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는 司馬遷 《史記》 및 관련 漢文古典(文,史,哲)을 공부하는 무료 학습모임입니다. 매주 목요일 오후 3시30분부터 5시30분까지 서울시50플러스 중부캠퍼스(공덕역 2번 출구 부근)에서 진행 중입니다. 관심 있으신 분들의 많은 참여를 희망합니다.
|
2024-04-14
댓글 (0)
|
| |
▪
김영환 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345강) 안내
4월 4일 (목요일) 오후 4시,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에서 강의합니다.
김영환교수의 동양고전아카데미는 司馬遷 《史記》 및 관련 漢文古典(文,史,哲)을 공부하는 무료 학습모임입니다.
|
2024-03-18
댓글 (0)
|
| |
▪
김영환 교수의 동양 고전 아카데미는 누구나 참여할 수 있습니다. / 일시 : 매주 목요일 오후 4시 ~ 5시40분 / 장소 : 서울시 50+센터 중부캠퍼스(마포구 공덕동) / 강사 : 남서울대 중국학과 김영환 교수 / 중화민국 국립대만대학 역사학대학원 (석사, 박사) / 대상 : 제한 없음 / 교재 : 무료제공 / 누구나 쉽게 이해할 수 있는 史記 1 (경인문화사, 2013)
|
2024-01-14
댓글 (0)
|
|
|
◈ 내 자료 추천
|
|
|
2023.04.27
|
|
|
|
김영환 교수(남서울대 중국학과)의 동양고전아카데미 제310강 고전(사마천의 사기) 무료강좌 교안입니다. (2023,04,27) 이 자료는 2024년 4월 18일(목) 진행될 사마천 사기 347강 강의 교안입니다. 이 자료는 2024년 4월 11일(목) 진행될 사마천 사기 346강 강의 교안입니다.
|
|
라인수 (1)
|
78 | 1 | |
(6|0) |
|
2024.04.11
|
|
|
|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雜詩-王維〉와 古體詩와 近體詩의 차이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 ; (2) 《書經》〈周官〉의 3公(직위와 담당인물, 주요업무) 등에 대하여 설명 ; (3) 塢, 壁, 堡(塢壁,塢堡) 의 시초와 성행 및 주요 기능 등에 대하여 설명 ; (4) 《論語》〈八佾〉「或問禘之說。子曰:“不知也。知其說者之於天下也,
|
|
|
78 | (0) | |
(6|0) |
|
2024.04.04
|
|
|
|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蓮花塢-王維〉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 ; (2) 保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 《孟子》〈滕文公上〉을 중심으로 孟子와 夷子의 '孟夷之辯' 및 여기서 파생된 孟子의 四端과 性善說에 대하여 설명 ; (5) 중국 고대 3대 祭文(韓愈〈祭十二郞文〉, 歐陽修〈瀧岡阡表
|
|
|
78 | (0) | |
(6|0) |
|
2024.03.28
|
|
|
|
司馬遷《史記》〈本紀〉 4-023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鳥鳴澗-王維〉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 ; (2) 君子의 三思, 三變, 三省, 三恕에 대하여 설명 ; (3) 忠, 信, 恕, 主忠信의 개념에 대하여 설명 ; (4) 天下(周, 天子)와 封國(諸侯國, 諸侯)에 관련된 《詩經》〈北山〉「溥(普)天之下,莫非王土;率土之濱,莫非王臣」과 《左傳》昭公七
|
|
|
78 | (0) | |
(6|0) |
|
◈ 조회순
|
|
2014.07.26
|
|
【저작】
紂愈淫亂不止。 微子數諫不聽, 乃與大師、少師謀, 遂去。 比干曰 : “爲人臣者, 不得不以死爭。” 迺强諫紂。 주왕은 더욱 음란해지고 그칠 줄을 몰랐다. 미자계가 자주 간언했지만 듣지 않았으며, 이에 3공중의 하나인 태사 비와 태자를 보필하는 궁중관리인 소사 강과 더불어 상의한 후에 드디어 주왕의 곁을 떠났다.
