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일자별)
충청남도 부여군 정보
◈ 부여군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백제의 수도 부여로 천도 / 왜구 섬멸의 현장 홍산 태봉산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계백(階伯, ?∼660) / / 이존오(李存吾, 1341∼1371) / 이경여(李敬輿, 1585∼1657) / 신동엽(申東曄, 1930∼1969) ◈ 내 고장의 문화유산 - 정림사지 5층석탑 / 금동미륵보살반가상 / 백제금동대향로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백제의 수도 부여로 천도
백제 26대 성왕 16년(538) 봄에 백제중흥의 뜻을 품고 부여로 천도하여 사비시대를 열게 되었다. 사비천도가 가능하였던 것은 동성·무령왕대를 거치면서 정치적인 안정과 경제적 기반의 토대가 마련된 위에 성왕의 강력한 의지가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천도 후 성왕·위덕왕·혜왕·법왕·무왕·의자왕 등 6대 123년간 찬란한 고대 문화예술의 꽃을 피웠다. 이 백제문화는 일본으로 전파되어 일본 고대문화인 아스카문화의 토대가 되었다.
 
◈ 왜구 섬멸의 현장 홍산 태봉산
홍산면 북촌리에 있는 태봉산은 해발 90m의 낮은 산인데 최영 장군이 왜구를 무찌른 곳이다. 고려 우왕 2년(1376) 7월 최영 장군은 60세의 노구의 몸으로 태봉산에서 진을 치고 싸우다 왜구가 쏜 화살이 입술에 꽂혔으나 활을 쏜 왜구를 죽인 후 화살을 뽑는 등 분전하여 승리로 이끌었다. 당시 왕은 홍산파진도(鴻山破陣圖)를 그리게 하고, 찬양하는 글을 목은 이색 선생에게 짓게 하였다. 산 정상에 홍산대첩비가 있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계백(階伯, ?∼660)
백제 최후의 용장. 660년 7월 5천명의 결사대로 황산벌에서 신라의 5만대군을 맞아 4번 싸워 이겼으나 마지막에 중과부적으로 전사했다. 전쟁에 앞서 처자가 적의 노비가 되지 않도록 자신의 손으로 죽여 비장한 결의를 보였고, 적장의 아들 관창을 살려보내기도 했다. 부여의 삼충사와 의열사에 배향되었다.
 
◈ 이존오(李存吾, 1341∼1371)
공민왕 때 신돈이 횡포와 세도를 부리자 죽음을 각오하고 신돈의 일당을 물리치라고 상소를 올렸다. 끝내 왕의 노여움을 사 장사감무로 좌천되었고, 부여읍 저석리에 은거생활을 하다가 울분으로 병을 얻어 요절하였다. 죽음에 임해서도 신돈을 준엄하게 비판하여 진정 나라의 정언(正言)이라는 칭송을 들었다. 부여 의열사에 배향되었다.
 
◈ 이경여(李敬輿, 1585∼1657)
호는 백강(白江), 시호는 문정공(文貞公)이다.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남한산성에 호종하고 척화파로 활동했으며 청나라 연호를 사용하지 않은 관계로 두차례나 심양에 억류되기도 했다. 효종 때 영의정으로 취임하여 북벌 계획을 추진했다. 부여의 부산서원에 배향되었다.
 
◈ 신동엽(申東曄, 1930∼1969)
부여읍 출신으로 1959년 조선일보 신춘문예에 입선하여 1969년 타계할 때까지 「금강」·「껍데기는 가라」·「종로 5가」 등 주옥같은 작품을 남겨 민족시인으로 이름이 높다. 부여읍 동남리 금강을 바라보는 나성에 시비가 있다.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국보
 
◈ 정림사지 5층석탑 - 제9호 부여읍 동남리
 
◈ 금동미륵보살반가상 - 제83호 국립부여박물관
 
◈ 백제금동대향로 - 제287호 국립부여박물관
 
◈ 백제창왕명석조사리감 - 제288호 국립부여박물관
 
◈ 금동관세음보살입상 - 제293호 국립부여박물관
 
 
■ 보물
 
◈ 당유인원기공비 - 제21호 국립부여박물관
 
◈ 보광사중창비 - 제107호 국립부여박물관
 
◈ 정림사지석불좌상 - 제108호 부여읍 동남리
 
◈ 장하리 3층석탑 - 제184호 장암면 장하리
 
◈ 무량사 5층석탑 - 제185호 외산면 만수리
 
◈ 부여석조 - 제194호 국립부여박물관
 
◈ 금동석가여래입상 - 제196호 국립부여박물관
 
◈ 대조사석조미륵보살입상 - 제217호 임천면 구교리
 
◈ 무량사석등 - 제233호 외산면 만수리
 
◈ 군수리석조여래좌상 - 제329호 국립부여박물관
 
◈ 군수리금동미륵보살입상 - 제330호 국립부여박물관
 
◈ 무량사극락전 - 제356호 외산면 만수리
 
◈ 무량사미륵불괘불정 - 제1265호 외산면 만수리
 
 
■ 사적
 
◈ 성흥산성 - 제4호 임천면 군사리
 
◈ 부소산성 - 제5호 부여읍 쌍북리
 
◈ 능산리 고분군 - 제14호 부여읍 능산리
 
◈ 청마산성 - 제34호 부여읍 용정·능산리
 
◈ 군수리사지 - 제44호 부여읍 군수리
 
◈ 라성 - 제58호 부여읍 일원
 
◈ 청산성 - 제59호 부여읍 쌍북리
 
◈ 석성산성 - 제89호 석성면 현내리
 
◈ 쌍북리요지 - 제99호 부여읍 쌍북리
 
◈ 궁남지 - 제135호 부여읍 동남리
 
◈ 증산성 - 제156호 규암면 신성리
 
◈ 송국리 선사취락지 - 제249호 초촌면 송국리
 
◈ 정림사지 - 제301호 부여읍 동남리
 
◈ 정암리와 요지 - 제373호 장암면 정암리
 
◈ 능안골 고분군 - 제420호 부여읍 능산리
 
 
■ 사적 및 명승
 
◈ 구드래 일원 - 제6호 부여읍 구교리
 
 
■ 천연기념물
 
◈ 내산면의 은행나무 - 제320호 내산면 주암리
 
 
■ 중요무형문화재
 
◈ 은산별신제 - 제9호 은산면 은산리
 
 
■ 중요민속자료
 
◈ 보부상유품 - 제30호 국립부여박물관
 
◈ 민칠식 가옥 - 제192호 부여읍 중정리
 
◈ 정계채 가옥 - 제193호 부여읍 군수리
충청남도 부여군 정보
• 부여군의 생활문화자원
• 부여군의 역사문화자원
• 부여군의 어제와 오늘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