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문화재·역사·전
일반 (일자별)
【문화】 문화재·역사·전
◈ 리움 미술관 (M1)의 국보 & 보물 (2)
서울 용산구 한남동의 리움 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국보 및 보물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번째입니다. 리움의 고 미술관(M1) 층별 전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서울 용산구 한남동의 리움 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국보 및 보물에 대해 알아보고 있습니다. 오늘은 두번째입니다. 리움의 고 미술관(M1) 층별 전시품은 아래와 같습니다.
 

1층(M1)

2층

3층

4층

장식, 금속,토기

글씨, 그림

분청사기,백자

청자

 
▼ 가야 금관(金冠) 및 부속 금구(附屬金具)
 
☞아래는 신라 금관총의 금관으로 가야 금관보다 더 크고 화려하고 정교합니다.
 
 
▼금동 대탑(金銅大塔)
 
이 금동대탑은 석탑과 목조 건축의 양식을 종합하여 표현한 작품이라 할 수 있습니다. 2층 기단 위에 탑신을 세우고 꼭대기에 상륜부를 따로 만들어 올린 구조로 전형적인 석탑의 양식을 따르고 있지만 전체적인 인상은 목조 건축을 연상케 하는데, 이는 세부적으로 목조 건축의 요소를 다양하게 갖추고 있기 때문입니다.
기단의 앞뒤로 계단이 있고, 계단을 오르면 문을 통해 전각 안으로 들어갈 수 있도록 표현하였습니다. 문 옆으로 창문과 창살 그리고 기둥과 지붕을 받치는 공포(栱包)까지 사실적으로 나타냈고, 밖으로 난간을 돌려 아랫부분과 구분 지었습니다. 각 층의 지붕은 기왓골이 파인 기와 지붕에 잡상(雜像)을 배치하였으며, 처마 끝에는 풍령(風鈴)을 달았고 탑신 면에는 기둥 사이로 여래좌상을 도드라져 보이게 표현하였습니다.
 
 
▼감지 금은니(紺紙金銀泥)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 권(券) 31
 
> ☞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은 "화엄경(華嚴經)"의 정식 명칭으로 화엄경은 부처와 중생이 둘이 아니라 하나라는 것을 기본 사상으로 하고 있는 화엄종의 근본경전입니다.
 
 
▼ 아미타여래 삼존도(阿彌陀如來 三尊圖)
 
아미타여래(阿彌陀如來)와 관음(觀音) · 지장(地藏) 두 보살(菩薩)이 왕생자(往生者, 죽어서 다른 세상에 태어나는 사람)를 극락으로 맞아 가는 아미타내영도(阿彌陀來迎圖)입니다. 아미타여래는 화면의 오른쪽에 서서 계주에서 빛을 내고 오른손을 내밀어 왕생자를 맞이하고 있는데, 연꽃 대좌를 받치고 있는 관음보살과 무릎 꿇은 왕생자와 함께 이 그림의 중심축을 이룹니다. 손에는 보주(寶珠)를 든 채, 뒤쪽에서 정면을 응시하고 있는 지장보살은 왕생자와 관음보살 그리고 아미타여래로 이어지는 축에서 약간 벗어나 있으면서 전체 구도에 여유를 주고 있습니다.
 
 
▼청동 은입사(靑銅銀入絲) 보상 당초 봉황문 합(寶相唐草鳳凰紋盒)
 
 
출처 : 리움미술관, 민족 문화 대백과, 구글, 네이버
 

 
※ 원문보기
【문화】 문화재·역사·전
• 리움 미술관 (M1)의 국보 & 보물 (3)
• 리움 미술관 (M1)의 국보 & 보물 (2)
• 리움 미술관 (M1)의 국보 & 보물 (1)
(2024.05.14. 09:0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