|
24 | |
|
|
2025.01.23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警雪〉과 작자 陸暢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警雪, 陸暢, 怪得, 前庭後院, 天人, 剪水 등......) 및 上有天堂,下有蘇杭, 상추(宮菜)와 부추를 심는 이유 등 설명 ; (2) 《史記》〈太史公自序〉「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仁以爲已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俠者救人于厄,振人不贍,仁者有乎., 不旣信,不倍言,義者有取焉」을 《論語》〈泰伯〉의 관련 문장과 비교 설명 ; (3)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5不(著者, 體制, 書名, 原本, 誤謬)와 3疑(出生地, 太史公, 不敬罪)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效周公, 繼春秋, 君子曰, 禁書 ; 12本紀, 30世家, 70列傳, 10表, 8書, 130編 등 각각의 의미와 숫자 유래 설명 ; 北宋本, 文淵閣 四庫全書本, 中華書局點校本과 총 글자수 ; 漢代 後宮(皇后-夫人-美人-良人......) 직급 설명 ; 死刑罪의 贖刑 조건 ; 宮刑(生不如死)의 제반사항; 董仲舒(今文)와 孔安國(古文) ; 李陵, 李夫人, 李廣利, 汗血馬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0 (+1) | |
|
|
2025.03.20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池上〉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小娃, 撑,篙,楫 비교, 一道 등......)에 대하여 설명 ; (2)《論語》〈里仁〉「唯仁者能好人, 能惡人」을 《四書集註》와 《日講四書解義》의 관련내용과 비교 설명 ; (3) 大中至正(大道之中, 至正之道)의 바른 의미를 《中庸》「大中至正其介如石」, 「允執厥中」 등과 비교설명 및 蔣中正(介石)의 이름 유래 및 기타 雅號와 字를 짓는 원칙 등에 대하여 설명 ; (4)《禮記》〈禮運〉의 「大同」과 《詩經》〈民勞〉의 「小康」을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방면과 비교하여 설명 ; (5) 天下爲公과 天下爲私(家)의 비교와 禪讓과 世襲 및 許由(許由洗耳)와 巢父(巢父飮牛)의 사례 설명 ; (6 )고대 人才登用(選賢與能)과 曹操,〈短歌行〉「周公吐哺, 天下歸心」과 《史記》〈魯周公世家〉「一沐三捉髮, 一飯三吐哺, 起以待士, 猶恐失天下之賢人」의 禮賢下士의 태도 설명 ; (8)周公(禮樂)과 召公(仁義)을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8 | |
|
|
2024.12.26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囉嗊曲(其四)〉과 작자 劉采春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望夫歌〉,淮甸, 伶工, 周季崇, 唐代四大女詩人, 桐廬 등......) 및 감상 ; (2) 方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3) 法家의 法(엄형준법-商鞅), 術(신하장악 기술-申不害) 勢(군권 절대성-愼到)와 韓非子, 李斯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뻐꾸기와 飽腹의 전설에 대하여 설명 ; (5) 3尊(事)과 3祀(君, 父, 師의 쌍방윤리와 就養無方과 有方, 致喪, 方喪, 心喪) 등 관련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6) 고대 백과사전, 訓詁學 사전 《爾雅》와 《廣雅》(曹魏, 張揖) 및 별칭 《博雅》에 대하여 설명 ; (7) 《易經》〈繫辭〉의 窮→變→通→久에 의거하여 현 국내상황 진단과 해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
18 | |
|
|
2025.03.13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夜雪〉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代 3대시인, 詩魔, 詩王, 元白, 劉白, 訝(驚訝) 등......)에 대하여 설명 ; (2) 襲의 金文과 원래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 한자의 획수 많은 글자(172획, 참고로 龍, 龍+龍(두마리 용 답, 삽), 龍+龍+龍(용이 가는 모양 답), 龍+龍+龍+龍(수다스러울 절)과 biáng biáng麵(面) 글자모양, 유래(秦始皇), 글자풀이 ; 招財進寶 조합자 등 사례를 설명 ; (4) 중국 고대 服飾(襲, 裼, 袍, 襗, 裘...등) 설명 ; (5) 중국 고대 5종 문학형식(漢賦-唐詩-宋詞-元曲(雜劇+散曲)-明淸小說), 현대는? 설명 ; (6) 王實甫(元), 《崔鶯鶯待月西厢記》의 별칭, 참고문헌, 주요내용과 宮調(說唱)와 諸宮調(長篇) 및 판소리의 원형을 유추하여 설명 ; (8) 封建의 개념(a.時代區分, b.封建制度(유럽, 중국, 일본), c.前近代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9) 고대 점치는 종류와 원칙(先筮而後卜, 卜筮不相襲...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7 | |
