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고] |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
|
2024년 12월
|
2024년 12월 12일
|
|
2024년 12월 5일
|
|
2024년 11월
|
2024년 11월 21일
|
|
2024년 11월 14일
|
|
2024년 11월 7일
|
|
2024년 10월
|
2024년 10월 31일
|
|
2024년 10월 24일
|
|
2024년 10월 17일
|
|
2024년 10월 12일
|
|
2024년 9월
|
2024년 9월 19일
|
|
2024년 9월 12일
|
|
2024년 9월 5일
|
|
2024년 7월
|
2024년 7월 25일
|
|
2024년 7월 20일
|
|
2024년 7월 4일
|
|
2024년 6월
|
2024년 6월 27일
|
|
2024년 6월 20일
|
|
2024년 6월 13일
|
|
2024년 5월
|
2024년 5월 30일
|
|
2024년 5월 16일
|
|
2024년 5월 9일
|
|
2024년 5월 2일
|
|
2024년 4월
|
2024년 4월 25일
|
|
2024년 4월 18일
|
|
2024년 4월 11일
|
|
2024년 4월 4일
|
|
2024년 3월
|
2024년 3월 28일
|
|
2024년 3월 21일
|
|
2024년 3월 14일
|
|
2024년 3월 7일
|
|
2024년 1월
|
2024년 1월 25일
|
|
2024년 1월 18일
|
|
2024년 1월 11일
|
|
2024년 1월 4일
|
|
2023년 12월
|
2023년 12월 28일
|
|
|
2023년 12월 21일
|
|
2023년 12월 14일
|
|
2023년 12월 7일
|
|
2023년 11월
|
2023년 11월 30일
|
|
2023년 11월 23일
|
|
2023년 11월 16일
|
|
2023년 11월 9일
|
|
2023년 10월
|
2023년 10월 26일
|
|
2023년 10월 19일
|
|
2023년 10월 12일
|
|
2023년 10월 5일
|
|
◈ 조회순
|
|
2024.10.1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答李浣(澣)(三首之一)〉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山水田園詩, 韋柳(柳宗元), 浣, 澣, 洗, 滌, 孤客, 春暮, 緘情, 舊游, 海隅(海角, 天涯海角-王勃「海內存知己, 天涯若比鄰」), 人使 등 ...) 감상 ; (2) 薄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左傳》魯僖公30年「燭之武退秦師」 原文 번역과 해설 설명 ; (4)「貨殖」,「三輔」,「焉薄」,「中惡」,「也已」,「毋乃」,「糟胾灰湯(조자회탕)」 단어의 바른 설명 ; (5)儒家의 4聖, 5聖, 6聖 및 柳下惠(坐懷不亂)과 淸聖(伯夷), 和聖(柳下惠), 任聖(伊尹), 時聖(孔子, 孔廟의 聖時門)에 대하여 설명 ; (6)《莊子》〈胠篋〉「魯酒薄而邯鄲圍」를 중심으로 戰國時代 상황과 邯鄲之夢(黃粱之夢) 및 중국 10大(8大) 銘酒, 孔府家酒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7)《史記》 3家注(《史記集解》, 《史記索隱》, 《史記正義》)를 비교 설명하고 漢文 古典의 기본적인 번역형식(原文, 音譯, 注釋, 國譯, 解說)을 갖출 것에 대하여 설명 ; (8)《孟子》〈離婁上〉「人之患, 在好爲人師」와 반대 의미 「人之福, 在於以人爲師」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35 (+3) | |
|
|
2024.10.12
|
|
|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三閭廟〉와 작자 戴叔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三閭廟, 屈原廟, 三閭大夫,屈子,煙起, 煙霧, 蕭蕭, 楓樹 등 ...) 및 拙詩 〈登泰山二首-五言律詩〉 감상 ; (2) 漢 高祖 劉邦이 설치한 秦巫, 晉巫, 梁巫, 荊巫 등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 ; (3) 信賞必罰과 賞慶刑威에 대하여 설명 ; (4) 戰國時代 4公子(信陵君, 平原君, 孟嘗君, 春信君(黃歇-사람이름 알)와 관련 故事成語를 설명 ; (5) 林語堂의 사랑에 관한 몇 가지(결혼증, 변하는 것, 주고받는 것)에 대하여 설명 ; (6) 조선 초기 正音은 중국 福建 발음과 관련 문제 ; (7) 《論語》〈八佾〉「定公問..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孔子對曰..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을 儒家의 君, 父, 師, 人에 대한 雙方 倫理로 본 忠과 恕를 풀이하고, 《論語》〈顏淵〉「政者, 正也。子帥以正, 孰敢不正」을 定公과 季氏의 당시 상황(奪位-歸孔-問政)을 고려하여 새롭게 해석 ; (8) 司馬遷의 侮辱의 10단계 설명 ; (9) 薄의 金文과 《說文解字》에서의 文字學的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31 (+1) | |
|
|
