리
 
◈옥계신도비 제300호, 지곡면 평촌리
 
◈김교적개신교서 제313호, 함양읍 용평리
 
◈경암집책판 제314호, 마천면 추성리
 
◈묘법연화경책판 제315호, 마천면 추성리
 
◈벽송당지엄영정 제316호, 마천면 추성리
 
◈청향당실기책판 제317호, 병곡면 송평리
 
◈용산사지석조여래입상 제318호, 함양읍 교산리
 
◈대덕리마애여래입상 제319호, 함양읍 대덕리
 
◈대대리마애여래입상 제333호, 안의면 대대리
 
◈용성세고책판 제334호, 지곡면 공배리
 
◈안국사은광대화상부도 제337호, 마천면 가흥리
 
◈남양홍씨병신보책판 제341호, 함양읍 백천리
 
■기념물
◈세종왕자한남군묘역 제165호, 함양읍 교산리
 
◈백천리고분 제171호, 함양읍 백천리
 
◈팔령산성 제172호, 함양읍 죽림리
 
◈마안산성 제173호, 지곡면 창평리
 
◈방지산성 제174호, 서상면 금당리
 
◈함양 개평리 소나무 제211호, 지곡면 개평리
 
◈함양 금대암 전나무 제212호, 마천면 가흥리
 
◈함양 도천리 소나무 제213호, 병곡면 도천리
 
■민속자료
◈벽송사목장승 제2호, 마천면 추성리
 
◈영은사지석장승 제19호, 백전면 백운리
 
■문화재자료
◈청계서원 제56호, 수동면 원평리
 
◈문창후최선생신도비 제75호, 함양읍 운림리
 
◈교수정 제76호, 지곡면 개평리
 
◈우명리정씨고가 제121호, 수동면 우명리
 
◈송호서원 제209호, 병곡면 송평리
 
◈일두정여창선생사당비 제239호, 안의면 봉상리
 
◈열녀학생임술증처 유인밀양박씨지려 제240호, 함양읍 백연리
 
 
 
 
 
 
3. 생활문화자원
 
전통생활민속
◈함양양잠가 뽕잎을 따다가 누에를 치면서 부르는 이 고장 특유의 농요로 「너는 죽어서 고드름 되거라 나는 죽어서 봄바람 될거나」처럼 구성진 노래로 채보되어 한국민요집에 수록, 전국에 보급되어 있다.
 
◈질굿내기 이른 봄 용추계곡, 덕유산, 지리산계곡 등에 고로쇠나무 수액을 받아마시기 위해 오가면서 무료함을 달래기 위해 길을 가며 부르는 이 지방 특유의 민요로 원형 보존을 위해 채보중에 있다.
 
◈마천 곶감깎이 노래 옛날 이 지방의 곶감이 유명했는데 부녀자들이 모여 앉아 곶감을 깎으면서 부르는 노래이다.
 
 
 
마천곶감
◈징검다리놓기 함양은 옛부터 징검다리 놓기 풍습이 있었다. 정월 대보름에 짚으로 오쟁이를 만들어 그 안에 돌들을 넣어서 개울에 징검다리를 놓으면 많은 사람에게 선을 베풀게 되어 액운을 없앤다는 풍습인데 오쟁이 안에 동전을 넣기도 했다. 지금은 거의 사라지고 간혹 볼 수 있는 풍속이다.
 
◈집성촌 함양은 동국여지승람에 좌안동 우함양이라고 할만큼 학문과 예절의 고장으로 집성촌이 많았는데 그 중에서도 특히 하동정씨, 풍천노씨, 성주이씨, 남원양씨, 진양하씨, 진주강씨 집성촌 등이 유명하다.
 
◈정병호 가옥과 허삼둘 가옥 지곡면 개평 마을에 있는 정병호 가옥은 중요민속자료로 지정된 가옥으로 특히 사랑채에 특색이 있는데 내부의 구조가 간결, 단아, 소박하고 사랑채 앞에 석가산의 원치가 이채롭고 솟을대문에는 5개의 정려편액이 걸려있다. 안의면 금천리에 있는 허삼둘 가옥은 ㄱ자형의 안채가 특이한 겹집이며 부엌통로가 전퇴를 열고 토상화한 통로로 들어가는 여성중심으로 설계되어 있어 학술적 연구자료로 중요시되고 있다.
 
