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민주당 중진인 송영길 의원이 지난 11일, 15일 원자력 발전소 신한울 3, 4호기 건설 재개를 거듭 주장했다. 사실상 탈원전 정책의 재검토 필요성을 언급한 것이다.
|
|
|
|
|
|
|
만시지탄이지만 이제 여당의원 조차 정부의 탈원전 정책에 의문을 제기한 것이다.
|
|
|
|
|
|
|
청와대와 민주당은 탈원전 정책이 이미 공론화 과정에서 결론이 난 사안으로 송 의원 발언은 부적절하다고 비판했다.
|
|
|
|
|
|
|
가짜 뉴스는 이렇게 만들어진다. 팩트가 틀렸다. 신한울 3.4호기에 대한 공론화는 없었고, 탈원전 자체에 대한 공론화도 물론 없었다.
|
|
|
|
|
|
|
탈원전이 지속되면 조만간 원전 기자재 공급망도, 신규 원전기술 인력양성 시스템도 붕괴될 것이다.
|
|
|
|
|
|
|
탈원전 정책이 오히려 ‘원전 안전을 위협하는 정책’이 된 것이다.
|
|
|
|
|
|
|
우리 원전은 40년 무사고의 세계적 안전성을 자랑했다. 문 대통령이 해외 원전 세일즈에서 나서서 한 말이다.
|
|
|
|
|
|
|
이제 국민은 탈원전을 표방한 대통령이 해외 원전 세일즈에 나서는 ‘웃픈’ 촌극을 더 이상 보지 않을 권리가 있다.
|
|
|
|
|
|
|
탈원전 정책 반대 서명이 30만명을 넘어섰다
|
|
|
|
|
|
|
대만의 사례처럼 국민투표까지 가야하는 것인가.
|
|
|
|
|
|
|
탈원전 정책 폐기 말고는 답이 없다.
|
|
|
|
|
|
|
청와대와 정부는 하루라도 빨리 신한울 3.4호기 건설 재개에 대한 공론화에 나서야 한다.
|
|
|
|
|
|
|
2019. 1. 15.
|
|
|
|
|
|
자유한국당 원내대변인 이 양 수
|
|
|
|
|
|
|
키워드 : 탈원전 폐기, 청와대, 정부, 신한울 3,4호기 건설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