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구례군 전라남도 구례군 정보
전라남도 구례군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구례군의 역사문화자원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about 전라남도 구례군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구례군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민족분단, 비극의 현장 (여순 10·19 사건과 한국전쟁) / ◈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석주관 칠의사(石柱關 七義士), 매천 황현(梅泉 黃玹), 국창 송만갑(國唱 宋萬甲, 1865∼1939), 3·1운동의 선구자 박경현(朴敬鉉), 한말 의병장 고광순(高光洵)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민족분단, 비극의 현장
해방 뒤 구례는 또 한번 피로 물들인 역사를 맞이한다. 여순 10·19 사건과 한국전쟁을 겪으면서 이곳 지리산은 격렬한 동족상잔의 현장으로 바뀐다. 1948년 10월 여순 10·19사건이 발생했을 때 반란군의 최종 정착지는 지리산이었다. 순천, 광양을 거쳐 순식간에 지리산에 당도한 2천여 명의 반란군은 이후 10년 가까이 빨치산이라는 이름으로 지리산 곳곳을 누빈다. 울창한 숲과 깎아지른 듯한 절벽은 은신처와 요새를 제공했다. 국군의 끊임없는 소탕작전과 빨치산의 반격은 이 나라의 꽃다운 젊은이들을 희생시켰으며, 그 흔적은 연곡사와 피아골 곳곳에 남아있다. 그러나 가장 힘들었던 것은 바로 눈으로 직접 지켜보던 지리산 자락에 사는 주민들이었다. 더욱이 빨치산 토벌작전의 일환으로 진행된 거점분쇄작전은 토착민들의 고향을 앗아가 버리는 비극으로 이어졌다.
 
이렇듯 민족의 영산 지리산의 가슴 한 구석에는 민족 분단의 비극이 서려 있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 석주관 칠의사(石柱關 七義士)
칠의사란 정유재란 때 석주관에서 왜구와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7명의 순국열사를 지칭한다.
 
이곳 석주관(石柱關)은 영남지방에서 호남지방으로 들어오는 관문이며 지리산 줄기와 섬진강 사이의 좁은 협곡으로 1597년 정유재란 때 왜병이 침입하여 당시 현감 이원춘(李元春)이 전세가 불리하자 남원으로 후퇴하다가 거기서 전사했다. 그 때 이 고장 출신의 의병 왕득인(王得仁)이 분전하다가 장렬히 전사하였고 그의 아들 왕의성(王義成)과 이정익(李廷翼), 한호성(韓好誠), 양응록(梁應祿), 고정철(高貞喆), 오종(吳琮) 등과 화엄사 승병이 합세하여 왜병과 피비린내 나게 싸우다가 왕의성만 남고 모두 전사하여 순국의 공을 세운 유서 깊은 곳으로 이현감과 일곱 의사들의 초혼총이 모셔진 곳이다. 현재 칠의사 순절사적비(七義士殉節史蹟碑)와 이원춘 현감의 위패석(位牌石)과 일곱의사의 위패석이 단위에 모셔있다. 또 전망순국(戰亡殉國) 무명용사의 위패비도 세워져 있다.
 
◈ 매천 황현(梅泉 黃玹)
조선말기의 대학자요, 시인이자 대 선각자인 황현은 철종 6년(1855)에 광양군 봉강면 석사리에서 태어나 자란 후 32세(고종23년 1886년) 때 구례군 간전면 만수동으로 이주했다. 본관은 장수(長水)이며 자는 운경(雲卿)으로 황희(黃喜) 정승의 후손이다.
 
그는 31세(고종 22년) 되던 해 생원시에 장원으로 합격하였으나 시국이 혼란하고 관리들이 부패하여 관직에 나가기를 단념하고 향리에서 후학의 훈도에 힘쓰다가 1905년 을사조약이 체결되자 중국으로 망명하려다가 뜻을 이루지 못하고 1910년 한일합방이 되자 망국의 비운을 통탄한 나머지 유시(遺詩) 4수를 남기고 음독 순절하였다. 현재 매천사우에 있는 유물로는 생전에 쓰시던 많은 유품과 고서 등이 있으며 매천야록은 국사편찬위원회에서 『한국사료총서 제1집』으로 간행되었다. 정부에서는 1962년 3월 1일 대한민국건국 공로훈장을 추증했다.
 
◈ 국창 송만갑(國唱 宋萬甲, 1865∼1939)
송만갑은 순조 때 가왕 송흥록(宋興祿)의 증손이며, 철종 때 명창 송우용(宋又用)의 아들로 판소리 명문(구례읍 백련리)에서 태어났다. 송만갑은 동편제 명창들과 집안으로부터 배척 당하면서도 동편제에 서편제 소리를 가미하여 판소리의 대중화를 이루었다.
 