|
|
2025.03.06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秋風引〉과 작자 劉禹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引, 詩仙(李白), 詩聖(杜甫), 詩豪(劉禹錫), 樂府詩體, 雁群, 孤客 등......)에 대하여 설명 ; (2) 從親, 相親, 和親(漢+匈奴,9회)의 차이 설명 ; (3) 鬼谷子와 戰國時代 제자들(蘇秦-合縱, 張儀-連橫) 및 范雎-瓦解合縱, 遠交近攻 설명 ; (4) 兵家와 戰國時代 4대 名將(白起, 廉頗, 李牧, 王翦)과 白起와 王翦 비교(尺有所短, 寸有所長) 설명 ; (5) 董仲舒의 사상, 근거, 확대, 주요내용(天人感應과 大一統「罷黜百家, 獨尊儒術」) 및 儒家-儒學(經學, 漢學)-新儒學으로의 변화 설명 ; (6) 《論語》〈里仁〉4-2 주석과 설명 ; (7) 中醫學, 韓醫學, 東醫學 명칭 설명 ; (8) 《孟子》〈滕文公下〉「惡用~爲哉」의 번역과 동일한 패턴 6가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是尚爲能充其類也乎? 若仲子者,蚓而後充其操者也」에서 類, 蚓, 操의 주석과 올바른 번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8 (+2) | |
|
|
2025.01.16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警雪〉과 작자 陸暢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警雪, 陸暢, 怪得, 前庭後院, 天人, 剪水 등......) 및 上有天堂,下有蘇杭, 상추(宮菜)와 부추를 심는 이유 등 설명 ; (2) 《史記》〈太史公自序〉「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仁以爲已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俠者救人于厄,振人不贍,仁者有乎., 不旣信,不倍言,義者有取焉」을 《論語》〈泰伯〉의 관련 문장과 비교 설명 ; (3)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5不(著者, 體制, 書名, 原本, 誤謬)와 3疑(出生地, 太史公, 不敬罪)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效周公, 繼春秋, 君子曰, 禁書 ; 12本紀, 30世家, 70列傳, 10表, 8書, 130編 등 각각의 의미와 숫자 유래 설명 ; 北宋本, 文淵閣 四庫全書本, 中華書局點校本과 총 글자수 ; 漢代 後宮(皇后-夫人-美人-良人......) 직급 설명 ; 死刑罪의 贖刑 조건 ; 宮刑(生不如死)의 제반사항 ; 董仲舒(今文)와 孔安國(古文) ; 李陵, 李夫人, 李廣利, 汗血馬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5 | |
|
|
2024.12.19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囉嗊曲(其四)〉과 작자 劉采春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望夫歌〉,淮甸, 伶工, 周季崇, 唐代四大女詩人, 桐廬 등......) 및 감상 ; (2) 方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3) 法家의 法(엄형준법-商鞅), 術(신하장악 기술-申不害) 勢(군권 절대성-愼到)와 韓非子, 李斯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뻐꾸기와 飽腹의 전설에 대하여 설명 ; (5) 3尊(事)과 3祀(君, 父, 師의 쌍방윤리와 就養無方과 有方, 致喪, 方喪, 心喪) 등 관련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6) 고대 백과사전, 訓詁學 사전 《爾雅》와 《廣雅》(曹魏, 張揖) 및 별칭 《博雅》에 대하여 설명 ; (7) 《易經》〈繫辭〉의 窮→變→通→久에 의거하여 현 국내상황 진단과 해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
15 | |
|
◈ 최근등록순
|
|
2025.03.2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遺愛寺〉와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弄, 臨溪, 繞行, 鳥語 등......)설명 ; (2) 고문헌에 나오는 四瀆에 대하여 설명 ; (3) 泉,沼,泊,潭,淵,湖,川,水,河,江,海,洋의 개념과 河와 江의 비교설명 및 揚子江의 위치에 대하여 설명 ; (4) 중국의 행정구획(省,市,縣,鄕,鎭,村) 설명 ; (5) 淮의 《說文解字》와 기타 문자학적 설명 및 다양한 용례에 대하여 설명 ; (6) 중국근대사(1840-1949년)의 주요 변천과정과 淮軍, 湘軍 및 中體西用, 東道西器, 和魂洋材 등에 대하여 설명 ; (7) 한국 근현대사 변천과정을 nationalism에 입각하여 정리하고, 3개 주요 연원(開化思想, 東學思想, 衛正斥邪)과 파생을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5 (+13) | |
|
