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부여군 충청남도 부여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일자별)
충청남도 부여군 정보
◈ 부여군의 예술문화자원
◈ 지역문화예술행사 - 은산별신제 / 백제문화제 / 임천충혼제 / 팔충제 / 백마강 수박축제 / 유왕산추모제 ◈ 지역출신 예술인 - 정한모 / 김기승 / 오태학 ◈ 지역소재 예술작품 - 금강 (신동엽의 장편서사시) / 꿈꾸는 백마강 / 백마강 / 낙화암의 노래
목   차
[숨기기]
 

1. 예술문화자원

 
 

1.1. 지역문화예술행사

 
◈ 은산별신제
△개요 : 백제부흥운동을 주도한 복신장군, 토진대사와 수천 전몰장병의 영혼을 위령하고 마을의 안녕을 비는 굿 △주최 : 은산별신제보존회 △시기 : 매년 3월말(6일간) △장소 : 은산면 은산리 △행사내용 : 물봉하기 및 조라술 담그기, 집굿행사, 진대베기, 꽃받기, 상당행사, 본제, 상당굿, 하당굿, 독산제, 장승제, 기타 부대행사
 
◈ 백제문화제
△개요 : 백제 선현의 얼과 슬기를 기리고 찬란했던 백제문화를 재현하여 백제고도의 위상을 정립하고 21세기 문화관광도시로 발전시켜 나감 △주최 : 부여군백제문화선양위원회 △주관 : 부여문화원 △시기 : 매년 10월 9일∼12일(4일간) △장소 : 부여군 일원 △행사내용 : 백제대왕제, 백제천도행사, 역사문화행렬 등 50여 종목
 
◈ 임천충혼제
△개요 : 백제 부흥운동 당시 나당연합군에 항전하다 목숨을 바친한 무명의 백제부흥군의 고혼을 위령하기 위하여 1979년부터 실시해옴 △주최 : 임천면번영회 △시기 : 매년 4월말(2일간) △장소 : 임천면 군사리 성흥산성 △행사내용 : 봉화제, 산신제, 충혼제, 연등행렬
 
◈ 팔충제
△개요 : 백제말의 혜오화상, 계백장군, 도침대사, 귀실복신, 좌평 성충·흥수, 달솔 억례복류·곡나진수 등 팔충신과 황산벌에서 산화한 오천결사대의 넋을 추모하는 제사 △주최 : 팔충사선양위원회 △시기 : 매년 10월초(1일간) △장소 : 충화면 지석리 팔충사, 천등산 △행사내용 : 팔충제, 고천제, 성화봉송
 
◈ 백마강 수박축제
△개요 : 부여의 대표 농특산물인 백마강 수박의 우수성을 널리 홍보하여 판매확대를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 △주최 : 부여군, 주관 : 농협중앙회부여군지부 △시기 : 매년 6월초(1일간) △장소 : 부여읍 석목리 농산물공판장 △행사내용 : 수박왕 선발대회, 수박작품전, 수박요리 경연대회, 수박나르기 대회, 군민화합행사, 군민노래자랑 등
 
◈ 유왕산추모제
△개요 : 666년 8월 17일 당나라 소정방에 의해 중국에 포로로 잡혀간 의자왕을 비롯한 12,800여명의 백제유민을 추모하는 행사 △주최 : 유왕산추모제 추진위원회 △시기 : 매년 음력 8월 16일∼17일(2일간) △장소 : 양화면 암수리 유왕산 △행사내용 : 전야제(의자왕 및 백제유민 진혼제), 유왕산 비극(포로선단) 재현, 상여놀이, 길 굿, 앉은 굿, 유왕산 놀이 등
 
 
 

1.2. 지역문화예술단체

 
◈ 부여군 충남국악단 - 규암면 외리 212 ☎ (041) 836-4874
 
◈ 한국국악협회 충청남도지회 - 부여읍 동남리 619-2 ☎ (041)835-3354
 
◈ 한국예총부여지부 - 부여읍 동남리 722 ☎ (041) 833-8805
 
 
 

1.3. 지역언론기관

 
◈ 부여신문 - 주간발행으로 창간 6년째를 맞고 있으며 지역의 각종정보와 출향인사의 소식을 알려주고 있다. 부여읍 구아리 303 ☎ (041)833-5083
 
◈ 부여유선방송 - 부여읍 동남리 244-7 ☎ (041) 832-9448
 
◈ 백제유선방송 - 부여읍 쌍북리 653-3 ☎ (041) 832-8402
 
 
 

1.4. 문화예술교육, 연구기관

 
◈ 한국전통문화학교
문화재 전문인력을 양성하는 4년제 국립대학으로 2000년 3월 개교. 현재 문화재관리학과·전통조경학과가 개설되었으며 연차적으로 전통건축학과·전통미술공예학과(2001), 문화유적학과·보존과학과(2002)가 설치예정. 학과별 20∼40명으로 총 720명 정원. 규암면 합정리 430 ☎ (041)830-7114, http://www.nuch.ac.kr
 
◈ 국립부여문화재연구소
충청남북도, 전라남북도, 대전·광주광역시 등 백제문화권 지역의 주요 문화유적에 대한 학술조사 및 연구기능을 담당하며 1990년 발족. 부여읍 관북리 28-4 ☎ (041)833-5901
 
◈ 사물놀이 한울림
부여교육원 옥산면 홍연리 323 ☎ (041)832-0190
 
 
 

1.5.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 부여군민대상
지역발전과 명예선양에 기여한 공이 있는 군민 및 출향인에게 주는 상으로 지역사회개발, 사회윤리, 문화·예술·체육, 애향봉사 부문에 각 1명씩 시상된다. 격년제로 운영되며 10월 백제문화제 개막식에서 군수가 시상한다.
 
 
 

1.6. 지역출신 예술인

 
◈ 정한모
석성면 출신으로 한국시인협회장·문화공보부장관을 역임하였고 1991년 67세로 타계하였다. 부여읍 구드래 조각공원에 시비가 있으며 주요작품으로 「가을에」, 「어머니」, 「나비의 여행」 등이 있다.
 
◈ 김기승
홍산면 출신의 서예가로 33회의 개인전을 가졌고 특유의 힘찬 한글체인 원곡체를 창안했다. 한국 서예가연합회장과 미술협회 고문을 지냈으며, 저서로 『신한국서예사』, 『원곡서예집』등이 있다.
 
◈ 오태학
규암면 출신의 한국화가로 1960년 국전부터 연 3년 특선하였으며, 국전 초대작가와 심사위원,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장을 역임했다. 저서로 『산동화집』이 있다.
 
 
 

1.7. 지역소재 예술작품

 
◈ 금강
부여출신의 민족시인 신동엽의 장편서사시. 백제의 역사와 동학혁명을 소재로 하고 있다.
 
◈ 꿈꾸는 백마강
김용호 작사, 임근식 작곡, 이인권 노래로 백마강, 낙화암, 고란사를 통해서 백제의 정한을 노래하였다.
 
◈ 백마강
손로원 작사, 한복남 작곡, 허민 노래로 백제의 꿈을 그리워하고 삼천궁녀, 계백장군, 오천결사대를 추모하는 노래이다.
 
◈ 낙화암의 노래
이광수 작사, 홍난파 작곡의 가곡으로 낙화암에서 순절한 삼천궁녀를 추모하는 노래이다.
충청남도 부여군 정보
• 부여군의 관광, 여가문화자원
• 부여군의 예술문화자원
• 부여군의 생활문화자원
(2023.12.01. 01:00)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