구전설화
◈숲속의 뱀 함양의 상림숲은 신라의 진성여왕 때 고운 최치원 선생이 조성했는데 그의 어머니가 숲속에 산책을 나왔다가 뱀을 만나서 무척 놀라 집으로 돌아왔는데 아들에게 그 사실을 말했더니 최치원 선생이 상림에 가서 주문을 외우고 다시는 해충이 나타나지 못하게 했다. 그 뒤부터 숲에는 뱀, 개구리 등 양서류와 개미, 모기, 파리와 같은 곤충이 다시는 나타나지 않았다고 하는데 지금도 이런 동물이 없고 다람쥐밖에 없으며 벌레가 없기 때문에 새들도 여기서 사는 텃새는 없다.
 
◈함양삼성의 유래 고려때 여흥민씨의 세 자매중 첫째는 박실 대장군, 둘째는 여림청 대장군, 셋째는 오광휘 상장군에게 출가했는데 세 동서가 함양에서 살게 되어 함양박씨, 함양여씨, 함양오씨의 시조가 되었고 오광휘는 풍수지리에 밝아 세 동서의 묘자리를 십리 안에 잡았는데 박실은 괘등지혈, 여림청은 노서하전지혈, 오광위는 학슬지혈에 묻혀 있다.
 
◈김종직과 유자광 김종직이 함양의 군수로 있을 때 유자광이 경상도 관찰사가 되어 남원에서 내려가는 길에 들렀는데 김종직이 유자광 따위를 만날 수 없다 하여 피했다. 유자광이 학사루에 올라 지리산을 바라보니 시심이 일어 시를 지어 학사루에 걸었는데 뒤에 김종직이 철거하여 유자광이 감정을 품어 무오사화의 빌미가 되었고 그 때 김종직이 숨은 곳을 이은(吏隱)대라 하며 그 아래 마을을 이른리라고 한다.
 
주민의 종교생활
전통민속신앙으로 마을마다 당산제를 지냈으나 1970년대 새마을사업으로 거의가 없어지고 지금은 몇 개 마을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으며 지리산, 덕유산, 백운산, 기백산 등 명산이 많아 불교가 성행했던 고장이다. 20세기에 들어와서 기독교가 민속신앙의 자리를 메워가고 있다. 현재 사찰 45개소, 교회 57개소, 성당 2개소, 원불교 2개소 단군교 1개소 등이 있다.
 
종교별
시설명
위치
 
불교
벽송사
마천면 추성리
 
영원사
마천면 삼정리
 
법화사
휴천면 문정리
 
문수사
휴천면 송전리
 
영각사
서상면 상남리
 
기독교
함양교회
함양음 용평리
 
중앙교회
함양읍 운림리
 
안의교회
안의면 금천리
 
마천교회
마천면 가흥리
 
늘푸른교회
함양읍 교산리
 
천주교
함양성당
함양읍 교산리
 
원불교
함양교당
함양읍 용평리
 
 
 
 
주민의 생활권역
◈고속도로의 교차지 과거에는 전국에서도 가장 교통이 불편한 지역에 속했으나 88고속도로와 대전 통영간 고속도로와 군산 울산간 고속도로가 모두 개통되면 명실공히 고속도로의 중심지로 전국이 3시간대 생활권으로 바뀌게 되고 물산 유통센타의 역할을 하게 되는 교통의 중심지가 될 것이다.
 
◈관광휴양지 함양은 아직도 환경이 오염되지 않았으며 미개발지이기 때문에 지리산과 덕유산 등의 아름다운 경관으로서 휴양지로 각광을 받을 것이며 사방에 산재해 있는 문화 유산을 정리하여 관광지로도 개발해 갈 것이다. 등산객들에게는 많은 등산코스가 개발되어 있다.
 
 
 
지리산 5층폭포
지역의 별미
◈미꾸라지 숙회 함양에서 처음 개발되어 전해지는 음식이라고 하는데 미꾸라지를 쪄서 식초와 여러가지 조미료를 가미한 양념장에 찍어먹는 음식으로 맛이 좋고 영양가가 높아 술안주나 밥반찬으로도 좋은데 옛날 가난한 서민들의 영양식이라고 한다.
 