2024.11.0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秋夜寄邱員外〉와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員外, 屬, 散步와 散策의 차이, 溜達, 涼天 등 ...) 및 감상 ; (2) 歸의 甲骨文과 金文,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巡狩와 述職 및 不朝의 3가지 경우(貶爵, 削地, 移六師)에 대하여 설명 ; (4) 五岳과 華山의 華에 대한 다양한 발음(1, 2, 4성)과 의미변화에 대하여 설명 ; (5) 犧(毛色純正)牲(整物)과 大牢와 小牢 및 天子와 諸侯의 제사대상 등에 대하여 설명 ; (6) 禪讓과 放伐 및 Military Democracy 설명 ; (7) 歸一과 《荀子》〈宥坐〉「萬折必東」 ; 《弟子規》「事必歸正」 등에 대하여 설명 ; (8) 《詩經》〈關雎〉에 대하여 注釋, 國譯 등 상세히 설명 ; (9) 《舊唐書》〈宣宗紀〉「韜光養晦, 厚積薄發」에서 시작하여 《論語》〈述而〉「學而不厭, 誨人不倦」을 거쳐 《禮記》〈學記〉「學, 然後知不足, 教, 然後知困, 知不足然後能自反, 知困然後能自强, 故曰敎學相長」에 이르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7 (+2) | |
|
|
2024.10.31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答李浣(澣)(三首之三)〉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觀(讀),易罷(了), 楚俗, 辭客, 往還(往來, 來往) 등 ...) 감상 ; (2) 姑의 甲骨文과 金文,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簪禮(及笄禮, 上頭禮, 笄禮)에 대하여 설명 ; (4) 姑, 舅(翁)으로 일컫는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 ; (5) 三姑六婆의 여성 전문 職業群과 王父, 姑且(暫借, 姑置勿論, 苟且), 細人 등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6) 堯, 舜, 禹의 비교와 夏后氏12부락 및 禪讓과 世襲의 분기점 설명 ; (7) 尸子(尸佼)의 사상과 宇宙觀 및 《尸子》에 대하여 설명 ; (8) 漢代 儒學의 근원과 변천과정(三晉之學-稷下學-法家(法,術,勢)-荀子-韓非子-董仲舒-儒學(State Confucianism)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9) 《論語》〈八佾〉「哀公問社于宰我,宰我對曰..夏后氏以松,殷人以柏,周人以栗,曰..使民戰栗。子聞之,曰..成事不說,遂事不諫,旣往不咎」의 설명과 《論語》〈公冶長〉「宰予晝寢.....」에서 晝寢 주장과 畵寢 주장의 근거를 비교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
22 (+1) | |
|
|
2024.12.05
|
|
|
【학습】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1) 唐詩〈塞下曲六首(其三)〉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月黑, 單于, 遁逃, 輕騎, 弓刀 등......) 및 감상; (2) 松柏, 栢樹, 紅松 및 관련된 문장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3) 商나라 靑銅器 后母戊鼎과 관련된 내용과 司와 后의 甲骨文 및 Animal Style, 크리티무카 등에 대하여 설명; (4) 周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및 周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5) 揚雄, 《太玄》과 관련된 宇宙와 人間의 動과 變을 《易經》〈繫辭〉「窮則變,變則通,通則久」와 司馬遷의 「究天人之際,通古今之變,成一家之言」 및 《大學》「大學之道,在明明德,在親(新)民,在止於至善」과 朱子의 《大學章句》「本體之明,有未嘗息者」 등을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 (6) 小成, 中成, 大成의 여러 방면에서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 (7) 小學의 3가지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2 (+3) | |
|
|
2024.11.21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塞下曲六首(其二)〉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林暗, 驚風, 引弓, 平明, 白羽, 石棱 등......) 및 감상 ; (2) 夏나라의 여러 특징(State단계, 관직분화(巫,王,卜,占,貞,祝,史,吏,醫,作冊...), 역사단계, 문자, Urban Revolution...)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朝,宗,謹,遇와 朝貢,朝獻,朝覲,朝見 및 巡狩, 述職......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중국 고대 佛敎의 8대 종파 및 顯敎와 密敎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5) 《論語》의 고대 판본(魯論 20편,古本 21편,齊論 22편) ; 7대 注釋書(鄭玄,何晏,皇侃,邢昺,朱子,劉寶楠,程樹德) ; 현재 통용되는 판본의 4가지 臺本(定州 竹簡本, 鄭玄本, 何晏本+邢昺本=13經注疏本(文淵閣本), 일본 유행본) 등에 대하여 설명 ; (6) 고대 음악(8音,5音,12律呂,翕如,純如,皦如,繹如,成)과 孟子의 孔子 평가 集大成(淸聖 伯夷,任聖 伊尹,時聖 孔子)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2 (+3) | |
|
|
