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인제군 강원도 인제군 정보
강원도 인제군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인제군의 생활문화자원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about 강원도 인제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인제군의 생활문화자원
◈ 전통생활민속 - 뗏목아리랑, 숯둔골 숯굽기놀이, 갈이남박 만들기, 점봉산과 주전 / ◈ 구전설화 - 오세암, 내설악의 대승폭포, 인제뗏목 아리랑 / ◈ 지역출신 예술인 - 한수산(1946∼ )
목   차
[숨기기]
 

1. 생활문화자원

 
 

1.1. 전통생활민속

 
◈ 뗏목아리랑
뗏목아리랑은 기본 음수율이 3·4조, 4·4조의 1연 4행으로 가락 거의가 강원도 아리랑조이다. 인제에는 옛부터 재질이 좋은 황장목(黃腸木) 생산지로, 뗏목을 엮어 한양까지 운반하는 과정에서 물에 대한 두려움과 고되고 지루한 시름을 잊기 위해 한풀이로 흥얼거리던 노동요(勞動謠)다. 이 아리랑을 뗏목놀이화하여 강원도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여 종합최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숯둔골 숯굽기놀이
남면 숯둔골[화탄]은 3백여년 전부터 숯을 구워 생계를 유지해 온 곳이며 이로 인하여 숯둔골이라는 지명도 생기게 되었다. 숯을 굽는 과정을 재현한 놀이가 ‘숯굽기놀이’로 전해오고 있으며 28회 전국민속예술경연대회에서 우수상을 수상하였다.
 
◈ 갈이남박 만들기
기린면 조경동에서는 나무를 이용하여 목기류(木器類)를 만들었는데 그 중에서도 이남박을 만드는 것이 으뜸이었다. ‘이남박 만들기’는 강원도 민속예술경연대회에 출연하여 우수상을 받았다.
 
이외에도 인제는 ‘심마니’, ‘군량동 채독만들기’, ‘다릿골 보습굽기’, ‘바지게 선질꾼’ 등 농경(農耕)과 산림을 접목한 문화가 발달하였으나 지금은 단순히 놀이로서만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을 뿐이다.
 
◈ 점봉산과 주전
조선조에 어떤 사람이 점봉산 깊은 골짜기에서 사주전을 만들었는데 망치질 소리가 ‘덤봉산 돈 닷돈 덤봉산 돈 닷돈’하고 울려 퍼져 관가에 잡혀가 처형되었다고 한다. 그 뒤 꽹과리를 처음 배우는 사람은 ‘덤봉산 돈 닷돈’이라는 박자에 맞춰진다고 한다.
 
 
 

1.2. 구전설화

 
◈ 오세암
한 스님이 부모를 잃은 다섯 살되는 어린 조카를 데리고 설악산에 있는 절에 들어온 후 겨울나기 식량을 구하러 절을 떠난 뒤 엄청난 폭설이 쏟아져 오고가도 못하게 되었다. 하는 수 없이 그해 겨울을 지나 이듬해 3월에 절에 돌아와 보니 어린 조카가 나와 반기기에 연유를 물으니 관음보살이 젖을 먹여주었다고 대답하였다고 한다. 스님은 어린 조카가 불법을 오득통달(梧得通達)하였다하여 암자 이름을 오세암이라 부르게 되었다고 전한다.
 
◈ 내설악의 대승폭포
옛날 대승이라고 불리워지는 총각이 북면 한계리에 살았다 한다. 대승은 석이를 따서 그것으로 생업을 삼았는데 하루는 폭포가 있는 돌기둥 절벽에 동아줄을 매고 내려가서 석이를 땄다. 잔뜩 석이를 따놓은 참인데 절벽위에서 “대승아! 대승아”하고 부르는 소리가 있었다. 대승은 돌아가신 어머니의 외침에 소스라쳐 동아줄을 타고 올라갔으나 어머니는 간곳이 없고 동아줄에는 신짝만한 지네가 매달려 동아줄을 뜯고 있었다. 동아줄은 막 지네에 뜯겨 끊어지려는 참이었다. 대승은 동아줄을 급히 타고 오르느라 온몸이 땀으로 흠뻑 젖었으나 무사히 살아날 수 있었다. 후세 사람들은 죽어서도 아들의 위험을 가르쳐준 대승의 어머니의 외침이 메아리 친다하여 이 폭포를 대승폭포라고 부르기 시작했다고 한다.
 
◈ 인제뗏목 아리랑
①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가네
우수나 경칩에 물풀리니
합강정 뗏목이 떠내려가네.
② 아리아리 쓰리쓰리 아라리요
아리아리 고개로 넘어가네
창랑에 뗏목을 띄어 놓으니
아리랑 타령이 처량도 하네.
 