◈어탕국수 1960년대 가난한 서민들의 영양 보충을 위해 이 지방에서 개발한 음식인데 민물고기 잡어들을 잡아다 푹 고아서 뼈는 추려내고 그 국물에 국수를 삶아 양념을 한 것인데 영양가가 높은 별미 음식으로 국수, 우동, 라면과는 다른 맛을 지닌 독특한 음식이다.
 
지역의 토산품과 특산품
◈석이버섯과 송이버섯 석이는 깊은 산속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는 높은 절벽의 바위에서 따내는 것으로 지리산에서 생산되며 맛과 향기가 좋아 고급 요리 재료로 쓰는 희귀한 토산품이며 가을이 되면 맛과 향기가 좋은 자연산 송이버섯이 군내 여러 면에서 생산되어 일본으로 수출하고 서울 부산 등지로도 팔려가서 고급요리에 사용되는 특산품이다.
 
◈함양 양파 함양 양파는 주로 수동면과 함양읍에서 많이 생산되는데 다른 지방의 양파에 비해 알이 굵고 단단하여 오랫동안 갈무리할 수 있으며 맛이 달고 시원하여 우수한 상품으로 손꼽히는데 전국 각처로 공급되고 있다.
 
 
 
지리산 함양양파(사진:석병렬)
◈지리산 국화주와 산머루즙 국화주는 함양읍 난평리에서 생산되는데 가을에 지리산 국화꽃을 따다 말려서 빚은 술로 향기와 맛이 좋고 건강에도 좋아 전국 판매망을 통해 유통되며 미국, 일본에도 수출한다. 산머루즙은 수동면 화산리에서 생산되는데 지리산과 강원도에서까지 수집해다가 진액을 뽑아 가공한 음료수로 조혈, 청혈, 강심, 해열에 좋은 음료수로 알려져 있다
 
 
 
 
 
 
4. 예술문화자원
 
지역문화예술행사
◈천령문화제 매년 10월에 민간주도로 추진위원회가 조직되어 추진하며 상림공원 및 공설운동장과 읍내 일원에서 2일간에 걸쳐 행해지는 행사로 문화, 예술, 민속, 체육 등 30여개 분야에서 다양하게 펼쳐지는데 문화행사는 문화원에서 주관하고 체육행사는 체육회에서 주관하여 행해지며 군내의 행사 중 가장 큰 행사로 치러지게 된다.
 
◈한글백일장 매년 10월 9일 한글날을 전후하여 상림공원 사운정 부근에서 행해지는데 문화원에서 주최하고 문인협회에서 주관하여 초중고생과 일반인을 운문부와 산문부로 나누어 실시하고 있다. ☎ (055) 963-3369
 
◈달집태우기 사라져가는 민속놀이의 명맥을 잇기 위해서 함양문화원에서 주관하여 매년 음력 정월보름날 함양제일교 아래 고수부지에서 사물놀이, 윷놀이 등을 곁들여서 달집태우기 행사를 실시하고 있다. ☎ (055)963-1270
 
지역문화예술단체
◈한국문협 함양지부 함양읍 용평리 734-1 ☎ (055)963-3369 회원수 33명
 
◈한국음악협회 함양지부 함양읍 교산리 210 ☎ (055)963-2489 회원수 25명
※ 그외에 동아리 모임으로 지리산 문학회, 고미회, 함양시우회, 사진동우회, 굿패 한얼, 천령음악동우회, 문화모임광대, 천령미술회 등의 단체가 있다
 
지역언론기관
◈함양신문 창간 10년째를 맞고 있는 함양신문은 지역언론의 대변자로 자세한 지역정보를 알려주고 있다. 함양읍 용평리 718-1 ☎ (055)962-5000, 963-9988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함양군민상 향토문화 발전을 위해 예술, 문화, 봉사, 교육, 산업 등의 분야에서 공헌한 지역주민이나 재외 향우들 중에서 년1회 선발하여 주는 상으로 매년 10월 천령문화제 때 추천을 받아 심사위원회에서 1명 혹은 2명을 엄선하여 시상하는 상이다(주관은 함양군).
 
