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2018년 울산광역시건축상 대상 ‘울산도서관’선정
|
|
|
|
|
|
|
|
‘2018년 울산광역시건축상’ 대상에 ㈜행림종합건축사사무소(대표 이용호)가 설계한 ‘울산도서관’이 최종 선정됐다.
|
|
|
|
|
|
|
울산시는 지난 6월 18일부터 8월 31일까지 접수된 주거, 공공, 일반 3개 분야의 53개 작품을 대상으로 서류 및 현장심사를 거쳐 최종 6개 작품을 ‘2018 울산광역시 건축상’에 선정했다고 밝혔다.
|
|
|
|
|
|
|
심사위원회는 공개모집해 선발된 시민위원 2명, 울산광역시 건축위원회 위원 중 분야별(건축계획, 건축구조, 도시계획, 디자인, 건축설비, 건축설계, 건축시공) 전문위원, 총 11명으로 구성됐다.
|
|
|
|
|
|
|
심사는 디자인의 독창성과 상징적 이미지, 주변 경관과의 조화, 기능별 공간구성의 효율성, 공공성 등을 평가했다.
|
|
|
|
|
|
|
대상을 수상한 ‘울산도서관’은 심사위원들로부터 주변 자연과의 유기적인 배치와 따뜻하고 다정한 공간을 완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
|
|
|
|
|
|
최우수상은 공공, 주거, 일반부분으로 나눠 선정했다.
|
|
|
|
|
|
|
공공부분 최우수상은 ㈜삼우종합건축사사무소(대표 박도권)와 ㈜대흥종합엔지니어링건축사사무소(대표 정태석)에서 공동 설계한 ‘울주군 신청사’로 공공건축의 전형적이지 않은 담담함이 ‘우수하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
|
|
|
|
|
|
주거부분 최우수상은 건축사사사무소 카안(대표 안성규)에서 설계한 중구 약사동의 ‘퍼블릭베이트하우스’가 차지했다.
|
|
|
|
|
|
|
공간의 적절한 분절과 연결로 상호 관계성이 우수하며, 특히 설계과정에서 건축주와 건축가가 긴밀하게 호흡하고 소통한 좋은 사례라는 평가를 받았다.
|
|
|
|
|
|
|
일반 부분 최우수상은 ㈜온건축사사무소(대표 정웅식)에서 설계한 남구 달동에 위치한 ‘댄스빌딩’이 필지 특성을 3차원으로 활용한 역동적 형태가 ‘독특하다’라는 평가를 받았다
|
|
|
|
|
|
|
그 외 우수상은 주거부분 ‘트레인하우스(울주군 상북, ㈜온건축사사무소설계)’와 중구 성안동에 위치한 ‘화화락정(초석건축사사무소 대표 윤덕원)’이 선정됐다.
|
|
|
|
|
|
|
건축상 수상작으로 선정된 6개 작품에 대한 시상식은 오는 11월 1일 ‘제2회울산건축문화제’ 개막식 행사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
|
|
|
|
|
|
우수 건축물에는 동판이 부착되고 건축주 및 설계자 등에 대해서는 상패가 수여된다.
|
|
|
|
|
|
|
김동훈 도치창조국장은 “풍성해지고 다양해진 응모작품을 통해 울산 건축의 질적 향상이 대형프로젝트는 물론 동네 곳곳의 작은 건축물에도 더 해져 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며, ”삶속에 녹아 든 일상의 문화인 건축을 통해 도시브랜드 가치를 높일 수 있는 안전하고 다양한 건축 정책을 계속해 추진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
|
|
|
|
|
|
한편 울산광역시 건축상은 건축문화 발전 및 도시품격 향상에 기여하고 건축의 공공적 가치를 구현하는 우수 건축물을 선정하기 위해 지난 1996년 처음 시작해 응모작품 부재 등으로 중단되었다가 2016년 재개되어 2017년 44개 작품이 응모 되었다.
|
|
|
|
|
|
|
특히 울산광역시 건축상 수상작품이 전국규모인 '대한민국건축문화대상‘의 우수상(2016년 태화강생태관)과 대상(2017년 매곡도서관)을 수상해 위상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끝.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