|
2025.03.20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池上〉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小娃, 撑,篙,楫 비교, 一道 등......)에 대하여 설명 ; (2)《論語》〈里仁〉「唯仁者能好人, 能惡人」을 《四書集註》와 《日講四書解義》의 관련내용과 비교 설명 ; (3) 大中至正(大道之中, 至正之道)의 바른 의미를 《中庸》「大中至正其介如石」, 「允執厥中」 등과 비교설명 및 蔣中正(介石)의 이름 유래 및 기타 雅號와 字를 짓는 원칙 등에 대하여 설명 ; (4)《禮記》〈禮運〉의 「大同」과 《詩經》〈民勞〉의 「小康」을 정치, 경제, 사회 등 여러 방면과 비교하여 설명 ; (5) 天下爲公과 天下爲私(家)의 비교와 禪讓과 世襲 및 許由(許由洗耳)와 巢父(巢父飮牛)의 사례 설명 ; (6 )고대 人才登用(選賢與能)과 曹操,〈短歌行〉「周公吐哺, 天下歸心」과 《史記》〈魯周公世家〉「一沐三捉髮, 一飯三吐哺, 起以待士, 猶恐失天下之賢人」의 禮賢下士의 태도 설명 ; (8)周公(禮樂)과 召公(仁義)을 비교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8 | |
|
|
2025.03.13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夜雪〉과 작자 白居易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代 3대시인, 詩魔, 詩王, 元白, 劉白, 訝(驚訝) 등......)에 대하여 설명 ; (2) 襲의 金文과 원래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 한자의 획수 많은 글자(172획, 참고로 龍, 龍+龍(두마리 용 답, 삽), 龍+龍+龍(용이 가는 모양 답), 龍+龍+龍+龍(수다스러울 절)과 biáng biáng麵(面) 글자모양, 유래(秦始皇), 글자풀이 ; 招財進寶 조합자 등 사례를 설명 ; (4) 중국 고대 服飾(襲, 裼, 袍, 襗, 裘...등) 설명 ; (5) 중국 고대 5종 문학형식(漢賦-唐詩-宋詞-元曲(雜劇+散曲)-明淸小說), 현대는? 설명 ; (6) 王實甫(元), 《崔鶯鶯待月西厢記》의 별칭, 참고문헌, 주요내용과 宮調(說唱)와 諸宮調(長篇) 및 판소리의 원형을 유추하여 설명 ; (8) 封建의 개념(a.時代區分, b.封建制度(유럽, 중국, 일본), c.前近代的)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9) 고대 점치는 종류와 원칙(先筮而後卜, 卜筮不相襲...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7 | |
|
|
2025.03.06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秋風引〉과 작자 劉禹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引, 詩仙(李白), 詩聖(杜甫), 詩豪(劉禹錫), 樂府詩體, 雁群, 孤客 등......)에 대하여 설명 ; (2) 從親, 相親, 和親(漢+匈奴,9회)의 차이 설명 ; (3) 鬼谷子와 戰國時代 제자들(蘇秦-合縱, 張儀-連橫) 및 范雎-瓦解合縱, 遠交近攻 설명 ; (4) 兵家와 戰國時代 4대 名將(白起, 廉頗, 李牧, 王翦)과 白起와 王翦 비교(尺有所短, 寸有所長) 설명 ; (5) 董仲舒의 사상, 근거, 확대, 주요내용(天人感應과 大一統「罷黜百家, 獨尊儒術」) 및 儒家-儒學(經學, 漢學)-新儒學으로의 변화 설명 ; (6) 《論語》〈里仁〉4-2 주석과 설명 ; (7) 中醫學, 韓醫學, 東醫學 명칭 설명 ; (8) 《孟子》〈滕文公下〉「惡用~爲哉」의 번역과 동일한 패턴 6가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是尚爲能充其類也乎? 若仲子者,蚓而後充其操者也」에서 類, 蚓, 操의 주석과 올바른 번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8 (+2) | |
|
|
2025.01.23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警雪〉과 작자 陸暢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警雪, 陸暢, 怪得, 前庭後院, 天人, 剪水 등......) 및 上有天堂,下有蘇杭, 상추(宮菜)와 부추를 심는 이유 등 설명 ; (2) 《史記》〈太史公自序〉「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仁以爲已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俠者救人于厄,振人不贍,仁者有乎., 不旣信,不倍言,義者有取焉」을 《論語》〈泰伯〉의 관련 문장과 비교 설명 ; (3)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5不(著者, 體制, 書名, 原本, 誤謬)와 3疑(出生地, 太史公, 不敬罪)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效周公, 繼春秋, 君子曰, 禁書 ; 12本紀, 30世家, 70列傳, 10表, 8書, 130編 등 각각의 의미와 숫자 유래 설명 ; 北宋本, 文淵閣 四庫全書本, 中華書局點校本과 총 글자수 ; 漢代 後宮(皇后-夫人-美人-良人......) 직급 설명 ; 死刑罪의 贖刑 조건 ; 宮刑(生不如死)의 제반사항; 董仲舒(今文)와 孔安國(古文) ; 李陵, 李夫人, 李廣利, 汗血馬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0 (+1) | |