지역출신 예술인
◈강정숙 함양 백전출신으로 국악인이며 가야금 산조가 전공이고 무형문화재로 지정된 예술인이다.
 
◈정문현 함양읍 출신으로 서양화가이며 제2회 한국현대 작가대표전 최우수상을 비롯하여 각종상을 수상했고 대표작은 「한국의 5월」이며 경상남도 문화회관 대형벽화를 그리기도 하였다.
 
◈허영자 함양 유림출신으로 1963년에 등단하여 한국문단 최초의 여성동인회를 조직하고 지금까지 10여권의 시집과 9권의 산문집을 내고 민족문학상, 한국시인협회상 등을 수상한 여성 작가로서 한국시인협회장직을 맡고 있다.
 
◈이외수 수동면 상백 태생으로 1975년 소설가로 등단하여 『들개』,『벽오금학도』등 뛰어난 작품을 발표하여 널리 알려진 소설가이다.
 
지역소재 예술작품
◈함양박씨전 연암 박지원이 쓴 한문 소설로 함양과 안의가 작품 배경이며 실제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썼기에 실화로 혹은 수필로 보는 학자도 있다.
 
◈변강쇠전 「변강쇠타령」으로 유명한 변강쇠와 옹녀의 외설적 사랑의 무대가 그 내용으로 볼 때 마천면 칠선계곡 입구인 금계동인 것으로 추측된다.
 
◈함양양잠가 함양에서 불려져 내려온 농요로 전국민요집에 채보되어 현대 국악인들에게 널리 불려지고 있는 노래다.
 
 
 
 
 
 
5. 관광, 여가문화자원
 
관광자원
◈함양상림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상림은 함양시가지 변두리에 있어 한번 와 본 사람이면 오래 기억에 남을 것이다. 시내에서 걸어가도 되는 곳에 21정에 달하는 울창한 인공림이 역사 속에서 숨쉬며 시내에 산재한 문화재와 더불어 이 곳에도 문화재가 산재해 있으며 많은 전설을 안고 4계절 아름다운 경치로 이 고장 사람의 휴식처인 동시에 관광자원이다.
 
◈백무동계곡 아름다운 경치와 더불어 여름에도 물이 차가워 발을 담글 수 없다. 바람폭포, 가내폭포, 한신폭포, 내림폭포 등 폭포가 많고, 주차장과 민박시설도 많다, 버스가 자주 드나들기 때문에 교통이 편리하고 근처의 삼정계곡에는 자연휴양림 방갈로도 있어 휴식공간도 확보되어 있다.
 
◈칠선계곡 지리산 천왕봉 아래의 계곡으로 경치가 아름답고 물과 공기가 깨끗해 시원한 계곡으로 특히 여름의 피서지로 좋다. 주위에 있는 벽송사의 3층석탑과 목장승은 문화재이며 서암의 석굴암과 석불 등의 조각품은 아름다운 예술작품이며 추성, 박희성 등의 산성터도 있다. 이곳 역시 군내버스가 자주 드나들고 주차장이 마련되어 있으며 대로에서 가까워 교통이 편리하다.
 
 
 
벽송사의 목장승
◈농월정과 화림동 안의에서 육십령까지 걸쳐있는 계곡이며 농월정은 안의에서 2㎞, 넓은 너럭바위와 맑은 물은 마음이 상쾌하며 학생수련원이 있고 황석산성 사당이 있다. 2㎞ 더 올라가면 동호정도 휴식하기에 좋은 곳이며 다시 1㎞정도 올라가면 군자정, 거연정이 한폭의 그림처럼 펼쳐져 있고 서상에는 사적공원과 논개묘가 있다. 이 계곡은 어디를 가나 관광자원이며 아름다운 휴식처이다. 교통이 편리하고 주차장이 있으며 민박과 청소년수련원도 있기 때문에 이용하기에 편리한 곳이다.
 
 
 
거연정(사진:강선갑)
◈용추계곡 심원정, 용추폭포 등 아름다운 계곡에 맑은 물이 흐르고 있어 쉴 만한 곳이다. 주차장, 민박시설, 야영장, 자연휴양림 등의 시설이 갖춰져 있고 등산코스도 마련되어 있어 휴식공간으로 적합한 곳이다.
 
