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일반 (일자별)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유착나무돌산호, 예쁘다고 꺾으면 안돼요!
해양수산부 ( 장관 문성혁 ) 는 우리바다 청정해역에서 수려한 자태를 뽐내는 ‘ 유착나무돌산호 ’ 를 7 월의 보호해양생물로 선정하였다 .【해양생태과 - 이형민 (044-200-5315)】
유착나무돌산호 , 예쁘다고 꺾으면 안돼요 !
- 해양수산부 , 7 월의 보호해양생물로 ‘ 유착나무돌산호 ‘ 선정 -
 
해양수산부 ( 장관 문성혁 ) 는 우리바다 청정해역에서 수려한 자태를 뽐내는 ‘ 유착나무돌산호 ’ 를 7 월의 보호해양생물로 선정하였다 .
 
유착나무돌산호는 돌산호목 나무돌산호과에 속하는 종으로 , 단단한 나무 모양의 몸통을 가졌다 . 식물처럼 생겼지만 , 가지 끝에 달린 촉수 * 를 뻗어 플랑크톤을 잡아먹는 자포동물 ** 이다 . 몸통과 촉수는 밝은 주황색을 띠며 , 원통형의 굵은 가지는 이웃 가지와 서로 붙어있다 . 이 산호는 청정해역의 수심 20~100m 암반에 붙어 서식하며 , 매우 느리게 성장하기 때문에 한 번 훼손되면 회복까지 오랜 시간이 걸린다 .
 
* 촉수 : 몸 앞부분이나 입 주위에 있는 돌기 모양의 기관
 
** 해파리 , 산호 , 말미잘 등이 속하는 동물군으로 , 뼈와 항문이 없고 촉수가 있음
 
우리나라에서는 제주 북부 ( 추자도 ) 와 남해 완도해역 , 동해 왕돌초와 울릉도 · 독도 등 일부 지역에 제한적으로 서식하고 있다 . 대부분 군락을 이루지 않은 독립개체만 발견되었으나 , 지난 2016 년 독도에서 폭 5m, 높이 3m 의 국내 최대 규모 군락지가 발견되기도 하였다 .
 
유착나무돌산호에는 다양한 해양생물이 공생하고 있어서 해양생물다양성을 높여주고 , 지구온난화 등 환경변화를 감지하는 지표 * 로도 활용되어 그 보존가치가 높다 . 이 때문에 유착나무돌산호의 주 서식지인 울릉도가 동해안 최초의 해양보호구역으로 지정 (2014 년 ) 되기도 하였다 .
 
* 온난화에 따라 수온이 상승하면 서식지의 위도도 상승
 
그러나 어업용 로프 , 폐어구에 의한 훼손과 해양레저 ( 스쿠버다이빙 ) 활동 중 무분별한 채취 , 갯녹음 현상 * 등으로 인해 유착나무돌산호의 서식이 위협받고 있다 .
 
* 연안 암반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고 흰색의 석회조류가 달라붙어 암반지역이 흰색으로 변하는 현상으로 , ‘ 바다 사막화 ’ 라고도 함
 
이에 , 해양수산부는 「 해양생태계의 보전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에 따라 2007 년부터 유착나무돌산호를 해양보호생물 ( 법정 해양보호종 명칭 ) 로 지정하여 관리해오고 있다 . ‘ 국가 해양생태계 종합조사 ’ 를 실시하여 서식현황을 파악하고 , ‘ 해양생태계 서식처 기능 개선 · 복원사업 ’ 을 수행하는 등 서식지 보전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
 
유착나무돌산호를 허가 없이 포획하거나 유통시키는 행위는 원칙적으로 금지되며 , 이를 위반할 경우 3 년 이하의 징역 또는 3 천만 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진다 .
 
명노헌 해양수산부 해양생태과장은 “ 유착나무돌산호 군락지는 다양한 해양생물이 어우러져 살아가는 건강한 해양생태계 그 자체이다 .” 라며 , “ 해양레저 활동 중에도 바다를 아끼고 사랑하는 마음으로 유착나무돌산호 군락지를 훼손하지 않도록 유의해주시기 바란다 .” 라고 말했다 .
 
유착나무돌산호를 비롯한 보호해양생물에 관한 자세한 정보는 바다생태정보나라 누리집 (www.ecosea.go.kr) 에서 확인할 수 있다 .
 
 
첨부 :
190701(석간) 유착나무돌산호, 예쁘다고 꺾으면 안돼요!(해양생태과).hwp
 

 
※ 원문보기
해양수산부 보도자료
• 7월부터는 갈치와 참조기를 잡지말고 지켜주세요!
• 유착나무돌산호, 예쁘다고 꺾으면 안돼요!
• 무더운 여름철 ‘전복‘과 ‘장어‘로 원기회복하세요
(2019.10.10. 21:35)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