|
|
2025.01.16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警雪〉과 작자 陸暢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警雪, 陸暢, 怪得, 前庭後院, 天人, 剪水 등......) 및 上有天堂,下有蘇杭, 상추(宮菜)와 부추를 심는 이유 등 설명 ; (2) 《史記》〈太史公自序〉「士不可以不弘毅, 任重而道遠。仁以爲已任, 不亦重乎? 死而後已, 不亦遠乎? 俠者救人于厄,振人不贍,仁者有乎., 不旣信,不倍言,義者有取焉」을 《論語》〈泰伯〉의 관련 문장과 비교 설명 ; (3) 司馬遷과 《史記》에 대한 5不(著者, 體制, 書名, 原本, 誤謬)와 3疑(出生地, 太史公, 不敬罪)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效周公, 繼春秋, 君子曰, 禁書 ; 12本紀, 30世家, 70列傳, 10表, 8書, 130編 등 각각의 의미와 숫자 유래 설명 ; 北宋本, 文淵閣 四庫全書本, 中華書局點校本과 총 글자수 ; 漢代 後宮(皇后-夫人-美人-良人......) 직급 설명 ; 死刑罪의 贖刑 조건 ; 宮刑(生不如死)의 제반사항 ; 董仲舒(今文)와 孔安國(古文) ; 李陵, 李夫人, 李廣利, 汗血馬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5 | |
|
|
2025.01.09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游子吟〉과 작자 孟郊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臨, 密密, 意恐, 迟迟, 誰言, 寸草, 報得, 三春 등......) 및 吟,謠,曲에 대한 姜夔, 《白石詩話》「悲如蛩螀曰吟,通乎俚俗曰謠,委曲盡情曰曲」 설명 ; (2) 《論語》〈八佾〉「子曰..居上不寬,爲禮不敬,臨喪不哀,吾何以觀之哉?」의 분석과 《大學或問》을 통한 敬의 의미와 「尊德性而道問學」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 (3) 旣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4) 《論語》〈鄕黨〉「不可勝食旣(氣)」에서 食旣(氣)의 발음과 의미., 壺子와 列子., 至焉과 焉者., 韓愈, 〈進學解〉의 풀이(增進,學問,論析)와 의미 등 설명 ; (5) 諸子, 百家, 百家書의 개념, 6家, 9流, 10家, 12家 및 대표 학자와 저서 등을 설명., 《13經》의 형성과 《13經注疏》本의 확정과 주요 내용을 설명 ; (6) 《論語》와 《大學》을 사례로 고전 번역에서 주의할 점 설명 ; (7) 恐妻家와 惧內(兩情相悅, 時間久而久之, 由愛成畏)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4 | |
|
|
2024.12.26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囉嗊曲(其四)〉과 작자 劉采春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望夫歌〉,淮甸, 伶工, 周季崇, 唐代四大女詩人, 桐廬 등......) 및 감상 ; (2) 方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3) 法家의 法(엄형준법-商鞅), 術(신하장악 기술-申不害) 勢(군권 절대성-愼到)와 韓非子, 李斯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뻐꾸기와 飽腹의 전설에 대하여 설명 ; (5) 3尊(事)과 3祀(君, 父, 師의 쌍방윤리와 就養無方과 有方, 致喪, 方喪, 心喪) 등 관련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6) 고대 백과사전, 訓詁學 사전 《爾雅》와 《廣雅》(曹魏, 張揖) 및 별칭 《博雅》에 대하여 설명 ; (7) 《易經》〈繫辭〉의 窮→變→通→久에 의거하여 현 국내상황 진단과 해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
18 | |
|
|
2024.12.19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囉嗊曲(其四)〉과 작자 劉采春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望夫歌〉,淮甸, 伶工, 周季崇, 唐代四大女詩人, 桐廬 등......) 및 감상 ; (2) 方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3) 法家의 法(엄형준법-商鞅), 術(신하장악 기술-申不害) 勢(군권 절대성-愼到)와 韓非子, 李斯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뻐꾸기와 飽腹의 전설에 대하여 설명 ; (5) 3尊(事)과 3祀(君, 父, 師의 쌍방윤리와 就養無方과 有方, 致喪, 方喪, 心喪) 등 관련사항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6) 고대 백과사전, 訓詁學 사전 《爾雅》와 《廣雅》(曹魏, 張揖) 및 별칭 《博雅》에 대하여 설명 ; (7) 《易經》〈繫辭〉의 窮→變→通→久에 의거하여 현 국내상황 진단과 해법에 대하여 설명하였습니다.