관광시설
◈백무동계곡 주차장, 여관, 민박, 야영장, 매점 시설이 갖춰져 있다. 민박에는 지리산상회 ☎ (055) 962-5622, 백무산장 ☎ (055)962-5277, 메아리산장 ☎ (055)962-5340이 있고 여관은 다음 표와 같다.
 
업소명
위치
전화번호(055)
 
산해장여관
함양읍 운림리
963-1500
 
별궁장여관
함양읍 운림리
963-7980
 
상림장여관
함양읍 죽곡리
963-1170
 
한양산장
마천면 강정리
962-5358
 
느티나무집
962-5345
 
산나물산장
962-5308
 
참샘집
962-5332
 
부산식당
963-2282
 
야영장매점
962-5353
 
강춘산장
962-5247
 
 
 
 
◈칠선계곡 군내버스가 계속 드나들며 주차장과 야영장, 민박과 여관, 식당, 상점 등의 시설이 구비되어 있다. 민박은 추성산장 ☎ (055)962-2422, 광주리농원 ☎ (055)962-5648, 냇가집 ☎ (055)962-5494 등이 있고 여관은 다음 표와 같다.
 
업소명
위치
전화번호(055)
 
벽송산장
마천면 추성리
962-3100
 
청기와산장
962-5697
 
칠선산장
962-5630
 
시인의 집
963-7036
 
덕천산장
963-9405
 
산자락물가집
962-5184
 
칠선계곡가든
964-1040
 
 
 
 
◈농월정과 화림동계곡 군내버스가 수시로 있으며 주차장, 여관, 민박, 야영장이 있고, 바로 위에 청소년 수련원과 식당, 상점이 갖추어져 있으며 민박은 화림가든 ☎ (055)963-9980, 동원식당 ☎ (055) 962-4400등이 있다. 여관 모텔은 다음과 같다.
 
업소명
위치
전화번호(055)
 
금수강산
안의면 월림리
963-7279
 
거창식당
963-9844
 
한성식당
963-7333
 
동호모텔
서하면 황산리
964-1738
 
군자가든
서하면 봉전리
962-9525
 
창인관광농원
서하면 황산리
962-9377
 
 
 
 
◈용추계곡 군내버스가 수시로 다니며 주차장, 여관, 민박, 야영장, 자연휴양림, 식당, 판매점이 있는데 민박은 태형산장 ☎ (055)962-7527, 금은산장 ☎ (055)962-4772, 구구산장 ☎ (055)962-0827 등이 있고 여관은 다음 표와 같다.
 
업소명
위치
전화번호(055)
 
천궁산장
안의면 상원리
963-3399
 
조삿갓
963-9339
 
용추장여관
963-8056
 
 
 
이 외에도 군내 곳곳에 휴식이나 관광할 수 있는 곳에는 숙박시설이 되어 있다
 
관공코스
◈제1코스 (1일관광) 학사루와 이른대 → 상림공원 → 함양향교 → 안국사 → 금대암 → 석상용비, 장승 → 중식 → 마애여래입상 → 벽송사 3층석탑, 장승 → 서암의 석굴암과 석불들 → 용유담 → 와룡대 → 한남군의 새우섬 → 김종직의 다원 기념비
 
◈제2코스 (1일관광) 월명총 → 남계서원 → 청계서원 → 정병호 가옥 → 교수정 → 허삼둘가옥 → 광풍루 → 중식 → 심원정 → 장수사일주문 → 용추폭포 → 안의향교 → 농월정 → 황석산성추모사당 → 동호정 → 거연정 → 문태서 의병장 사적공원 → 논개묘 → 덕유교육원
 
등산코스
◈지리산 ① 함양 → 마천 → 백무 → 하동바위 → 제석단 → 천왕봉 (5시간 30분 소요)
② 함양 → 마천 → 백무 → 한신계곡 → 장군대 → 천왕봉 (6시간 소요)
③ 함양 → 마천 → 추성 → 칠선계곡 → 천왕봉 (7시간 소요)
④ 함양 → 마천 → 삼정 → 벽소령 → 제석 → 천왕봉 (9시간 30분)
※ 마천에서 천왕봉까지 소요시간 (초보자기준)
 
