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영암군 전라남도 영암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목치)
전라남도 영암군 정보
◈ 영암군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영암의 3·1운동, 영암 농민 운동 /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왕인(王仁), 도선(道詵), 삼당시인 최경창, 김준연(金俊淵) / ◈ 내 고장의 문화유산 - 도갑사 해탈문,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영암의 3·1운동
충절의 고장인 영암은 3·1운동 때도 조극환 등의 주도 아래 보통학교 학생들의 시위가 있었다. 조극환을 비롯한 최민섭, 박규상, 정학순, 김민규, 김학용, 김봉규, 김상조 등은 봉산 밀림에서 비밀회합을 갖고 4월 10일 대대적 봉기를 결의, 10일 아침 유인물을 집집마다 투입, 구림대동계 광장에 집결, 독립선언서를 낭독한 뒤 모여든 군중들과 함께 태극기를 들고 영암읍까지 시위를 벌였으나 영암읍에서 일본 경찰들과 충돌 주동자 25명이 체포됐다. 영암지역 주민들은 지난 1984년 4월 영암 공원에 ‘영암3·1운동기념비’를 건립하였으며 현재 구림 대동계 앞 회사정 근처에 3·1운동기념탑을 건립할 계획 중이다.
 
◈ 영암 농민 운동
덕진면 영보 형제봉 소작쟁의 사건, 영암면을 비롯한 구림, 모산, 장암, 미암, 영보 등 소작인 1백 30여명은 1931년 5월 1일 사음 횡포 항의 시위. 영보뒷산 형제봉에서 만세를 부르고 ‘일인은 우리 논과 밭을 내 놓아라’, ‘사음을 횡포 지양’, ‘일인을 이 땅에서 물러가라’는 구호를 외치며 시위, 최판호 외 19명이 체포되어 옥고를 치렸다. 영암 소작쟁의는 전남 운동협의회 사건의 전주곡이 되었다. 운동 목적은 민족의 완전 자주 독립을 최후 목표로 한 항일 독립 투쟁이었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왕인(王仁)
왕인박사는 백제 제14대 근구수왕(서기 375∼384년) 때에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성기동에서 출생하였다. 8세 때 월출산 주지봉 기슭에 있는 문산재에 입문하여 유학과 경전을 수학하고 문장이 뛰어나 18세에 오경박사에 등용되었다. 백제 17대 아신왕 때에 일본 응신천왕의 초청을 받아 영암의 상대포에서 배를 타고 일본으로 간 것으로 구전되고 있다. 당시 왕인은 32세였으며, 상대포는 국제 무역항으로 신라의 학자 최치원이 당나라로 유학을 갈때에도 이곳에서 배를 타고 떠났다고 전해오고 있다. 왕인은 논어 10권과 천자문 1권을 가지고 도공, 야공, 와공 등 많은 기술자들과 함께 도일하여 일본인들에게 글을 가르쳐 학문과 인륜의 기초를 세웠으며, 일본가요를 창시하고 기술 공예를 전수하여 일본인들이 큰 자랑으로 여기는 아스카(飛鳥)문화와 나라(奈良)문화의 원조가 되어 일본사회의 정치 경제와 문화예술을 꽃피웠다. 왕인박사의 묘지는 일본 오사카(大阪府) 히라카타시에 있으며, 1938년 5월 오사카부 사적 제13호로 지정되었다. 왕인박사의 탄생지인 영암군 군서면 동구림리 성기동에는 왕인박사 유적지를 정화하여 위패와 영정을 봉안하고 매년 양력 4월 9일에 왕인박사 추모제를 봉행하고 있다.
 