|
15 | |
|
|
2024.12.12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南曲〉과 작자 李益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曲, 樂府(민간 詩歌), 〈相和歌〉, 瞿塘, 朝朝 등......) 및 감상 ; (2) 신분에 따른 여성의 호칭(后, 夫人, 孺人, 婦人, 妻, 妾)에 대하여 설명 ; (3) 《論語》〈八佾〉3-24의 분석(版本에 따라 없는 글자(也, 出曰, 乎)와 封人, 見(jian4, xian4)과 喪(1, 4)의 발음에 따른 의미, 木鐸 등에 대하여 설명 ; (4) 一刻如三秋, 一日不見如隔三秋의 三秋(3年, 初秋, 仲秋, 季秋)의 다른 의미 ; (5) 고대의 시간단위(印度의 僧祗律 중심)秒 이상과 秒 이하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 ; (6) 9鼎에서 鼎의 구분(4足2耳, 3足2耳)과 9個說과 1個說의 소개 : (7) 고대 제사의 필수 상차림(香, 酒, 胙, 薦, 新)에 대해서 설명 ; (8) 我者(self)와 他者(the other)의 설명 ; (9) 除服의 36個月說, 27個月說(以日代月), 25個月說에 대하여 설명 ; (10) 《史記》〈管晏列傳〉「天下不多管仲之賢而多鮑叔能知人也」의 번역과 鮑叔牙의 知人 능력에 대하여 설명 ; (11) 多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및 多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7 | |
|
|
2024.12.05
|
|
|
【학습】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1) 唐詩〈塞下曲六首(其三)〉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月黑, 單于, 遁逃, 輕騎, 弓刀 등......) 및 감상; (2) 松柏, 栢樹, 紅松 및 관련된 문장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3) 商나라 靑銅器 后母戊鼎과 관련된 내용과 司와 后의 甲骨文 및 Animal Style, 크리티무카 등에 대하여 설명; (4) 周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및 周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5) 揚雄, 《太玄》과 관련된 宇宙와 人間의 動과 變을 《易經》〈繫辭〉「窮則變,變則通,通則久」와 司馬遷의 「究天人之際,通古今之變,成一家之言」 및 《大學》「大學之道,在明明德,在親(新)民,在止於至善」과 朱子의 《大學章句》「本體之明,有未嘗息者」 등을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 (6) 小成, 中成, 大成의 여러 방면에서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 (7) 小學의 3가지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6 (+1) | |
|
|
2024.11.21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塞下曲六首(其二)〉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林暗, 驚風, 引弓, 平明, 白羽, 石棱 등......) 및 감상 ; (2) 夏나라의 여러 특징(State단계, 관직분화(巫,王,卜,占,貞,祝,史,吏,醫,作冊...), 역사단계, 문자, Urban Revolution...)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朝,宗,謹,遇와 朝貢,朝獻,朝覲,朝見 및 巡狩, 述職......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중국 고대 佛敎의 8대 종파 및 顯敎와 密敎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5) 《論語》의 고대 판본(魯論 20편,古本 21편,齊論 22편) ; 7대 注釋書(鄭玄,何晏,皇侃,邢昺,朱子,劉寶楠,程樹德) ; 현재 통용되는 판본의 4가지 臺本(定州 竹簡本, 鄭玄本, 何晏本+邢昺本=13經注疏本(文淵閣本), 일본 유행본) 등에 대하여 설명 ; (6) 고대 음악(8音,5音,12律呂,翕如,純如,皦如,繹如,成)과 孟子의 孔子 평가 集大成(淸聖 伯夷,任聖 伊尹,時聖 孔子)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3 (+1) | |
|
|
2024.11.14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和張僕射塞下曲六首(其一)〉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和詩, 僕射, 塞下曲, 鷲翎. 金僕姑, 蝥弧, 千營 등 ...) 및 감상 ; (2) 管仲의 3褒(有德, 仁者, 中華維持)3貶(3차례 僭越) 평가(孔子, 《論語》〈八佾〉, 〈憲問〉과 《史記》〈管晏列傳〉의 治國과 賢明) 및 기타 6개 방면의 역사상 평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春秋五霸와 戰國七雄의 覇와 雄에 대하여 설명 ; (4) 齊桓公의 尊王攘夷, 九合諸侯, 一匡天下 및 三歸와 고대 관리의 兼職 용어(攝, 兼, 領, 行, 守, 署, 權)와 차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5) 封建(封土建國)과 宗法制(大宗과 小宗)에 대하여 설명 ; (6) 宗의 甲骨文과 《說文解字》, 《詩經》〈大雅〉, 《禮記》〈喪服小記〉, 《廣韻》 등에 나타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7) 皇帝(德兼三皇, 功高五帝)의 다양한 호칭(帝號, 尊號, 廟號, 諡號, 年號)과 차이에 대하여 설명
