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제주시 제주도 제주시 정보
제주도 제주시 정보
(보기 : 목록별구성)
2023년 12월
2023년 12월 1일
제주시의 역사문화자원
2005년 6월
2005년 6월 3일
about 제주도 제주시 정보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내서재
추천 : 0
(2023.12.01. 01:00) 
◈ 제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원(元)의 탐라(耽羅)지배 - 탐라(지금의 제주)는 몽고의 침략에 맞선 삼별초군이 여몽(麗蒙) 연합군과 최후의 결전을 벌였던 곳으로서, 최대 격전지는 지금의 북제주군 애월읍 일대이나 그 영향은 제주시에도 크게 미쳤다. / • 일제치하의 제주시 - 일제치하의 36년간 제주도의 행정책임자인 도사(島司)는 제주경찰서장을 겸직하고 경찰력으로 이 고장을 지배하고 있었다.
목   차
[숨기기]
 

1. 역사문화자원

 

1.1. 역사적 사건과 현장

◈ 원(元)의 탐라(耽羅)지배
탐라(지금의 제주)는 몽고의 침략에 맞선 삼별초군이 여몽(麗蒙) 연합군과 최후의 결전을 벌였던 곳으로서, 최대 격전지는 지금의 북제주군 애월읍 일대이나 그 영향은 제주시에도 크게 미쳤다. 특히 원이 탐라를 점령해 예속시킨 이래 약 1백 년 동안 그들의 학정은 민생문제를 도탄에 빠지게 하였으며, 목호(牧胡)들의 횡포는 무수한 민란을 유발시키기도 하였다. 뿐만 아니라 문화는 유린되고 전통마저 파괴되었으며, 이로 인하여 주민의 배타사상을 부추기는 결과를 낳기도 하였다.
 
◈ 일제치하의 제주시
일제치하의 36년간 제주도의 행정책임자인 도사(島司)는 제주경찰서장을 겸직하고 경찰력으로 이 고장을 지배하고 있었다.
 
제주시 중심가의 주요 상권(商權)을 그들 일본인이 잡고 있었으니 그 중심가는 칠성통(七星通)이었다. 일제시대에는 시내 주요 도로의 이름도 동문통·서문통·원정통·칠성통 등 일본식 이름으로 불려졌다. 제주시와 일본의 오사카(大阪) 사이에 군대환(君代丸)이라는 배가 왕래하였었고, 제주사람은 일본의 오사카로 삶의 터전을 얻기 위하여 진출하였다. 오늘에도 일본의 오사카에는 제주사람들이 많이 거주하고 있다.
 
 
 

1.2. 내 고장의 역사적 인물

중종15년(1520) 기묘사화에 연루되어 제주에 유배되었다가 사사(賜死)된 충암 김정(沖菴 金淨, 1486∼1521), 중종 29년(1534) 사간원(司諫院)에 있을 때에 김안로(金安老)의 재등용에 반대하였다가 제주목사로 좌천된 규암 송인수(圭庵 宋麟壽, 1487∼1547), 선조 34년(1601) 소덕유(蘇德裕) ·길운절(吉運節)의 역모사건 때에 안무사로 제주를 다녀간 청음 김상헌(淸陰 金尙憲, 1570∼1652), 광해군 6년(1614) 영창대군의 살해와 관련하여 격렬히 상소하였다가 제주 대정현(大靜縣)에 유배되어 9년 가까이 이 곳에서 유생들을 훈학한 동계 정온(桐溪 鄭蘊, 1569∼1641), 숙종 15년(1689) 왕세자 책봉을 비판하다가 제주로 유배된 우암 송시열(尤庵 宋時烈, 1607∼1689) 이상 다섯 명을 훗날 제주에서는 ‘오현(五賢)’으로 칭하고, 그들의 유덕을 기리는 오현단을 지금의 제주시 이도 1동 1421-3, 1421-34번지 경내에 마련하여 1971년에는 지방문화재 기념물 제1호로 지정 보호하고 있다.
 
9년 동안 제주에 체류한 정온을 제외하고 나머지 네 명은 짧게는 3개월에서 길어야 1년 3개월 동안 제주에 머물렀다. 따라서 그 사이에 이들이 제주에 큰 영향을 직접 미쳤다고는 보기 어려우나, 다섯 명 모두가 조선왕조시대의 큰 선비들로서, 당시 변방이었던 제주의 유림들에게 경모(敬慕)의 대상이 되었던 것은 분명하다.
 
특히 그들은 한결같이 도덕과 학문과 절의 등에서 가장 모범적이며, 그런 가운데 김정이 『제주풍토기』, 김상헌이 『남사록』을 유려한 문장으로 후대에 남긴 것은 큰 공적으로 평가되고 있다.
 