2024.11.14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和張僕射塞下曲六首(其一)〉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和詩, 僕射, 塞下曲, 鷲翎. 金僕姑, 蝥弧, 千營 등 ...) 및 감상 ; (2) 管仲의 3褒(有德, 仁者, 中華維持)3貶(3차례 僭越) 평가(孔子, 《論語》〈八佾〉, 〈憲問〉과 《史記》〈管晏列傳〉의 治國과 賢明) 및 기타 6개 방면의 역사상 평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春秋五霸와 戰國七雄의 覇와 雄에 대하여 설명 ; (4) 齊桓公의 尊王攘夷, 九合諸侯, 一匡天下 및 三歸와 고대 관리의 兼職 용어(攝, 兼, 領, 行, 守, 署, 權)와 차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5) 封建(封土建國)과 宗法制(大宗과 小宗)에 대하여 설명 ; (6) 宗의 甲骨文과 《說文解字》, 《詩經》〈大雅〉, 《禮記》〈喪服小記〉, 《廣韻》 등에 나타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7) 皇帝(德兼三皇, 功高五帝)의 다양한 호칭(帝號, 尊號, 廟號, 諡號, 年號)과 차이에 대하여 설명
|
21 (+2) | |
|
|
2024.10.24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答李浣(澣)(三首之二)〉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馬卿, 司馬相如, 卓文君, 扁舟, 荻花, 芦花 등 ...) 감상 ; (2)《詩經》의 風, 雅, 頌, 賦, 比, 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論語》의 대화체 형식과 比喩와 諷刺의 방법을 사용한 寓言에 대하여 설명 ; (4)《論語》〈八佾〉「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의 각 注釋家의 번역과 핵심의미인 中庸之道(中庸思想) 추구에 대하여 설명 ; (5) 春秋戰國의 10家9流와 百家爭鳴(學問,思想), 百花齊放(文化,藝術)에 대하여 설명 ; (6)「求其放心」의 의미와 本原之性과 氣質之性, 孟子 4端, 「存天理, 滅(去, 遏)人慾」의 탄생과정(孟子, 孔穎達, 禮記, 周敦頤, 二程, 朱子)과 理, 體, 事, 用의 개념과 天理와 人慾의 상호 비교 및 新儒學의 다양한 명칭(理學, 道學, 朱子學, 性理學, 程朱學, 義理之學, 宋明理學)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6 (+2) | |
|
◈ 최근등록순
|
|
2024.12.12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南曲〉과 작자 李益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曲, 樂府(민간 詩歌), 〈相和歌〉, 瞿塘, 朝朝 등......) 및 감상 ; (2) 신분에 따른 여성의 호칭(后, 夫人, 孺人, 婦人, 妻, 妾)에 대하여 설명 ; (3) 《論語》〈八佾〉3-24의 분석(版本에 따라 없는 글자(也, 出曰, 乎)와 封人, 見(jian4, xian4)과 喪(1, 4)의 발음에 따른 의미, 木鐸 등에 대하여 설명 ; (4) 一刻如三秋, 一日不見如隔三秋의 三秋(3年, 初秋, 仲秋, 季秋)의 다른 의미 ; (5) 고대의 시간단위(印度의 僧祗律 중심)秒 이상과 秒 이하로 구분하여 상세히 설명 ; (6) 9鼎에서 鼎의 구분(4足2耳, 3足2耳)과 9個說과 1個說의 소개 : (7) 고대 제사의 필수 상차림(香, 酒, 胙, 薦, 新)에 대해서 설명 ; (8) 我者(self)와 他者(the other)의 설명 ; (9) 除服의 36個月說, 27個月說(以日代月), 25個月說에 대하여 설명 ; (10) 《史記》〈管晏列傳〉「天下不多管仲之賢而多鮑叔能知人也」의 번역과 鮑叔牙의 知人 능력에 대하여 설명 ; (11) 多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및 多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4 (+2) | |
|
|
2024.12.05
|
|
|
【학습】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1) 唐詩〈塞下曲六首(其三)〉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月黑, 單于, 遁逃, 輕騎, 弓刀 등......) 및 감상; (2) 松柏, 栢樹, 紅松 및 관련된 문장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3) 商나라 靑銅器 后母戊鼎과 관련된 내용과 司와 后의 甲骨文 및 Animal Style, 크리티무카 등에 대하여 설명; (4) 周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및 周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5) 揚雄, 《太玄》과 관련된 宇宙와 人間의 動과 變을 《易經》〈繫辭〉「窮則變,變則通,通則久」와 司馬遷의 「究天人之際,通古今之變,成一家之言」 및 《大學》「大學之道,在明明德,在親(新)民,在止於至善」과 朱子의 《大學章句》「本體之明,有未嘗息者」 등을 인용하여 상세히 설명; (6) 小成, 中成, 大成의 여러 방면에서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 (7) 小學의 3가지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2 (+3) | |
|
|