그의 업적 가운데 괄목할만한 것은 창극운동이다. 1902년 원각사가 완성되면서 본격적인 판소리의 창극화 운동이 시작됐다. 소리로만 전해오던 춘향가와 심청가를 극으로 꾸민 것도 그의 업적이다. 원각사가 폐지되자 송만갑은 협률사라는 모임을 만들어 전국을 돌며 창극과 판소리로 민족혼을 일깨우고 대중들에게 국악을 보급했다.
 
또 하나 빼놓을 수 없는 그의 업적은 조선성악연구회의 설립이다. 이 단체는 우리 나라 최초의 국악 연구 단체이자 국악인 친목단체였다. 초창기 진용은 송만갑·김창룡·정정렬 등이었다. 조선성악연구회의 사업목적은 ‘국악인 상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자신들의 기예를 향상 시키는데 노력하여 후진을 양성하여 창극을 정립한다’는 것이었다.
 
국창 송만갑 선생의 유덕과 판소리에 미친 공로를 기리기 위해 구례군민은 지난 1981년 구례군 마산면 마산리 화엄사 길목에 ‘국창 송만갑 선생 추모비’를 세우고 매년 10월에 추모제와 전국판소리 경연대회를 열고 있다.
 
◈ 3·1운동의 선구자 박경현(朴敬鉉)
구례군 광의면 지천리 지상마을에서 태어났으며 자는 여직(汝直)이다.
 
1919년 서울에서 3·1운동이 일어나고 구례에서도 만세운동을 위한 분위기가 확산되자 나이든 몸을 이끌고 비밀모임을 이끌었다. 3월 1일 구례읍 장날을 이용, 만세운동을 주도한 박경현은 이후 9개월 동안 옥살이를 하며 모진 고생을 했다. 일본 헌병의 모진 고문은 박경현을 반신불수로 만들었다. 그는 감옥에서 풀려난 이후 매일 동쪽을 쳐다보며 원수의 왜놈과 같이 살 수 없다고 외치는 등 절개를 굽히지 않고 살다 숨졌다.
 
◈ 한말 의병장 고광순(高光洵)
본관은 장흥, 초명은 광욱(光旭) 또는 광순(光洵), 자는 서백(瑞伯), 호는 녹천(鹿川), 전라남도 담양 창평출신. 을미사변 때 각 읍에 격문을 보내고 기우만(奇宇萬)과 의병을 모집하여 의병대장에 추대되었고, 명성황후의 원수를 갚고자 북진하던 중 선유사(宣諭使)의 권고로 의병을 해산하였다.
 
1906년 4월 최익현의 순창의병에 가담코자 고제량(高濟亮)과 순창으로 갔으나 이미 패전한 뒤였고, 1907년 1월 저산(猪山) 제각의 의거, 1907년 5월에는 능주 습격, 1907년 8월에는 동복을 습격하였다. 곧이어 연곡사로 가서 화개동과 문수암 일대에 대원들을 머무르게 한 뒤, 군대훈련과 군량을 보충한 후 지리산을 거점으로 많은 전과를 올렸으나, 적의 야습작전으로 9월에 부장 고제량을 비롯한 많은 장졸들과 함께 전사하였으며, 1962년 건국훈장 국민장이 추서되었다.
 
현재 구례 연곡사에 그의 충절을 기리기 위한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
 
 
• 황현(黃玹) 본관:장수(長水), 아호:매천(梅泉), 생존시대:1855 ∼ 1910, 출생지:광양, 유적지:매천사(梅泉祠)
• 손순흥(孫順興) 본관:밀양, 생존시대:1855∼1910, 출생지:구례현, 유적지:효자손순흥지려(孝子孫順興之閭)
• 한규순(韓圭順) 본관:청주, 아호:성순(性舜), 생존시대:고종 때 ∼ 1907, 출생지:구례군 간전면 한들태생
• 왕의성(王義成) 아호:덕포(德浦), 생존시대:조선 선조 때, 출생지:구례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국가지정문화재〉
 