◈ 도선(道詵)
민족 통일을 이룩하여 문화의 절정기를 누렸던 신라가 차츰 침체의 늪에 잠겨가고 있었던 제42대 흥덕왕(興德王) 2년(827)에 도선(道詵)은 태어났다. 도승(道僧)으로도 알려져 있는 그는 일찍이 출가하여 이른바 9산선문(九山禪門)의 하나인 동리산 선법문(桐裏山 禪法門)을 계승하였다. 그는 당나라 남돈선의 조사(祖師)인 육조(六祖) 혜능대사(慧能大師, 638∼713)의 법손(法孫) 마조(馬祖) 도일(道一)에게서 법을 받은 서당(西堂) 지장(智藏)에게서 선법을 배워 그 법인(法印)을 받고 온 제자 중의 하나이므로 그의 법을 이은 도선은 말할 것도 없이 중국 남종선(南宗禪)을 해동 신라의 토양과 풍습에 알맞도록 형성시킨 동리산 선문(桐裏山禪門)의 제2대 선사(禪師)였다고 할 수가 있다. 그의 법명(法名) 이 도선(道詵)이며 시호(諡號, 입적한 뒤 내린 법호)가 요공선사(了空禪師)이다. 나중에 광양군(光陽郡)의 백계산(白鷄山) 옥룡사(玉龍寺)에 오래 머물렀기 때문에 그를 옥룡자(玉龍子)라고 별호하였다. 그가 고려 태조의 건국과 후삼국 통일을 예견하여 미리부터 크게 도움을 주었다고 해서 고려 제8대 현종(顯宗)은 대선사(大禪師)의 법계(法階)를 바쳤고, 제15대 숙종(肅宗)은 왕사(王師)의 칭호를 더 보태었으며, 제17대 인종(仁宗)은 선각국사(先覺國師)라고 추봉(追封)하였다.
 
◈ 삼당시인 최경창
자는 가운(嘉運), 호는 고죽(孤竹), 본관은 해주이다. 중종 34(1539) 2월 12일 서울에서 최수인(崔守仁)의 아들로 출생했다. 어려서 옥봉 백광훈과 함께 청련 이후백(1520∼1578)의 문하에 들어가 강진에서 수학하고 이어 송천 양응정(1519∼1581), 사암 박순(1523~1589)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명종 16년(1561) 진사가 되고, 선조 1년(1568) 30세에 증광문과 을과에 급제하여 북평사(北評事), 사간원 정언 등의 벼슬을 거쳐 1577년 영암군수(靈岩郡守)가 되었다. 이어 대동도(大同道) 찰방(察訪)을 지냈고 선조 15년(1582)에는 종성부사(鍾城府使)가 되었다. 이듬해인 1583년 방어사(防禦使)의 종사관(從事官)에 임명되어 상경 도중 경성(鏡城)의 객관(客館)에서 45세의 나이로 병사했다. 선조 때의 명문장가로 이름이 높았으며 백광훈·송익필·이산해·최경창·최립·이순인·윤탁연·하응림과 함께 동인으로 어울려 팔문장으로 일컬어 졌다. 또 당시풍(唐詩風)에 능하여 백광훈·이달과 함께 삼당시인(三唐詩人)으로 불리웠다. 글씨도 잘 써 옥봉(玉峯)과 쌍벽을 이루었다. 또 활을 잘 쏘아 선조로부터 호피(虎皮)와 구마를 하사 받기도 했다. 또한 피리를 잘 불었다. 그가 14세 때 석천 임억령의 계제(季弟) 임구령(林九齡)의 사위가 되어 영암에 머물러 있을 때가 많았는데 해변에서 왜구를 만나 위기에 처했을 때 옥피리를 불어 그 위기를 모면했다고 한다. 숙종 원년(1675) 청백리에 녹선되고, 강진의 박산서원(博山書院), 서봉서원(端峯書院)과 영암 구림의 동계사(東溪祠)에 제향되었다.
 