|
7 (+2) | |
|
|
2024.11.0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秋夜寄邱員外〉와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員外, 屬, 散步와 散策의 차이, 溜達, 涼天 등 ...) 및 감상 ; (2) 歸의 甲骨文과 金文,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巡狩와 述職 및 不朝의 3가지 경우(貶爵, 削地, 移六師)에 대하여 설명 ; (4) 五岳과 華山의 華에 대한 다양한 발음(1, 2, 4성)과 의미변화에 대하여 설명 ; (5) 犧(毛色純正)牲(整物)과 大牢와 小牢 및 天子와 諸侯의 제사대상 등에 대하여 설명 ; (6) 禪讓과 放伐 및 Military Democracy 설명 ; (7) 歸一과 《荀子》〈宥坐〉「萬折必東」 ; 《弟子規》「事必歸正」 등에 대하여 설명 ; (8) 《詩經》〈關雎〉에 대하여 注釋, 國譯 등 상세히 설명 ; (9) 《舊唐書》〈宣宗紀〉「韜光養晦, 厚積薄發」에서 시작하여 《論語》〈述而〉「學而不厭, 誨人不倦」을 거쳐 《禮記》〈學記〉「學, 然後知不足, 教, 然後知困, 知不足然後能自反, 知困然後能自强, 故曰敎學相長」에 이르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5 | |
|
|
2024.10.31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答李浣(澣)(三首之三)〉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觀(讀),易罷(了), 楚俗, 辭客, 往還(往來, 來往) 등 ...) 감상 ; (2) 姑의 甲骨文과 金文,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簪禮(及笄禮, 上頭禮, 笄禮)에 대하여 설명 ; (4) 姑, 舅(翁)으로 일컫는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 ; (5) 三姑六婆의 여성 전문 職業群과 王父, 姑且(暫借, 姑置勿論, 苟且), 細人 등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6) 堯, 舜, 禹의 비교와 夏后氏12부락 및 禪讓과 世襲의 분기점 설명 ; (7) 尸子(尸佼)의 사상과 宇宙觀 및 《尸子》에 대하여 설명 ; (8) 漢代 儒學의 근원과 변천과정(三晉之學-稷下學-法家(法,術,勢)-荀子-韓非子-董仲舒-儒學(State Confucianism)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9) 《論語》〈八佾〉「哀公問社于宰我,宰我對曰..夏后氏以松,殷人以柏,周人以栗,曰..使民戰栗。子聞之,曰..成事不說,遂事不諫,旣往不咎」의 설명과 《論語》〈公冶長〉「宰予晝寢.....」에서 晝寢 주장과 畵寢 주장의 근거를 비교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
2 | |
|
|
2024.10.24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答李浣(澣)(三首之二)〉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馬卿, 司馬相如, 卓文君, 扁舟, 荻花, 芦花 등 ...) 감상 ; (2)《詩經》의 風, 雅, 頌, 賦, 比, 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論語》의 대화체 형식과 比喩와 諷刺의 방법을 사용한 寓言에 대하여 설명 ; (4)《論語》〈八佾〉「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의 각 注釋家의 번역과 핵심의미인 中庸之道(中庸思想) 추구에 대하여 설명 ; (5) 春秋戰國의 10家9流와 百家爭鳴(學問,思想), 百花齊放(文化,藝術)에 대하여 설명 ; (6)「求其放心」의 의미와 本原之性과 氣質之性, 孟子 4端, 「存天理, 滅(去, 遏)人慾」의 탄생과정(孟子, 孔穎達, 禮記, 周敦頤, 二程, 朱子)과 理, 體, 事, 用의 개념과 天理와 人慾의 상호 비교 및 新儒學의 다양한 명칭(理學, 道學, 朱子學, 性理學, 程朱學, 義理之學, 宋明理學)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7 (+2) | |
|
|