2024.11.21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塞下曲六首(其二)〉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林暗, 驚風, 引弓, 平明, 白羽, 石棱 등......) 및 감상 ; (2) 夏나라의 여러 특징(State단계, 관직분화(巫,王,卜,占,貞,祝,史,吏,醫,作冊...), 역사단계, 문자, Urban Revolution...)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朝,宗,謹,遇와 朝貢,朝獻,朝覲,朝見 및 巡狩, 述職......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4) 중국 고대 佛敎의 8대 종파 및 顯敎와 密敎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5) 《論語》의 고대 판본(魯論 20편,古本 21편,齊論 22편) ; 7대 注釋書(鄭玄,何晏,皇侃,邢昺,朱子,劉寶楠,程樹德) ; 현재 통용되는 판본의 4가지 臺本(定州 竹簡本, 鄭玄本, 何晏本+邢昺本=13經注疏本(文淵閣本), 일본 유행본) 등에 대하여 설명 ; (6) 고대 음악(8音,5音,12律呂,翕如,純如,皦如,繹如,成)과 孟子의 孔子 평가 集大成(淸聖 伯夷,任聖 伊尹,時聖 孔子)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2 (+3) | |
|
|
2024.11.14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和張僕射塞下曲六首(其一)〉와 작자 盧綸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和詩, 僕射, 塞下曲, 鷲翎. 金僕姑, 蝥弧, 千營 등 ...) 및 감상 ; (2) 管仲의 3褒(有德, 仁者, 中華維持)3貶(3차례 僭越) 평가(孔子, 《論語》〈八佾〉, 〈憲問〉과 《史記》〈管晏列傳〉의 治國과 賢明) 및 기타 6개 방면의 역사상 평가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春秋五霸와 戰國七雄의 覇와 雄에 대하여 설명 ; (4) 齊桓公의 尊王攘夷, 九合諸侯, 一匡天下 및 三歸와 고대 관리의 兼職 용어(攝, 兼, 領, 行, 守, 署, 權)와 차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5) 封建(封土建國)과 宗法制(大宗과 小宗)에 대하여 설명 ; (6) 宗의 甲骨文과 《說文解字》, 《詩經》〈大雅〉, 《禮記》〈喪服小記〉, 《廣韻》 등에 나타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7) 皇帝(德兼三皇, 功高五帝)의 다양한 호칭(帝號, 尊號, 廟號, 諡號, 年號)과 차이에 대하여 설명
|
21 (+2) | |
|
|
2024.11.0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秋夜寄邱員外〉와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員外, 屬, 散步와 散策의 차이, 溜達, 涼天 등 ...) 및 감상 ; (2) 歸의 甲骨文과 金文,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巡狩와 述職 및 不朝의 3가지 경우(貶爵, 削地, 移六師)에 대하여 설명 ; (4) 五岳과 華山의 華에 대한 다양한 발음(1, 2, 4성)과 의미변화에 대하여 설명 ; (5) 犧(毛色純正)牲(整物)과 大牢와 小牢 및 天子와 諸侯의 제사대상 등에 대하여 설명 ; (6) 禪讓과 放伐 및 Military Democracy 설명 ; (7) 歸一과 《荀子》〈宥坐〉「萬折必東」 ; 《弟子規》「事必歸正」 등에 대하여 설명 ; (8) 《詩經》〈關雎〉에 대하여 注釋, 國譯 등 상세히 설명 ; (9) 《舊唐書》〈宣宗紀〉「韜光養晦, 厚積薄發」에서 시작하여 《論語》〈述而〉「學而不厭, 誨人不倦」을 거쳐 《禮記》〈學記〉「學, 然後知不足, 教, 然後知困, 知不足然後能自反, 知困然後能自强, 故曰敎學相長」에 이르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7 (+2) | |
|
|
2024.10.31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答李浣(澣)(三首之三)〉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觀(讀),易罷(了), 楚俗, 辭客, 往還(往來, 來往) 등 ...) 감상 ; (2) 姑의 甲骨文과 金文,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 簪禮(及笄禮, 上頭禮, 笄禮)에 대하여 설명 ; (4) 姑, 舅(翁)으로 일컫는 다양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 ; (5) 三姑六婆의 여성 전문 職業群과 王父, 姑且(暫借, 姑置勿論, 苟且), 細人 등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6) 堯, 舜, 禹의 비교와 夏后氏12부락 및 禪讓과 世襲의 분기점 설명 ; (7) 尸子(尸佼)의 사상과 宇宙觀 및 《尸子》에 대하여 설명 ; (8) 漢代 儒學의 근원과 변천과정(三晉之學-稷下學-法家(法,術,勢)-荀子-韓非子-董仲舒-儒學(State Confucianism)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9) 《論語》〈八佾〉「哀公問社于宰我,宰我對曰..夏后氏以松,殷人以柏,周人以栗,曰..使民戰栗。子聞之,曰..成事不說,遂事不諫,旣往不咎」의 설명과 《論語》〈公冶長〉「宰予晝寢.....」에서 晝寢 주장과 畵寢 주장의 근거를 비교하여 개략적으로 설명하였습니다.