◈덕유산 함양 → 안의 → 서상 → 덕유산 (3시간 소요)
 
◈황석산 함양 → 안의 → 황석산 (3시간 소요)
 
◈백운산 함양 → 백전 → 백운산 (3시간 소요)
 
◈기백산 함양 → 안의 → 기백산 (3시간 소요)
 
◈오봉산 함양 → 상죽림 → 오봉산 (2시간 소요)
※ 소요시간은 초보자의 등반 시간임
 
관광쇼핑
◈지리산 국화주 (주) 지리산 국화주 함양읍 삼산리 11-33 , ☎ (055)692-7755
 
◈지리산 산머루즙 수동면 화산리 1250-27 ☎ (055)964-2500 홈페이지 http://www.sunmulu.co.kr
 
◈죽염식품 (주)인산가 (죽염간장, 된장, 고추장) 함양읍 죽림리 1048-2, ☎ (055)963-9991
 
◈각종 농축엑기스 흥국농산 함양읍 죽림리 119, ☎ (055)964-1300 (마늘, 물엿, 다슬기엑기스, 유황오리탕, 느릅나무엑기스, 유황호박엑기스, 호두기름)
 
관광안내소
◈함양군청 문화계 함양읍 운림리 31-2 ☎ (055) 960-0226
 
◈함양문화원 함양읍 교산리 967-4 ☎ (055)963-1270, 963-2646
 
여가시설
◈공설운동장 함양읍 백연리에 있는데 도보로 10분 거리이며 축구장, 테니스장, 궁도장 등이 있어 국민체육대회 및 수시로 개방된 시설은 군민건강에 이바지하고 있다.
 
◈상림공원 함양읍 운림리에 있고 도보로 10분 거리이며 3,000평의 잔디밭과 야외공연무대가 마련되어 있고 정자와 곳곳에 의자를 놓아 숲 속에서 휴식을 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지리산 자연휴양림 마천면 삼정리에 있으며 버스로 1시간거리에 있고 1000명을 수용할 수 있는데 산막과 통나집, 산장 숲속교실 등이 마련되어 있어 단체 혹은 개인이 저렴한 가격으로 이용할 수 있다. ☎ (055)963-8133, 963-8166
 
◈용추자연휴양림 안의면 상원리에 있으며 함양에서 버스로 한시간 거리로 수용인원은 1000명이다. 주차장, 광장, 야영장, 산림욕장, 물놀이장, 취사장, 임간교실, 체력단련장 등 제반시설이 마련되어 있다. 함양임업협동조합 ☎ (055)960-0579
 
 
 
용추사 자연휴양림
◈창인관광농원 서하면 황산리에 있으며 함양에서 30분거리, 수용인원 720명, 가족휴양 10동·식당·청소년수련원·야영장·풀장·주차장·잔디축구장·자연학습장·극기훈련장 등이 갖춰져 있다. ☎ (055) 962-9377
 
◈서강대학교 지리산 연수원 휴천면 문정리에 있고 함양에서 40분거리, 100명 수용가능, 구내식당이 있고 주로 대학생 동아리 모임이나 연수장으로 활용한다. ☎ (055)963-4146
 
 
 
 
 
 
6. 문화시설자원
 
도서관
◈함양군립도서관 함양군 운림리 2-1 ☎ (055) 963-1386, 장서실, 열람실, 관리실, 부속실이 갖추어져 있고 직원 6명에 장서수는 26,000권이 있다.
 
공연장
◈야외공연장 함양읍 운림리 상림공원 잔디광장에 다볕당이 있고 3,000평의 잔디밭과 무대가 있다. ☎ (055)960-0226
 
문화관
◈함양체육문화센타 안의면 석천리 121-1 ☎ (055)960-0709
 
문화원
◈함양문화원 함양읍 교산리 967-4 ☎ (055) 963-1270, 963-2646 원장 김상수
경상남도 함양군 정보
• 함양군의 역사문화자원
• 함양군의 어제와 오늘
• 함양군의 생활문화자원
(2005.06.03. 01:02)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