 
• 고유(高維, 본관:제주, 출생지:제주)
• 고조기(高兆基, 아호:당유(唐愈), 생존시대:선종 5년(1088)∼?, 출생지:제주)
• 고득종(高得宗, 아호:영곡(靈谷), 생존시대:1388∼1452, 출생지:제주, 유적지:향현사)
• 양헌수(梁憲洙, 아호:경보(敬甫), 생존시대:1816∼?, 유적지:추모비)
• 이재수(李在守, 출생지:제주)
• 김진용(金晋鎔, 아호:명도암(明道菴), 생존시대:1605∼1663, 출생지:제주, 유적지:향현사)
• 현덕문(玄德聞, 아호:월곡(月谷), 생존시대:조선 순조 때, 출생지:제주 노형동(老衡洞), 유적지:{사례집설}, {탐라약기}, {귤림원지}, {유가선문})
• 고순흠(高順欽, 아호:죽암(竹岩), 생존시대:1893∼1977, 출생지:제주)
• 고병희(高秉禧, 생존시대:1902∼?, 출생지:제주시 삼도동(三徒洞))
• 고사훈(高士訓, 출생지:제주, 유적지:모충사(慕忠祠), 추모비)
• 김만덕(金萬德, 본관:김해(金海), 출생지:제주, 유적지:모충사)
• 부천겸(夫千謙, 생존시대:1730년, 출생지:제주 영평동(寧坪洞))
• 문씨부인(文氏婦人, 출생지:제주)
 
 
 

1.3. 내 고장의 문화유산

■ 보물
- 관덕정, 불탑사5층석탑, 탐라순력도, 안중근의사 유묵
 
■ 사적
- 삼성혈, 제주목관아지, 삼양동선사유적지
 
■ 천연기념물
- 제주시곰솔, 왕벚나무자생지, 제주도 제주마, 한라산천연보호구역, 제주도 한란
 
■ 중요무형문화재
- 칠머리당굿, 탕건장, 망건장, 갓일
 
■ 유형문화재(이하 도지정)
- 제주향교, 향사당, 용방록, 연방록, 급제선생안,홍화각기, 탐라지도 및 지도병서, 제주삼읍도총지도, 관음사목조관음보살상
 
■ 무형문화재
- 고분 양태
 
■ 기념물
- 오현단. 제주성지, 삼사석, 화북비석거리, 문경공고조기묘, 해신사, 용담선사무덤유적, 영평조록나무, 무환자나무, 녹나무, 도련귤나무(7주), 목석원, 환해장성(곤홀·별도·삼양), 연대(별도·수근), 지석묘(15기), 관음사의 왕벚나무 자생지
 
■ 민속자료
- 복신미륵, 남방아(농구), 상여(제구), 무신도(신앙구·회화), 돌하르방, 제주도의 초가, 제주도의 와가, 방사탑(7기)
 
 
• 관덕정(觀德亭)
• 불탑사 5층석탑(佛塔寺 五層石塔)
• 삼성혈(三姓穴)
• 제주목관아지(濟州牧官衙址)
• 봉개동 왕벚나무 자생지(奉蓋洞 왕벚나무 自生地)
• 제주시 곰솔(濟州市 黑松)
• 한라산 천연보호구역(漢拏山 天然保護區域)
• 제주도 제주마(濟州道 濟州馬)
• 망건장(이수여)(網巾匠(李受汝))
• 탕건장(김공춘)(宕巾匠(金功春))
• 제주향교(濟州鄕校)
• 향사당(鄕社堂)
• 용방록(龍傍錄)
• 연방록(蓮榜錄)
• 급제선생안(及第先生案)
• 탐라지도 및 지도병서(耽羅地圖 및 地圖幷序)
• 제주삼읍도총지도(濟州三邑都摠地圖)
• 홍화각기(弘化閣記)
• 오현단(五賢壇)
• 지석묘(총 24기 중 제주시 소재 15기)(支石墓)
• 제주성지(濟州城址)
• 삼사석(三射石)
• 도련 귤나무(道連 橘나무)
• 영평 조록나무(寧坪 조록나무)
• 해신당(海神堂)
• 연대(수근연대, 별도연대)(煙臺(修根煙臺, 別刀煙臺))
• 목석원(木石苑)
• 화북 비석거리(禾北 碑石거리)
• 청귤나무(靑橘나무)
• 무환자나무(無患子나무)
• 녹나무
• 문경공 고조기 묘(文敬公 高兆基 墓)
• 용담동 선사무덤 유적(龍潭洞 先史무덤 遺蹟)
• 복신미륵(福神彌勒)
• 돌하르방
• 제주도의 초가(濟州道의 草家)
• 제주도의 와가(濟州道의 瓦家)
• 남방애
• 상여(喪輿)
• 무신도(巫神圖)
• 방사탑(防邪塔)
• 갓일(김인)(갓일(金仁))
제주도 제주시 정보
• 제주시의 생활문화자원
• 제주시의 역사문화자원
• 제주시의 어제와 오늘
【작성】 null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