|
22 (+1) | |
|
|
2024.10.24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答李浣(澣)(三首之二)〉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馬卿, 司馬相如, 卓文君, 扁舟, 荻花, 芦花 등 ...) 감상 ; (2)《詩經》의 風, 雅, 頌, 賦, 比, 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3)《論語》의 대화체 형식과 比喩와 諷刺의 방법을 사용한 寓言에 대하여 설명 ; (4)《論語》〈八佾〉「關雎, 樂而不淫, 哀而不傷」의 각 注釋家의 번역과 핵심의미인 中庸之道(中庸思想) 추구에 대하여 설명 ; (5) 春秋戰國의 10家9流와 百家爭鳴(學問,思想), 百花齊放(文化,藝術)에 대하여 설명 ; (6)「求其放心」의 의미와 本原之性과 氣質之性, 孟子 4端, 「存天理, 滅(去, 遏)人慾」의 탄생과정(孟子, 孔穎達, 禮記, 周敦頤, 二程, 朱子)과 理, 體, 事, 用의 개념과 天理와 人慾의 상호 비교 및 新儒學의 다양한 명칭(理學, 道學, 朱子學, 性理學, 程朱學, 義理之學, 宋明理學)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6 (+2) | |
|
|
2024.10.1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答李浣(澣)(三首之一)〉과 작자 韋應物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山水田園詩, 韋柳(柳宗元), 浣, 澣, 洗, 滌, 孤客, 春暮, 緘情, 舊游, 海隅(海角, 天涯海角-王勃「海內存知己, 天涯若比鄰」), 人使 등 ...) 감상 ; (2) 薄의 다양한 의미에 대하여 설명 ; (3)《左傳》魯僖公30年「燭之武退秦師」 原文 번역과 해설 설명 ; (4)「貨殖」,「三輔」,「焉薄」,「中惡」,「也已」,「毋乃」,「糟胾灰湯(조자회탕)」 단어의 바른 설명 ; (5)儒家의 4聖, 5聖, 6聖 및 柳下惠(坐懷不亂)과 淸聖(伯夷), 和聖(柳下惠), 任聖(伊尹), 時聖(孔子, 孔廟의 聖時門)에 대하여 설명 ; (6)《莊子》〈胠篋〉「魯酒薄而邯鄲圍」를 중심으로 戰國時代 상황과 邯鄲之夢(黃粱之夢) 및 중국 10大(8大) 銘酒, 孔府家酒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7)《史記》 3家注(《史記集解》, 《史記索隱》, 《史記正義》)를 비교 설명하고 漢文 古典의 기본적인 번역형식(原文, 音譯, 注釋, 國譯, 解說)을 갖출 것에 대하여 설명 ; (8)《孟子》〈離婁上〉「人之患, 在好爲人師」와 반대 의미 「人之福, 在於以人爲師」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35 (+3) | |
|
|
2024.10.12
|
|
|
【문화】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三閭廟〉와 작자 戴叔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三閭廟, 屈原廟, 三閭大夫,屈子,煙起, 煙霧, 蕭蕭, 楓樹 등 ...) 및 拙詩 〈登泰山二首-五言律詩〉 감상 ; (2) 漢 高祖 劉邦이 설치한 秦巫, 晉巫, 梁巫, 荊巫 등과 역할에 대하여 설명 ; (3) 信賞必罰과 賞慶刑威에 대하여 설명 ; (4) 戰國時代 4公子(信陵君, 平原君, 孟嘗君, 春信君(黃歇-사람이름 알)와 관련 故事成語를 설명 ; (5) 林語堂의 사랑에 관한 몇 가지(결혼증, 변하는 것, 주고받는 것)에 대하여 설명 ; (6) 조선 초기 正音은 중국 福建 발음과 관련 문제 ; (7) 《論語》〈八佾〉「定公問..君使臣, 臣事君, 如之何? 孔子對曰..君使臣以禮, 臣事君以忠」을 儒家의 君, 父, 師, 人에 대한 雙方 倫理로 본 忠과 恕를 풀이하고, 《論語》〈顏淵〉「政者, 正也。子帥以正, 孰敢不正」을 定公과 季氏의 당시 상황(奪位-歸孔-問政)을 고려하여 새롭게 해석 ; (8) 司馬遷의 侮辱의 10단계 설명 ; (9) 薄의 金文과 《說文解字》에서의 文字學的 의미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31 (+1) | |
|
|
