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궁인창의 지식창고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저작물 (일자별)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울진현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울진현】본래 고구려의 우진야현(于珍也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군(郡)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울진현이라 일컬었으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현의 사람들이 전하기를, “옛 이름은 半伊郡, 또는 仙槎郡이었다” 한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강원도
 
◎ 울진현(蔚珍縣)
 
 
지현사(知縣事) 1인.
 
본래 고구려의 우진야현(于珍也縣)인데, 신라에서 지금의 이름으로 고쳐서 군(郡)으로 하였고, 고려에서 울진현이라 일컬었으며, 본조에서도 그대로 따랐다. (현의 사람들이 전하기를, “옛 이름은 半伊郡, 또는 仙槎郡이었다” 한다) 약사진(藥寺津; 현의 남쪽에 있다) 골장진(骨長津; 현의 북쪽에 있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바다 어귀에 이르기 8리, 서쪽으로 경상도 안동(安東) 임내 소천현(小川縣)에 이르기 63리, 남쪽으로 평해(平海)에 이르기 37리, 북쪽으로 삼척(三陟)에 이르기 32리이다. 호수(戶數)는 2백 70호요, 인구가 1천 4백 83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38명이요, 선군이 70명이요, 수성군(守城軍)이 4명이다. 토성(土姓)이 5이니, 임(林)·장(張)·정(鄭)·방(房)·유(劉)요, 속성(續姓이 1이니, 민(閔)이다.(榮州에서 왔는데, 향리이다)
 
땅이 기름지고 메마른 것이 반반이며, 풍속이 해산물로 생업을 삼고, 무예를 숭상한다. 간전(墾田)이 1천 3백 51결이요(논이 3분의 1이다), 토의(土宜)는 오곡과 뽕나무·삼·감·배·닥나무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철(鐵)·호도·석이·오배자(五倍子)·조피나무열매[川椒]·미역·칠·사슴포·여우가죽·삵쾡이가죽·노루가죽·범의 가죽·돼지털·대구·문어·숭어·전복·홍합이요, 약재는 복령·승검초뿌리[當歸]·바디나물뿌리[前胡]·대왕풀[白芨]·오미자·인삼이요, 토산(土産)은 가는대와 왕대요, 염분(鹽盆)이 61이다. 자기소(磁器所)가 1이니, 현의 북쪽 10리 신곡리(薪谷里)에 있고,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현의 북쪽 12리 감대리(甘大里)에 있다. (모두 품질이 하품이다)
 
황산 석성(皇山石城;둘레 6백 16보 5척인데, 때로 邑城으로 삼으며, 안에 샘이 넷, 못이 하나 있는데, 샘은 비록 크게 가물어도 모두 마르지 아니하나, 못은 크게 가물면 간혹 마른다) 온천(溫泉)이 현의 북쪽 44리 흥부역(興富驛)의 서쪽 구수우물산동(仇水亐勿山洞)에 있다. 역(驛)이 3이니, 흥부(興富;옛 이름은 興府이다)·덕신(德神;옛 이름은 德新이다)·수산(守山;옛 이름은 수산(壽山)이다)이다. 봉화가 4곳이니, 전반인산(全反仁山)이 현의 남쪽에 있고(남쪽으로 平海 沙冬山에, 북쪽으로 죽진산에 응한다), 죽진산(竹津山;북쪽으로 竹邊串에 응한다), 죽변곶(竹邊串;북쪽으로 亘出道山에 응한다), 긍출도산(亘出道山)이다. (북쪽으로 삼척 可谷山에 응한다)
 
우산(于山)과 무릉(武陵) 2섬이 현의 정동(正東) 해중(海中)에 있다.(2섬이 서로 거리가 멀지 아니하여, 날씨가 맑으면 가히 바라볼 수 있다. 신라 때에 于山國, 또는 鬱陵島라 하였는데, 地方이 1백리이며, 사람들이 지세가 험함을 믿고 복종하지 아니하므로, 智證王 12년에 異斯夫가 何瑟羅州 軍主가 되어 이르기를, “우산국 사람들은 어리석고 사나와서 위엄으로는 복종시키기 어려오니, 가히 계교로써 하리라” 하고는, 나무로써 사나운 짐승을 많이 만들어서 여러 戰船에 나누어 싣고 그 나라에 가서 속여 말하기를, “너희들이 항복하지 아니하면, 이 사나운 짐승을 놓아서 너희들을 잡아먹게 하리라” 하니, 그 나라 사람들이 두려워하여 와서 항복하였다. 고려 太祖 13년에, 그 섬 사람들이 白吉土豆로 하여금 方物을 헌납하게 하였다. 毅宗 13년에 審察使 金柔立 등이 돌아와서 보고하기를, “섬 가운데 큰 산이 있는데, 산꼭대기로부터 동쪽으로 바다에 이르기 1만여 보이요, 서쪽으로 가기 1만 3천여 보이며, 남쪽으로 가기 1만 5천여 보이요, 북쪽으로 가기 8천여 보이며, 촌락의 터가 7곳이 있고, 간혹 돌부처·쇠북·돌탑이 있으며, 멧미나리[柴胡]·蒿本·石南草 등이 많이 난다.” 하였다. 우리 太祖 때, 유리하는 백성들이 그 섬으로 도망하여 들어가는 자가 심히 많다 함을 듣고, 다시 三陟사람 金麟雨를 명하여 安撫使로 삼아서 사람들을 刷出하여 그 땅을 비우게 하였는데, 인우가 말하기를, “땅이 비옥하고 대나무의 크기가 기둥 같으며, 쥐는 크기가 고양이 같고, 복숭아씨가 되[升]처럼 큰데, 모두 물건이 이와 같다” 하였다.)
 
【원전】 5집 679면
【인문】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춘천도호부
• 울진현
• 평해군
(2024.05.18. 14:17)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내서재
추천 : 0
▣ 다큐먼트 작업
지식지도
알림∙의견
모든댓글보기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소유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