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경상남도, 시군 직원 대상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요령 실무교육 실시
|
|
|
|
|
|
- 4. 26.(금), 드론 방제 추진 매뉴얼 교육 등 병행
|
|
|
|
|
|
|
|
|
|
|
|
경상남도는 26일 산림환경연구원에서 시군 업무 담당자 40여 명을 대상으로 ‘산림병해충 예찰 및 방제요령 실무교육’을 실시했다.
|
|
|
|
|
|
|
|
|
|
|
|
이번 교육은 호두나무 갈색썩음병 등 산림병해충 발생에 선제적으로 대처하고, 올해 신규로 시행하는 드론 방제를 차질 없이 추진하기 위해 산림청 및 국립산림과학원의 전문가를 초빙하여 실무교육과 기술정보를 공유하였다.
|
|
|
|
|
|
|
|
|
|
|
|
교육내용은 농림축산검역본부가 ‘관리 병해’로 지정한 ‘호두나무 갈색썩음병’에 대한 예찰 및 방제요령으로, 가지에 검은색 궤양이 발생하고, 감염된 열매는 조기 낙과하여 호두의 생산량을 감소시키는 병해이다.
|
|
|
|
|
|
|
|
|
|
|
|
|
|
|
|
|
|
2016년. 6월 경북 안동지역의 재배농가에서 첫 발생 이후 전국 11개 시도 67개 시군구로 확산되었으며, 도내에서는 2016년 창녕군과 거창군 등 6개 시군에서 발생하였으나, 2017년부터 감소 추세에 있으며, 이번 교육에서 피해가 더 이상 확산되지 않도록 예찰활동 강화를 요청하였다.
|
|
|
|
|
|
|
|
|
|
|
|
또한, 신규로 추진하는 드론 방제는 PLS 제도 전면 시행에 따른 유인 항공방제의 대체 방법으로, 차질 없는 사업 추진을 위해 대상지 선정, 설계, 시공, 감리 등 실무 매뉴얼에 대해 교육하였다.
|
|
|
|
|
|
|
|
|
|
|
|
올해 도내 드론 방제는 약 2,000ha를 계획하고 있으며 유인 항공방제 시행 시 비산 약제 피해가 우려되는 농경지 주변이나 인력방제가 어려운 지역을 위주로 정밀 방제를 시행할 예정이다.
|
|
|
|
|
|
|
|
|
|
|
|
그리고 해안가 주변에 주로 발생하는 솔껍질깍지벌레에 대한 예찰 및 방제 방법에 대해서도 교육을 실시하여 실무에 유용한 내용을 전파했다.
|
|
|
|
|
|
|
|
|
|
|
|
아울러, 4월부터 9월까지 농가에 피해를 주는 미국 선녀벌레 등 농림지 동시 발생 병해충의 효율적인 방제를 위해 시군 농업 부서와 협업 방제 추진에 만전을 기하도록 하였다.
|
|
|
|
|
|
|
|
|
|
|
|
서석봉 경상남도 산림녹지과장은 “기후변화에 따른 신종 돌발해충 발생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실정으로 이번 교육이 도내 실무 담당자들의 병해충 발생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업무능력 배양의 계기가 되길 바란다”라며 “신규로 시행하는 드론 방제도 이번 교육을 통해 원활히 추진될 수 있도록 준비를 철저히 해 줄 것”을 당부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원문보기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