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저작물 (목치)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하본기 14
목   차
[숨기기]
 

1. (원문)

道九山 : 汧及岐至于荊山, 踰于河 ; 壺口、雷首至于太嶽 ; 砥柱、析城至于王屋 ; 太行、常山至于碣石, 入于海 ; 西傾、朱圉、鳥鼠至于太華 ; 熊耳、外方、桐柏至于負尾 ; 道嶓冢, 至于荊山 ; 內方至于大別 ; 汶山之陽至衡山, 過九江, 至于敷淺原。
 
 

2. (음역)

도구산 : 견급기지우형산, 유우하 ; 호구、뇌수지우태악 ; 지주、석성지우왕옥 ; 태행、상산지우갈석, 입우해 ; 서경、주어、조서지우태화 ; 웅이、외방、동백지우부미 ; 도파총, 지우형산 ; 내방지우대별 ; 문산지양지형산, 과구강, 지우부천원。
 
 

3. (주석)

1. 도(道) - 다스리다, 개통하다.
 
2. 9산(九山) - 견산(汧山), 호구산(壺口山), 지주산(砥柱山), 태행산(太行山), 서경산(西傾山), 웅이산(熊耳山), 파총산(嶓冢山), 내방산(內方山), 기산(岐山)을 가리킨다.
 
3. 견(汧) - 9산 중의 하나이고, 달리 오산(吳山)이라고 일컬었으며 섬서성(陜西省) 롱현(隴縣)에 있다.
 
4. 기(岐) - 2-005-주석7 참고.
 
5. 형산(荊山) - 2-010-주석1 참고.
 
6. 하(河) - 황하를 가리킨다.
 
7. 호구(壺口) - 2-005-주석5 참고,
 
8. 뇌수(雷首) - 뇌수산(雷首山)을 가리키고, 하동(河東) 포판현(蒲阪縣) 동남쪽에 있다.
 
9. 태악(太嶽) - 9산 중의 하나이고, 무당산(武當山), 삼상산(參上山), 태화산(太和山)으로 일컫고 호북성(湖北省) 단강구시(丹江口市)에 있다.
 
10. 지주(砥柱) - 9산 중의 하나이고, 달리 지주산(厎柱山), 삼문산(三門山)으로 일컬으며, 황하 중류에 있는 10여 미터 높이의 산 형태의 암석이다.
 
11. 석성(析城) - 석성산(析城山)을 가리키고, 양성현(陽城縣) 서남쪽에 있다.
 
12. 왕옥(王屋) - 왕옥산(王屋山)을 가리키고 왕옥현(王屋縣)에 있다.
 
13. 태행(太行) - 9산 중의 하나이고 산양현(山陽縣)에 있다.
 
14. 상산(常山) - 달리 긍산(恆山)이라고 일컬으며, 상산군(常山郡) 상곡양현(上曲陽縣)에 있다.
 
15. 갈석(碣石) - 2-005-주석23 참고.
 
16. 서경(西傾) - 2-012-주석20 참고.
 
17. 주어(朱圉) - 주어산(周圉山)을 가리키고, 감숙성(甘肅省) 감곡현(甘谷縣)에 있다.
 
18. 조서(鳥鼠) - 2-013-주석17 참고.
 
19. 태화(太華) - 태화산(太華山)을 가리키고, 달리 화산(華山), 화음산(華陰山)으로 일컬으며, 화음현(華陰縣)에 있다.
 
20. 웅이(熊耳) - 9산 중의 하나이고 산동성(山東省) 조장시(棗庄市)에 있다.
 
21. 외방(外方) - 외방산(外方山)은 선진(先秦) 시기의 명칭이고 현재는 숭산(崇山)이라고 일컫는다.
 
22. 동백(桐柏) - 동백산(桐柏山)을 가리키고, 달리 대복산(大復山)이라고 일컬으며 평씨현(平氏縣) 동남쪽에 있다.
 
23. 부미(負尾) - 부미산(負尾山)을 가리키고, 달리 배미산(陪尾山), 횡미산(橫尾山)으로 일컬으며, 안육현(安陸縣) 동북쪽에 있다.
 
24. 파총(嶓冢) - 2-012-주석5 참고.
 
25. 내방(內方) - 9산 중의 하나이고, 달리 장산(章山), 입장산(立章山)으로 일컬으며, 호북성(湖北省) 종상현(鐘祥縣)에 있다.
 
26. 대별(大別) - 대별산(大別山)을 가리키고, 하남성(河南省), 안휘성(安徽省), 호북성(湖北省)의 경계에 있고 서쪽으로는 동백산(桐柏山)과 인접해 있다.
 
27. 문산(汶山) - 2-012-주석4 참고.
 
28. 형산(衡山) - 2-010-주석2 참고.
 
29. 9강(九江) - 2-010-주석8 참고.
 
30. 부천원(敷淺原) - 부천원산(敷淺原山)을 가리키고, 달리 부양산(傅陽山)으로 일컬으며 예장현(豫章縣)에 있다.
 
 

4. (국역)

9개의 산을 다스렸다. 견산 및 기산을 다스리고 형산까지 이르렀으며, 황하를 넘어서까지 다스렸다. 호구산과 뇌수산을 지나서 태악산에 이르렀다. 지주산과 석성산을 지나서 왕옥산에 이르렀다. 태행산과 상산을 지나서 갈석산에 이르렀고, 바다에 들어가기에 이르렀다. 서경산과 주어산 및 오서산을 지나서 태화산에 이르렀다. 웅이산과 내방산 및 동백산을 지나서 부미산에 이르렀다. 파총산을 다스리고 형산까지 이르렀다. 내방산을 지나서 대별산에 이르렀다. 문산(민산)의 남쪽을 지나서 형산에 이르렀고, 9강을 지나 부천원산에 이르렀다.
【저작】 김영환 교수의 사마천 사기 해설
• 하본기 13
• 하본기 14
• 하본기 15
(2017.10.18. 18:3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