■ 국보
 
◈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 제12호, 화엄사 내
 
◈ 화엄사 4사자 3층석탑 제35호, 화엄사 내
 
◈ 연곡사 동부도 제53호, 연곡사 내
 
◈ 연곡사 북부도 제54호,연국사 내
 
◈ 화엄사 각황전 제67호, 화엄사 내
 
 
■ 보물
 
◈ 화엄사 동 5층 석탑 제132호, 화엄사 내
 
◈ 화엄사 서 5층 석탑 제133호, 화엄사 내
 
◈ 연곡사 3층 석탑 제151호, 연곡사 내
 
◈ 연곡사 현각선사 탑비 제152호, 연곡사 내
 
◈ 연곡사 동 부도비 제153호, 연곡사 내
 
◈ 연곡사 서 부도 제154호, 연곡사 내
 
◈ 화엄사 대웅전 제299호, 화엄사 내
 
◈ 화엄사 원통전앞 사자탑 제300호, 화엄사운통전 앞
 
◈ 구례 논곡리 3층 석탑 제509호, 구례읍 논곡리
 
◈ 윤문효공 신도비 제584호, 산동면 이평리
 
◈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제924호, 천은사 극락전
 
◈ 구례화엄사 화엄석경 제1040호, 화엄사 내
 
 
■ 사적
 
◈ 석주관 칠의사 묘 제106호, 토지면 송정리
 
◈ 구례 석주성 제385호, 토지면 송정리
 
 
■ 천연기념물
 
◈ 화엄사 올벗나무 제38호, 화엄사 지정암 옆
 
 
■ 중요민속자료
 
◈ 구례 운조루 제8호, 토지면 오미리
 
 
■ 중요무형문화재
◈ 구례향제줄풍류 제83-1가호, 구례읍 봉동리, 예능보유자 이철호(단소), 기정애(거문고), 이순조(대금)
 
 
〈도지정문화재〉
 
■ 유형문화재
 
◈ 구례 사도리 3층 석탑 제12호, 마산면 사도리
 
◈ 천은사 나옹화상 원불감 제29호, 천은사 내
 
◈ 구례윤문효공묘앞 석등 및 석비 제37호, 산동면 이평리
 
◈ 화엄사 보제루 제49호, 화엄사 내
 
◈ 천은사 극락보전 제50호, 천은사
 
◈ 구례 향교 제110호, 구례읍 봉서리
 
◈ 화엄사 구층암 석등 제132호, 화엄사 뒤 구충암
 
◈ 구례 사도리 석불좌상 제133호 마산면 사도리
 
◈ 대전리 석불입상 제186호, 광의면 대전리
 
 
■ 기념물
 
◈ 김완 장군 전승유허비 제50호, 산동면 원촌리
 
◈ 구례 장죽전 녹차 시배지 제138호, 마산면 황전리
 
◈ 봉서리 지석묘군 제149호, 구례읍 봉서리
 
 
■ 문화재자료
 
◈ 운홍정 제31호, 산동면 시상리
 
◈ 방호정 제32호, 산동면 좌사리
 
◈ 사성암 제33호, 문척면 죽마리
 
◈ 화엄사 제34호, 마산면 황전리
 
◈ 천은사 제35호, 광의면 방광리
 
◈ 남악사 제36호, 마산면 황전리
 
◈ 매천사 제37호, 광의면 수월리
 
◈ 월전리 입석 제114호, 문척면 월전리
 
◈ 구산리 입석 제115호, 문척면 죽마리
 
◈ 구례 죽마리 지석묘군 제182호, 문척면 죽마리
 
 
• 운조루(雲鳥樓)
• 매천사(梅泉祠)
• 구례향제줄풍류(求禮鄕制風流)
• 화엄사 각황전 앞 석등(華嚴寺 覺皇殿 石燈)
• 사사자 삼층석탑(四獅子 三層石塔)
• 연곡사 동부도(谷寺 東浮屠)
• 연곡사 북부도(谷寺 北浮屠)
• 화엄사 각황전(華嚴寺 覺皇殿)
• 화엄사 동오층 석탑(華嚴寺 東五層 石塔)
• 화엄사 서오층 석탑(華嚴寺 西五層 石塔)
• 연곡사 삼층석탑(谷寺 三層石塔)
• 현각선사 탑비(玄覺禪師 塔碑)
• 동부도비(東浮屠碑)
• 서부도(西浮屠)
• 화엄사 대웅전(華嚴寺 大雄殿)
• 원통전 앞 사자탑(圓通殿 獅子塔)
• 논곡리 삼층석탑(論谷里 三層石塔)
• 윤문효공신도비(尹文孝公神道碑)
• 천은사 극락보전 아미타 후불탱화(泉隱寺 極樂寶殿 阿彌陀 後佛幀畵)
• 화엄사 올벗나무
• 석주관 칠의사 묘(石柱關 七義士 墓)
• 사도리 삼층석탑(沙圖里 三層石塔)
• 나옹화상 원불감(懶翁和尙 願佛龕)
• 화엄석경(華嚴石經)
• 윤문효공 묘 앞 석등 석비(尹文孝公 墓 前 石燈 石碑)
• 화엄사 보제루(華嚴寺 普濟樓)
• 천은사 극락보전(泉隱寺 極樂寶殿)
• 향교(鄕校)
• 화엄사 구층암 석등(華嚴寺 九層庵 石燈)
• 김완장군 전승유허비(金完將軍 戰勝遺墟碑)
• 운흥정(雲興亭)
• 방호정(方壺亭)
• 사성암(四聖庵)
• 화엄사(華嚴寺)
• 천은사(泉隱寺)
• 남악사(南岳祠)
전라남도 구례군 정보
• 구례군의 생활문화자원
• 구례군의 역사문화자원
• 구례군의 어제와 오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