◈ 김준연(金俊淵)
선생은 1895년 전라남도 영암에서 월출산의 정기를 받고 태어나 경기고등학교를 졸업하고, 일본 오카야마(岡山) 제6고등학교(대학예과과정), 동경제국대학 대학원, 독일 베를린대학을 우등으로 졸업한 후 영국 런던대학에서 수학한 천재였다. 낭산(김준연의 호)은 한국 최초의 해외특파원(조선일보 특파원)으로 1920년대의 소련을 시찰했고 조선일보특파원, 논설위원, 전 조선공산당 당수, 동아일보 편집국장, 주필 등을 역임했다. 그리고 신간회 조직, 제3차 공산당사건, 일장기말살사건, 흥업구락부사건, 조선어학회사건 등을 주동하여 국내에서는 가장 격렬한 항일투쟁에 참여, 8년 동안의 투옥생활과 9년 동안의 연금생활을 하였다. 일제시대 당시 국내에서 가장 용기있게 대항하고 가장 격렬하게 투쟁해온 낭산은 김창숙 선생과 양대 산맥을 이룬 항일 세력이었으며 재야세력의 제1인자로 일제가 가장 경계하고 감시하는 요시찰대상 제1호의 인물이었다. 8·15 해방이 되자 일제 당국은 낭산에게 정권인수를 제의했으나 낭산은 단호하게 거절했다. 이 일화가 입증하듯 낭산은 국민들로부터 인기와 신망을 한몸에 받는 인물이며 국내에서 가장 영향력이 큰 인물이었다. 이후 낭산은 한민당 부당수 겸 선전부장으로 있으면서 제헌국회의원, 헌법기초위원이 되어 직접 대한민국의 헌법을 작성했고 이승만 대통령을 도와 대한민국 정부 수립에 가장 큰 공훈을 세운 건국의 원훈이었다. 한국 전쟁 당시에는 내무장관 조병옥 박사와 더불어 대구사수의 대공을 세웠으며 1·4후퇴 때 법무장관으로서 안전한 철수를 위한 계획을 입안하기도 했다. 5·16군사쿠데타가 일어나자 낭산은 80세의 고령에도 불구하고 7차에 걸쳐 군사정권세력을 향해 폭탄연설을 하여 군사정권을 붕괴 직전까지 몰아붙이기도 하였다. 낭산은 대한민국 건국공로훈장과 국민훈장 무궁화장을 수령하였으니, 이는 선생에 대한 국가의 당연한 답례였다. 낭산의 80평생은 곧 우리 나라의 항일투쟁사요 건국의 역사이자, 반공· 반독재의 투쟁사요 한국의 정치사이며 근대사이다.
 
 
• 선각국사 도선(先覺國師 道詵) - 생존시대:827 ∼ 898, 출생지:영암 구림, 유적지:옥룡사)
• 동진대사(洞眞大師 - 생존시대:869 ∼ 948, 출생지:영암 구암)
• 최지몽(崔知夢 - 아호:민휴(敏休), 생존시대:907 ∼ 987, 출생지:영암 구림)
• 최경창(崔慶昌 - 본관:해주, 아호:고죽(孤竹), 생존시대:1539 ∼ 1583, 출생지:영암)
• 김준연(金俊淵 - 본관:김해, 아호:낭산(朗山), 생존시대:1895 ∼ 1971, 출생지:영암군 영암면 교동리 187번지)
• 김완(金完 - 본관:김해, 아호:양무공(襄武公), 생존시대:1577 ∼ 1635, 출생지:영암군 서호면 몽해)
• 최덕지(崔德之 - 아호:연촌(烟村), 생존시대:1384 ∼ 1455)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국보
 
• 도갑사 해탈문 - 제50호, 군서면 도갑리 8
• 월출산 마애여래좌상 - 제144호, 영암읍 회문리 산 26-3
 
■ 보물
 
• 도갑사 석조여래좌상 - 제89호, 군서면 도갑리 4
• 최덕지영정 및 유지초본 - 제594호, 덕진면 영보리
• 성풍사지 5층석탑 - 제1118호, 영암군 용흥리 533-1
• 도갑사 소장 동자상 - 제1134호, 군서면 도갑리 8
• 월출산 용암사지 3층석탑 - 제1283호, 영암읍 회문리 산26-8
 