2024.10.1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答李浣(澣)(三首之一)〉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山水田園詩, 韋柳(柳宗元), 浣, 澣, 洗, 滌, 孤客, 春暮, 緘情, 舊游, 海隅(海角, 天涯海角-王勃「海內存知己, 天涯若比鄰」), 人使 등 ...) 감상 ; (2) 薄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左傳》魯僖公30年「燭之武退秦師」 原文 번역과 해설 설명 ; (4)「貨殖」,「三輔」,「焉薄」,「中惡」,「也已」,「毋乃」,「糟胾灰湯(조자회탕)」 단어의 바른 설명 ; (5)儒家의 4聖, 5聖, 6聖 및 柳下惠(坐懷不亂)과 淸聖(伯夷), 和聖(柳下惠), 任聖(伊尹), 時聖(孔子, 孔廟의 聖時門)에 대하여 설명 ; (6)《莊子》〈胠篋〉「魯酒薄而邯鄲圍」를 중심으로 戰國時代 상황과 邯鄲之夢(黃粱之夢) 및 중국 10大(8大) 銘酒, 孔府家酒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7)《史記》 3家注(《史記集解》, 《史記索隱》, 《史記正義》)를 비교 설명하고 漢文 古典의 기본적인 번역형식(原文, 音譯, 注釋, 國譯, 解說)을 갖출 것에 대하여 설명 ; (8)《孟子》〈離婁上〉「人之患, 在好爲人師」와 반대 의미 「人之福, 在於以人爲師」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3 (+1) | |
|
|
2024.10.12
|
|
|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三閭廟〉와 작자 戴叔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三閭廟, 屈原廟, 三閭大夫,屈子,煙起, 煙霧, 蕭蕭, 楓樹 등 ...) 및 拙詩 〈登泰山二首-五言律詩〉 감상 ; (2) 漢 高祖 劉邦이 설치한 秦巫, 晉巫, 梁巫, 荊巫 등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 ; (3) 信賞必罰과 賞慶刑威에 대하여 설명 ; (4) 戰國時代 4公子(信陵君, 平原君, 孟嘗君, 春信君(黃歇-사람이름 알)와 관련 故事成語를 설명 ; (5) 林語堂의 사랑에 관한 몇 가지(결혼증, 변하는 것, 주고받는 것)에 대하여 설명 ; (6) 조선 초기 正音은 중국 福建 발음과 관련 문제 ; (7) 《論語》〈八佾〉「定公問..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孔子對曰..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을 儒家의 君, 父, 師, 人에 대한 雙方 倫理로 본 忠과 恕를 풀이하고, 《論語》〈顏淵〉「政者, 正也。子帥以正, 孰敢不正」을 定公과 季氏의 당시 상황(奪位-歸孔-問政)을 고려하여 새롭게 해석 ; (8) 司馬遷의 侮辱의 10단계 설명 ; (9) 薄의 金文과 《說文解字》에서의 文字學的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4 | |
|
|
2024.09.19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拜新月〉과 작자 李端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 代宗, 大曆 10大才子之一, 拜月풍속, 新月, 朔月, 立卽,立刻, 馬上, 細語, 月下老人, 《禮記》「春朝日,秋夕月」 秋夕, 仲秋節 등 ...) ; (2) 春秋時代 최고의 美女, 蕩婦(宣姜, 文姜) 및 당시의 사회상에 대하여 설명 ; (3) 夏商周 3代 男性과 女性의 姓氏, 姓名 표기 방법과 姓에서 氏로의 변화 및 姓氏(姓, 氏, 姓氏)의 통칭 과정에 대하여 설명 ; (4) 周公과 召公의 여러 가지 문제 비교(출생, 통치지역, 통치방식, 신분, 통치기반, 보좌시기, 후대평가, 《詩經》의 〈周南〉과 〈召南〉 관련 등) ; (5) 「存天理, 滅(遏)人慾」에 대하여 설명 ; (6) 시대구분의 주요 9가지 방법(역사발전5단계,세계사적,아시아적,도구사용,중국사 인물중심,문화상,사회학적,통치관념상,혼인형태별,혁명별)을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0) | |
|
|
2024.09.12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行無題〉와 작자 錢起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 代宗, 10大才者之一, 江行, 匡廬, 匡山, 廬山, 只疑, 猶有, 六朝, 錢翊의 〈江行無題〉등 ...) ; (2) 君의 다양한 의미(통치자, 주재자, 토지 소유자, 주인) 등 예문과 함께 설명 ; (3) 辛+0+辛 형태의 다양한 글자(辨, 辦, 辬...) 등에 대하여 설명 ; (4) 皇天, 后土, 眷命, 奄有, 治辨, 君臨, 下第, 逆旅 등 단어 의미 설명 ; (5) 范蠡의 3가지 수수께끼( 范蠡는 田成子를 도운 鴟夷子皮와 동일인 인가? ; 范蠡는 후세에 商業의 神(陶朱公)으로 일컬어졌나? ; 范蠡는 최고의 미녀 西施의 남편인가?) 및 涸澤之蛇, 竊鉤者誅, 竊國者侯, 長頸鳥喙, 功成身退 등 故事成語와 관련된 내용 설명 ; (6) 역사 발전 5단계설(原始-奴隸-封建-資本-(社會)-共産)과 共, 公, 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 (+2) | |
|
|
|
|
|
|
|
▣ 지식창고
|
▶ 공개자료실
|
|
|
|
|
(A) 내 지식자료
|
Ο 지식창고작업
|
|
|
|
|
|
|
|
about 김영환교수의 지식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