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문화재·역사·전
일반 (일자별)
【문화】 문화재·역사·전
◈ 리움 미술관 (M1)의 국보 & 보물 (3)
서울 용산 한남동에 있는 리움 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한국의 국보와 보물을 알아보는 마지막 회입니다.
서울 용산 한남동에 있는 리움 미술관에서 전시 중인 한국의 국보와 보물을 알아보는 마지막 회입니다.
 
▼ 군선도(群仙圖 )
 
 
▼경기감영도(京畿監營圖) 12폭 병풍
 
 
 
 
▼독립문과 모화관(독립관이나 일제 강점기라 모화관으로 표시한 것으로 추정)
 
☞ 경기 감영도 12폭 병풍 그림에서 찾기
경기감영(경기도청으로 현재 서대문역 옆의 디 타워 빌딩 위치), 돈의문(敦義門. 서대문으로 없어졌고 현재 강북 삼성 병원과 서울 도시 건축 센터 사이), 한양도성 성곽, 영은문(독립문으로 변함), 모화관(독립관), 경기 중군영(현재 금화 초등학교 위치), 북악산(백악산), 인왕산, 북한산(삼각산)을 찾아보세요!
 
▼청동 은입사(靑銅銀入絲) 포류수금문 향완(蒲柳水禽紋香垸)
글월 문文과 무늬 문紋을 혼용해 쓴다.
 
 
▼청동은입사(靑銅銀入絲) 운룡문 향완(雲龍紋香垸)
 
▼청자상감 운학 모란 국화문 매병(靑瓷象嵌雲鶴牡丹菊花紋梅甁)
백자나 청자는 도자기류인데 오지그릇 자瓷가 아닌 자석 자磁로 대부분 표기한다. 옥편을 찾아보니 "磁" 자를 사기그릇 자로도 표기하고 있지만 도자기 陶瓷器로 표기합니다.
 
 
 
▼청자동채 연화문 표형 주자(靑瓷銅彩蓮花紋瓢形注子)
 
출처: 리움미술관, 국립 중앙 박물관, 네이버, 구글, 위키백과
 
 
▣ 마무리하며
 
서울 용산 리움 미술관의 고 미술관(M1)을 무료로 관람하였다. 해설사를 대신한 디지털 가이드가 좋았다. 내가 좋아하는 것 앞에 서면 무료로 빌린 디지털 가이드가 자동으로 해설하고 여러 번 들을 수 있으며 밑부분 등 보이지 않는 부분을 보여주기에 더욱 좋았다.
3~4층의 많은 도자기 진열품들은 내겐 조금 벅찼을 정도였다. 그래서 큰 것 위주와 단독 진열된 자기를 중심으로 둘러보았다. 아무튼 한두 번 봐서는 잘 모르겠기에 여러 번 방문하여야 할 것 같다.
사랑하면 알게 되고
알게 되면 보이나니,
그때에 보이는 것은 전과 같지 않으리라.
☞ 다음은 국보(보물)가 아닌 리움 고 미술관 전시품에 대하여 알아봅니다.
 
 
※ 리움 미술관 정보

주소

서울 용산구 이태원로 55길 60-16. 지하철 6호선 한강진 역 1번 출구 약 200m

이용 시간

10시~ 18시(17:30 매표 마감), 매주 월요일 휴관

전화번호

☎ 02-2014-6900

건물, 층별

고 미술관

전시장(1~4층), 무료입장, 예약제이나 데스크에서 바로 발권 받음

특별전시관

"필립 파레노" 보이스( ~ 2024.7.7) 18,000원/성인

무료 대여

전시 작품 앞에 다가서면 자동으로 작품 해설을 해주는 디지털 단말기 가이드는 로비 안내 데스크에서 신분증을 맡기고 무료로 빌림

편의시설

리움 스토어(B1), 카페(B1), 개인 물품 보관함(B1)

홈페이지

 

 
※ 원문보기
【문화】 문화재·역사·전
• 리움 미술관의 국보 & 보물 외 전시품(1)
• 리움 미술관 (M1)의 국보 & 보물 (3)
• 리움 미술관 (M1)의 국보 & 보물 (2)
(2024.05.14. 09:06)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