2024.09.19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拜新月〉과 작자 李端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 代宗, 大曆 10大才子之一, 拜月풍속, 新月, 朔月, 立卽,立刻, 馬上, 細語, 月下老人, 《禮記》「春朝日,秋夕月」 秋夕, 仲秋節 등 ...) ; (2) 春秋時代 최고의 美女, 蕩婦(宣姜, 文姜) 및 당시의 사회상에 대하여 설명 ; (3) 夏商周 3代 男性과 女性의 姓氏, 姓名 표기 방법과 姓에서 氏로의 변화 및 姓氏(姓, 氏, 姓氏)의 통칭 과정에 대하여 설명 ; (4) 周公과 召公의 여러 가지 문제 비교(출생, 통치지역, 통치방식, 신분, 통치기반, 보좌시기, 후대평가, 《詩經》의 〈周南〉과 〈召南〉 관련 등) ; (5) 「存天理, 滅(遏)人慾」에 대하여 설명 ; (6) 시대구분의 주요 9가지 방법(역사발전5단계,세계사적,아시아적,도구사용,중국사 인물중심,문화상,사회학적,통치관념상,혼인형태별,혁명별)을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14 (+1) | |
|
|
2024.09.12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江行無題〉와 작자 錢起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唐 代宗, 10大才者之一, 江行, 匡廬, 匡山, 廬山, 只疑, 猶有, 六朝, 錢翊의 〈江行無題〉등 ...) ; (2) 君의 다양한 의미(통치자, 주재자, 토지 소유자, 주인) 등 예문과 함께 설명 ; (3) 辛+0+辛 형태의 다양한 글자(辨, 辦, 辬...) 등에 대하여 설명 ; (4) 皇天, 后土, 眷命, 奄有, 治辨, 君臨, 下第, 逆旅 등 단어 의미 설명 ; (5) 范蠡의 3가지 수수께끼( 范蠡는 田成子를 도운 鴟夷子皮와 동일인 인가? ; 范蠡는 후세에 商業의 神(陶朱公)으로 일컬어졌나? ; 范蠡는 최고의 미녀 西施의 남편인가?) 및 涸澤之蛇, 竊鉤者誅, 竊國者侯, 長頸鳥喙, 功成身退 등 故事成語와 관련된 내용 설명 ; (6) 역사 발전 5단계설(原始-奴隸-封建-資本-(社會)-共産)과 共, 公, 私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7 | |
|
|
2024.09.05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採蓮曲〉과 작자 劉方平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匈奴族, 荆歌, 荆, 荆楚, 楚腰, 乘潮 등...) ; (2) 翔의 상세한 설명(鳥回旋而飛 ; 翼不搖曰翔 ; 回翔, 旋繞, 盤旋, 徘徊, 高飛) 설명 ; (2)《論語》〈八佾〉「子曰..事君盡禮, 人以爲諂也」에서 盡禮(鞠躬盡瘁, 恭敬謹身)와 竭忠(竭盡心力) 및 諂의 다양한 표현(阿諂, 奉承, 獻媚, 討好, 拍馬屁) 등에 대하여 설명 ; (3) 「攫金者不見人, 逐鹿者不見山」의 최초 출처를 설명 ; (4) 君의 甲骨文과 원래 의미 및 《白虎通義》, 《說文解字》에 나타난 의미를 상세히 설명 ; (5) 중국 고대의 발음표기 방법인 反, 切, 反切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6 (+2) | |
|
|
2024.07.25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行軍九日思長安古園〉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岑參, 行軍, 九日, 古園, 强(勉强), 菊花酒, 重陽節 등...) ; (2)奄奄一息, 須搖(須臾), 公叔痤와 公孫鞅(商鞅-變法) 등 설명 ; (2) 《論語》와 孔子의 핵심 개념(六經皆史, 교육자, 孔廟의 大成殿, 萬世師表, 大成至聖文宣王 신주, 孔門10哲-12哲(有若+朱子), 子路와 24孝(爲親負米), 제자등급(入門, 升堂, 入室, 關門), 子路의 結纓과 曾子의 易簀 등에 대하여 설명 ; (3) 《論語》〈鄕黨〉「色斯擧矣, 翔而後集。曰..山梁雌雉, 時哉時哉! 子路共之, 三嗅而作」의 상세한 주석과 여러 先學의 번역과 後外의 번역 비교 및 《論語》〈陽貨〉「孔子時其亡也, 而往拜之」에서 時의 의미(伺, 等, 候, 等候) ; (4 )《禮記》(戴聖(後漢), 《小戴禮記》42編〈大學〉)→ 《大學》→ 《大學章句》→《大學或問》→《大學備旨》→《大學補註》 즉 《大學》을 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위의 5권을 모두 읽어야 함 등을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5 (+3) | |
|
|
