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조선의 공간과 도자기’ 학술대회 개최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오는 10월 20일(금) 13시부터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조선의 공간과 도자기”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학예연구실】
국립광주박물관‘조선의 공간과 도자기’학술대회 개최
 
  국립광주박물관(관장 이애령)은 오는 10월 20일(금) 13시부터 국립광주박물관 대강당에서“조선의 공간과 도자기”라는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
  이 학술대회는 도자기가 사용되는 공간과 도자기의 문양들이 담고 있는 공간에 대한 이해를 위해 마련되었다. 지금까지 조선시대 도자기 연구는 도자기의 생산과 발전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번에는 도자기의 실제 사용을 살펴보기 위해 건축, 서화를 아우르는 여러 전문분야와 융합적 연구를 시도한다.
  이번 학술대회에서는 조선시대 누정문화와 함께 도자기의 쓰임에 대한 새로운 주제를 제시하고 확장할 수 있는 발표와 토론이 준비되어 있다. 특히 호남지역 누정과 도자 기에 대해 이해할 수 있는 자리이다.
 
  학술대회는 1부 <풍류 공간 속의 도자기>, 2부 <도자기 속의 풍류 공간>으로 나눠 진행된다. 1부 주제발표는 ▲조선시대 누정 건물의 역사와 기능(이강근, 서울시립대) ▲누정(樓亭)과 공간(空間)의 경계를 넘어서: 조선시대(朝鮮時代)의 누정산수화(樓亭山水畵)의 상징과 기능(박은순, 덕성여대) ▲남도 원림의 고고학적 조사와 출토 자기(권혁주, (재)민족문화유산연구원)를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다.
  2부 발표에서는 ▲청화백자 산수문과 영조(英祖)의 만들어진 신화(조규희, 서울대) ▲조선후기 화훼문 백자를 통해 본 문인취향(김은경, 덕성여대) ▲조선 백자에 보이는 시문과 공간의 이해(김현정, 국립광주박물관)에 대한 주제 발표가 예정되어 있다.
  주제발표를 마치면 고려대학교 방병선 교수를 좌장으로 발표자들과 조일형(한국학호남진흥원), 이수경(국립중앙박물관), 김희정‧장효진(국립광주박물관), 이선옥(의재미술관), 김세호(경상국립대학교) 간에 토론이 예정되어 있다.
  학술대회는 행사 당일 현장에서 간단한 등록 절차만 거치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번 학술대회가 ‘조선의 공간과 도자기’에 대한 이해를 제고하고, 향후 과제와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자리가 되기를 기대한다. 국립광주박물관은 학술대회 연구 성과를 보완하여 올해 12월에 학술총서(통권 제1호)를 발간할 예정이다.
 
 
 
 
붙임 1. ‘조선의 공간과 도자기’  학술대회 일정 1부.
       2. 포스터 1부. 끝.
 

 
※ 원문보기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경주박물관] 큐레이터가 알려주는 ‘월지에서 출토된 나무 이야기’- 국립경주박물관 10월 큐레이터와의 대화 운영 -
• [국립광주박물관] 국립광주박물관‘조선의 공간과 도자기’ 학술대회 개최
• [국립김해박물관] 국립김해박물관 2023년 제26기 가야학아카데미 개최 - “가야, 세계유산이 되다”
(2023.10.18. 11:20)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