 
 

1.3. 주민의 종교생활

 
◈ 김부대왕각동제
인제군 남면 김부리 마을 사람들은 옛부터 김부대왕각동제를 지내왔다. 대왕각제사는 일년에 음력 5월 5일(단오)과 9월 9일(중구)에 두 번에 걸쳐 마을안에 있는 김부대왕각에서 지내왔다. 김부대왕각은 신라 마지막 경순왕의 아들인 마의태자의 위패를 모신 각으로 마을 사람들은 이를 수호신으로 삼아 옛부터 해마다 제사를 지내왔는데 요즈음은 종친회에서 제사를 지내고 있다.
 
◈ 산신제
지금도 전통적인 마을 신앙인 산신제가 마을마다 전해오고 있으며 조선조에는 인제읍 합강리에 중앙단이 있어 가뭄이나 질병이 심할 때는 도내 관원들이 모여 제를 올렸다고 하나 지금은 흔적조차 찾을 수 없다.
 
 
 

1.4. 주민의 생활권역

 
◈ 시장상권
인제군에는 6개 읍면에 각각 나름대로 장이 서고 있다. 전체규모는 도시에 비해 아주 작게 열리고 있지만 아주 시골냄새가 풍기는 아담한면도 있다. 주로 평상시 상가를 가진 사람과 또한 시골마을에서 농산물과 산채를 가지고 나와서 파는 사람, 그리고는 주로 외지상인이 많이 몰리는 편 속에 거래되는 5일장이다. 최근들어 인제읍장과 원통장 그리고 기린장에는 소자본의 잡화상이 늘고 있다. 이들은 자가용 트럭을 이용하여 각지를 순회하며 노점을 하는 장사꾼들이다. 한편, 인제에는 군부대가 많이 주둔하고 있어 군인가족들을 대상으로 상권이 많이 요구되고 있다. 실지로 인제읍장은 소재지이기도 하지만 마을형성과 도로망의 여건으로 원통장보다 규모도 적고 거래도 활발하지 못하다.
 
 
 

1.5. 지역의 별미음식

 
◈ 남북면옥
일명 남북막국수집이라고도 하며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옛날 막국수의 진미를 알고 있는 옛어른들은 이곳을 잊지않고 찾고 있다. 이 업소의 막국수는 50년이 넘는 전통을 자랑할 수 있는 우리 고유의 특이한 막국수 맛을 내어 항상 찾는 사람이 많다. (소재지 : 인제군 인제읍 상동 5리)
 
◈ 용대리 황태구이 백반
인제군에서 동해안으로 넘어가자면 북면 한계리(민예단지) 삼거리에서 좌측으로 미시령과 진부령쪽으로 가는 길을 따라 약 2㎞를 가면 용대 1리가 나오며 다음 용대 2리(백담사 입구) 그리고 용대 3리가 나온다. 주로 백담사 입구에서부터 용대 3리의 미시령과 진부령이 갈라지는 마을에 식당이 많은데 어느 식당에서나 황태구이나 찜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맛을 내는 솜씨로 별미를 돋구고 있다.
 
 
 

1.6. 지역문화예술단체

 
◈ 인제문화원
주소 :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 346-2 / ☎ (033)461-6678/ 회원수 : 150명
 
◈ 문화예술동아리 모임회
· 내린문학동인회 ☎ (033)461-0550(사무실)
· 내설악사진동우회 ☎ (033)461-2298(회장댁)
· 인제미술인회 ☎ (033)463-9975(회장댁)
· 인제서예인회 ☎ (033)462-4330(회장댁)
· 풍물올림패 ☎ (033)462-3334(회장댁)
 
 
 

1.7. 지역언론기관

 
◈ 인제 2000
주간발행 지역신문사로 이 고장의 자세한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인제군 인제읍 상동3리
 
 
 

1.8. 지역문화예술 시상제도

 
매년 합강문화제 행사에 즈음하여 지역 사회발전에 헌신 노력하고 있는 숨은 공로자를 발굴하여 군민대상으로 시상하고 있다.(부문 : 지역개발부문/충효부문/문화예술부문/향토봉사부문/체육교육부문, 주관 : 인제군)
 
 
 

1.9. 지역출신 예술인

 
◈ 한수산(1946∼ )
상남 출신. 소설가로 1972년 동아일보 신춘문예에 당선. 오늘의 작가상, 현대문학상 등을 수상하였으며 『G사월의 끝』, 『부초』, 『해빙기의 아침』, 『타인의 얼굴』 등이 있다.
강원도 인제군 정보
• 인제군의 예술문화자원
• 인제군의 생활문화자원
• 인제군의 역사문화자원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