2024.07.20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5言絶句二首-其二〉-杜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碧과 白, 靑과 赤의 대비 묘사 등...) ; (2) 《論語》〈八佾〉「子貢欲去告朔之餼羊。子曰..賜也!爾愛其羊,我愛其禮」의 상세한 주석과 번역 및 위 문장과 관련된 告朔의 발음과 의례, 祝文 형식(維(恭維). 歲次, 木星 기준, 朔, 越, 敢昭告于의 昭告의 올바른 발음...)과 제사용 희생물의 종류(天子用牛, 諸侯用羊), 구분(熟曰饗, 腥曰餼, 生曰牽), 기타 冬至使, 大統曆, 七政算曆 등 상세히 설명 ; (3) 「國家興亡, 匹夫有責」과 관련된 黃石公, 《素書》〈遵義〉와 顧炎武, 《日知錄》〈正始〉의 관련 문장 번역 및 焉耳乎와 焉耳矣의 문법적 분석과 문헌에 따른 다양한 번역을 설명 ; (4) 商湯桑林求雨-6事自責(政不節歟? 民失職歟? 宮室崇歟? 女謁盛歟? 苞苴行歟? 讒夫昌歟?)에 대하여 설명 ; (5) 고전에 나오는 王(平天下, 經略)과 君(治國, 正封)의 차이와 封建制와 宗法制 및 卿(齊家, 置側室), 大夫(齊家, 有貳宗), 士(修身, 有隷子弟), 民(有分親)의 구별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6) 奄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文子學的 의미와 다양한 용례를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4 (+2) | |
|
|
2024.07.04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5言絶句二首-其一〉-杜甫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詩仙과 詩聖, 遲日, 泥融 등...) ; (2) 《漢書》〈司馬遷傳〉「報任安書」의 전반부(太史公牛馬走司馬遷,再拜言~~適足以發笑而自點耳)와 후반부(蓋文王拘而演周易~~大底聖賢發憤之所爲作也)의 상세한 주석과 번역 등 설명 ; (3) 《論語》〈子張〉「博學而篤志, 切問而近思, 仁在其中矣」에 대하여 상세한 고증과 새로운 번역(수식어+서술어 형식 ; 志의 假借字 識, 知, 記와 발음 ; 《說文解字》「識, 知也」 ; 《禮記》〈檀弓下〉「小子識之, 苛政猛於虎也」 ; 博聞强識과 학습의 4단계(博學, 篤志, 切問, 近思)와 5단계(博學, 審問, 愼思, 明辨, 篤行), 白鹿洞書院의 學規, 《近思錄》의 近思 의미...등)에 대하여 상세 설명 ; (4) 三才(天=經-常-天經 ; 地=義-育-地義 ; 人=動-變-百行)의 의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3 (+1) | |
|
|
2024.06.27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送靈澈上人〉-劉長卿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靈澈과 上人(釋, 衆, 僧侶, 和尙 등...), 夕陽의 다양한 표현(斜陽, 殘陽, 殘影, 落日, 長虹, 夕照, 夕暉 등 ...) ; (2)《論語》〈八佾〉「子曰:射不主皮,爲力不同科,古之道也」의 올바른 번역과 중국 고대 射禮(禮謝와 軍射), 신분에 따른 종류, 과녁의 종류(皮, 侯), 과녁 적중(中, 的, 鵠, 正, 正鵠, 命中 등) 용어, 과녁의 색(황, 적, 청, 흑, 백) 등 설명 ; (3) 孔德의 의미를 한문표기, 儒家(爲仁之五種品德)와 道家(空과 大)에서의 의미를 구분, 《道德經》의 王弼 注와 河上公 注에 대하여 상세 설명 ; (4) 중국 고대 4대 啓蒙書(《史籒篇》, 《蒼頡篇》, 《急就篇》, 《千字文》)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5) 齊나라의 변천(呂齊, 田齊)과 晉나라의 6卿과 3家分晉(BC453) 및 張儀의 連橫策과 蘇秦의 合縱策 등에 대하여 설명 ; (6) 殘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7) 司馬遷의 〈報任安書〉 첫째 단락의 상세한 注釋과 번역 설명 ; (8) 《史記》 명칭의 변화와 太史公에 관한 4가지 학설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 (+1) | |
|
|
2024.06.20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 唐詩〈逢雪宿芙蓉山主人〉-劉長卿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芙蓉과 木芙蓉, 白屋, 夜歸人 등...) ; (2) 夷의 다양한 의미(철학개념, 평탄, 오만, 유쾌...) 등 설명 ; (3) 중국 고대 一門三杰 중에서 班彪 후손(班固, 班超, 班昭)에 대하여 상세 설명 ; (4) 중국 고대 4대 才女(卓文君, 蔡琰(文姬), 班昭, 李淸照 or 上官婉兒)와 최초 大家 존칭 여성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 ; (5) 《孟子》〈盡心下〉37. 주석, 국역, 해설 및 「夷考其行,而不掩焉者也」의 문법적 상세 설명 ; (6) 《漢書》〈司馬遷傳〉「報任安書」 첫 단락의 注, 譯, 解 및 拜禮(1拜, 再拜, 3拜, 4拜)등 상세 설명 ; (7) 君(忠과 德)師(敬과 禮)父(孝와 愛)의 쌍방 관계 및 儒家(學, 教), 新儒學의 남녀, 신분상 차별적 관념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 (+2) | |