■ 사적
 
• 구림리 토기요지 - 제338호, 군서면 서구림 319
 
■ 천연기념물
 
• 영암 군서면 느티나무 - 제283호, 군서면 월곡리
 
■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 도갑사 도선수미비 - 제38호, 군서면 도갑리 8
• 김완영정 - 제65호, 서호면 화송리
• 영암 학계리 석불입상 - 제66호, 학산면 학계리
• 월곡리 마애여래좌상 - 제149호, 군서면 월곡리
• 도갑사 석조 - 제150호, 군서면 도갑리 8
• 도갑사 5층석탑 - 제151호, 군서면 도갑리 8
• 도갑사 수미왕사비 - 제152호, 군서면 도갑리 8
• 도갑사 도선국사진영 - 제176호, 군서면 도갑리 8
• 도갑사 수미왕사진영 - 제177호, 군서면 도갑리 8
• 녹동서원소장목판 및 고문서 - 제183호, 영암읍 교동리 356
 
■ 기념물
 
• 영암 월출산 - 제3호, 영암· 강진일원
• 왕인박사 유적지 - 제20호, 군서면 동구림
• 김완묘소 및 신도비 - 제40호, 시종면 만수리
• 구고사 및 김완장군부조묘 - 제49호, 서호면 화송리
• 전씨충효문 - 제71호, 서호면 장천리
• 서호면 장천리 지석묘 - 제82호, 서호면 엄길리
• 시종면 내동리 쌍무덤 - 제83호, 시종면 내동리 579-1
• 영암 옥야리 장동방대형고분 - 제84호, 시종면 옥야리
• 남해당지 - 제97호, 시종면 옥야리
• 장천리 선사주거지 - 제98호, 서호면 장천리
• 장암정 - 제103호, 영암읍 장암리 496
• 영보정 - 제104호, 덕진면 영보리
• 영팔정 - 제105호, 신북면 모산리 103
• 영암 삼충각 - 제108호, 신북면 갈곡리 583
• 영암 장동사 - 제109호, 서호면 엄길리 472
• 엄길리 암각매향비 - 제119호, 서호면 장천리 산 85
• 학산면 금계리고분 - 제144호, 학산면 금계리 1290
 
■ 민속자료
 
• 영암 최성호가옥 - 제164호, 덕진면 영보리
• 김함의 묘 출토의복 - 제209호, 학산면 학계리 산2
• 영암 월곡리 전씨고택 -제3호, 군서면 월곡리
• 영암 현종식 가옥 - 제14호, 학산면 학계리
• 영암 집영제 - 제16호, 학산면 은곡리
• 쌍계사지 석장생 - 제17호, 금정면 남송리
• 영암 죽정리 국장생 - 제18호 군서면 도갑리
• 영암 소전머리황장생 - 제19호 군서면 동구림
• 영암 메밀방죽옆장생 - 제18호, 군서면 도갑리
 
■ 무형문화재
 
• 참빗장 - 제15호 영암읍 망호리
 
■ 문화재자료
 
• 도갑사 - 제79호, 군서면 도갑리 8
• 영암향교 - 제126호, 영암읍 교동리
• 시종면 신연리고분군 - 제139호, 시종면 신연리 251-3
• 시종면 옥야리 고분군 - 제140호, 시종면 옥야리 597-1
• 시서영정 - 제145호, 덕진면 금강리
• 영암문창집가옥 - 제149호, 영암읍 장암리
• 열무정 및 사포계문서일괄 - 제160호, 영암읍 동무리
• 영암 정원명석비 - 제181호, 군서면 서구림 458-1
• 영암채지리 선덕매향비 - 제189호, 미암면 채지리 산 203
• 영암구림대동계문서 - 제198호 군서면 서구림 339
 