|
|
2024.06.13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聽彈琴〉-劉長卿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松風寒, 〈風入松〉악곡, 嵇康과 竹林七賢 등...) ; (2)夷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의 문자학적 의미 설명 ; (3)중국 고대 東方 종족의 명칭(人方, 夷方, 九黎, 九夷, 東夷)와 《論語》〈子罕〉「子欲居九夷」의 九夷 의미, 東夷族에 대한 상세 설명 및 華族의 주위종족 멸시 칭호(夷,戎,蠻,狄,蠻夷,戎狄...)에 대하여 설명 ; (4)箕子朝鮮과 箕子와 관련된 한국의 성씨(?)(箕,奇,韓,徐,弓氏) 설명 ; (5)傅斯年의 「夷夏東西說」에 대하여 설명 ; (6)《論語》〈微子〉「微子去之,箕子爲之奴,比干諫而死,殷有三仁焉」을 통하여 商末三賢에 대하여 賢人 or 逆賊 분석 설명 ; (7)大中之道-中道-中庸-允執厥中-大中至正 등에 대하여 설명 ; (8)禾와 稻, 田稻와 水稻, Japonica, Indica, Javanica와 벼의 最古 년대(B.C.15000년), 유적지(仙人洞, 河姆渡, 소로리), 이동노선 등을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 (+2) | |
|
|
2024.05.30
|
|
|
【학습】
司馬遷《史記》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長干行-崔顥〉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樂府, 行, 李白의 長干行, 長干, 橫塘 등...) ; (2)《詩經》의 노래 형식과 표현방법 六義(風, 雅, 頌, 賦, 比, 興) 설명 ; (3)《論語》〈八佾〉「子入太廟, 每事問......曰..是禮也」에서 3가지 경우, A.知之而問 ; B.不知而問 ; C.問而爲敬의 상황 설명과 太廟-天子7廟, 諸侯5廟, 卿大夫3廟, 士1廟, 庶人祭寢과 제사 음식 종류(薦新, 薦羞, 薦胙) 및 昭穆制의 내용에 대하여 상세 설명 ; (4)夷와 仁의 甲骨文, 金文, 篆書, 《說文解字》의 문자학적 의미와 글자 變形에 대하여 설명 ; (5)春秋戰國의 10家9流와 董仲舒의 「獨尊儒術, 罷黜百家」 주장 및 統稱과 通稱의 차이에 대하여 설명 ; (6)《論語》의 명칭 確定者, 명칭 풀이(6經皆史學派), 版本, 주요 編纂者, 현재 통용본 確定者, 최초 注釋者, 古注와 新注의 차이(예)異端 ; 古注-諸子百家書 ; 新注-楊, 墨, 佛, 老之書) 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4 (+2) | |
|
|
2024.05.16
|
|
|
【학습】
司馬遷《史記》〈本紀〉 原文 강독, 부수적으로 (1)唐詩〈獨坐敬亭山-李白〉에 대해서 상세히 분석 설명(敬亭山 위치, 2구는 陶淵明, 〈咏貧士〉「孤雲獨無依」 유사한 구절, 只有, 唯有, 僅有 등...) ; (2)군주 諡號(美諡, 平諡, 惡諡)의 厲公 의미(暴虐不仁) 설명 ; (3)《論語》〈八佾〉「子曰..周監于二代,郁郁乎文哉,吾從周」에서 監, 郁郁, 文의 의미와 중국학계의 최신 번역에 대하여 상세 설명 ; (4)《般若心經》 呪文의 번역과정(Sanskrit語→唐代 漢文, 현재 중국어 발음, 의미 등)과 5대 佛經翻譯家(安世高(安息國) ; 支樓迦讖(月支國) ; 竺法護(月支國) ; 鳩摩羅什(印度) ; 玄奘(唐) 등에 대하여 설명 ; (5)淮의 甲骨文과 《說文解字》에서의 문자학적 의미 및 隹, 隻, 集, 雥 설명 ; (6)《說文解字》의 著者, 成書, 版本, 校勘, 內容, 5대 注解家 등과 反切(反, 切, 反切, 反語, 飜)에 대하여(用法, 사용자(服虔), 出現-唐本, 北宋本 등) 상세히 설명 ; (7)고대 4瀆과 河와 江의 차이 및 新石器時代 巫(Chiefdom)와 靑銅器時代(State) 官職 分化(王, 卜, 貞, 祝, 巫, 醫, 史, 作冊, 官, 吏...)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습니다.
|
2 (+1) | |
|
[광고] |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
▣ 다큐먼트 작업
▶ 지식지도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