 
• 도갑사 해탈문(道岬寺 解脫門)
• 월출산 마애여래좌상(月出山 磨崖如來坐像)
• 도갑사 석조여래좌상(道岬寺 石造如來坐像)
• 최덕지 영정 및 유지초본(崔德之 影幀 및 油紙抄本)
• 영암 성풍사지 오층석탑(靈巖 聖風寺址 五層石塔)
• 도갑사 소장 동자상(道岬寺 所藏 童子像)
• 월출산 용암사지 삼층석탑(月出山 龍 寺址 三層石塔)
• 영암 구림리 토기요지(靈巖 鳩林里 土器窯址)
• 영암 군서면 느티나무(靈岩 郡西面 느티나무)
• 영암 최성호가옥(靈岩 崔成鎬家屋)
• 김함묘 출토의복(金涵墓 出土衣服)
• 도갑사 도선 수미비(道岬寺 道詵 守眉碑)
• 김완영정(金完影幀)
• 영암 학계리 석불입상(靈岩 鶴溪里 石佛立像)
• 영암 월곡리 마애여래좌상(靈岩 月谷里 磨崖如來坐像)
• 도갑사 석조(道岬寺 石槽)
• 도갑사 오층석탑(道岬寺 五層石塔)
• 도갑사 수미왕사비(道岬寺 守眉王師碑)
• 도갑사 도선국사 진영(道岬寺 道詵國師 眞影)
• 도갑사 수미왕사 진영(道岬寺 守眉王師 眞影)
• 영암 녹동서원 목판 및 고문서(靈岩 鹿洞書院 木板 및 古文書)
• 참빗장(이식우)(참빗匠(李植雨))
• 영암 월출산(靈岩 月出山)
• 왕인박사유적지(王仁博士遺蹟址)
• 김완장군묘소 및 신도비(金完將軍墓所 및 神道碑)
• 김완장군 부조묘 및 구고사(金完將軍 不 墓 및 九皐祠)
• 김씨 충효문(金氏 忠孝門)
• 영암 암길리 지석묘군(靈岩 庵吉里 支石墓群)
• 영암 내동리 쌍무덤(靈岩 內洞里 쌍무덤)
• 영암 장동 방대형고분(靈岩 長洞 方臺形古墳)
• 영암 남해당지(靈岩 南海堂址)
• 영암 장천리 선사주거지(靈岩 長川里 先史住居址)
• 장암정(場巖亭)
• 영보정(永保亭)
• 영팔정(詠八亭)
• 영암 삼충각(靈岩 三忠閣)
• 영암 장동사(靈岩 長洞祠)
• 영암 암길리 암각매향비(靈岩 庵吉里 岩刻埋香碑)
• 영암 금계리 고분군(靈岩 金溪里 古墳群)
• 영암 월곡리 전씨고택(靈岩 月谷里 全氏古宅)
• 영암 현종식가옥(靈岩 玄宗植家屋)
• 영암 집영제(靈岩 集英齊)
• 영암 쌍계사지 석장승(靈岩 雙溪寺址 石長)
• 영암 죽정리 국장승(靈岩 竹亭里 國長生)
• 영암 소전머리 황장승(靈岩 소전머리 皇長生)
• 영암 메밀방죽 옆 장승(靈岩 메밀방죽 옆 長生)
• 도갑사(道岬寺)
• 영암향교(靈岩鄕校)
• 영암 신연리 고분군(靈岩 新燕里 古墳群)
• 영암 옥야리 고분군(靈岩 沃野里 古墳群)
• 시서영정(市西影幀)
• 영암 문창집 가옥(靈岩 文昶集 家屋)
• 열무정 및 사포계 문서일괄(閱武亭 및 社布契 文書一括)
• 영암 정원명 석비(靈岩 貞元銘 石碑)
• 영암 채지리 선덕매향비(靈岩 採芝里 宣德埋香碑)
• 영암 구림대동계 문서(靈岩 鳩林大洞 文書)
전라남도 영암군 정보
• 영암군의 어제와 오늘
• 영암군의 역사문화자원
• 영암군의 생활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