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열린보도자료의 지식창고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2024년
  2024년 4월
2024년 4월 30일
2024년 4월 29일
2024년 4월 26일
2024년 4월 25일
2024년 4월 23일
2024년 4월 22일
2024년 4월 18일
2024년 4월 17일
2024년 4월 16일
2024년 4월 15일
2024년 4월 9일
2024년 4월 8일
2024년 4월 5일
2024년 4월 3일
2024년 4월 2일
[국립전주박물관] 새 소장품을 소개합니다. - 국립전주박물관, 신소장품 최초 공개
2024년 4월 1일
about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내서재
추천 : 0
국립전주박물관(國立全州博物館) 전주시(全州市) # 영모화 # 자양금명
【문화】
(2024.04.03. 18:25) 
◈ [국립전주박물관] 새 소장품을 소개합니다. - 국립전주박물관, 신소장품 최초 공개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는 2024년 3월 27일(수)부터 상설전시관 전주와 조선왕실실과 선비서예실의 전시품을 교체 전시했다. 2층의 전주와 조선왕실실은 채용신蔡龍臣(1850-1941)의 <영모화>를 비롯해 17건 51점을, 1층의 선비서예실은 이황李滉(1501~1570)의 <자양금명紫陽琴銘> 등 20건 38점을 새롭게 선보인다. 【】
새 소장품을 소개합니다. - 국립전주박물관, 신소장품 최초 공개
 

o 전시장소: 국립전주박물관 상설관 전주와 조선왕실실, 선비서예실
o 교체전시품: <신구법천문도> 등 37건 89점
o 신소장품: <채용신의 영모화>, <이황의 자양금명> 등 9건 26점
o 전시기간: 2024. 3. 27. ~ 2024. 8월

 
국립전주박물관(관장 박경도)는 2024년 3월 27일(수)부터 상설전시관 전주와 조선왕실실과 선비서예실의 전시품을 교체 전시했다. 2층의 전주와 조선왕실실은 채용신蔡龍臣(1850-1941)의 <영모화>를 비롯해 17건 51점을, 1층의 선비서예실은 이황李滉(1501~1570)의 <자양금명紫陽琴銘> 등 20건 38점을 새롭게 선보인다.
 
 
신소장품 최초 공개
 
전주와 조선왕실실 전시품 중 3건은 신소장품으로 이번 교체 전시에서 처음으로 대중에 선보인다. <영모화>는 초상화가로 유명한 채용신의 다른 면모를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작품이다(도1). 채용신은 스승 없이 혼자 배우고 익혀 자신만의 동물화 화풍을 만들어갔는데 전례가 없는 사실적인 표현들이 눈에 띈다. 어미젖을 물고 있는 강아지, 연잎 아래 모여드는 올챙이, 목마를 탄 새끼 원숭이의 표현 등은 그림을 감상하는 재미를 더한다. 
 
<화조영모화>, <문방도>(도2, 3)는 모두 20세기 전반에 제작된 병풍으로 왕실에서 제작된 장식병풍이 민간으로 확산되고 어떻게 변용되었는지를 보여준다. 19세기 책가문방도는 왕실을 넘어 민가에서도 사랑받았는데 신소장품은 20세기 초 민화와 결합한 문방도의 양상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작품이다.    
 
선비서예실에서도 이황의 <자양금명>(도4)을 비롯하여 탑본첩과 윤순尹淳(1680~1741)의 <백하서첩白下書帖>, 김정희金正喜(1786~1856)의 편지 등 6건의 신소장품을 처음 전시한다. <자양금명>은 1565년 가을, 이황이 자신의 제자 금응협琴應夾(1526~1596)에게 써준 것으로 유학자답게 주희의 글을 단아하게 쓴 글씨가 특징이다. 
 
 
조선왕실의 품격을 보여주는 지정문화재 
 
한편, 전주와 조선왕실실에서는 신소장품과 함께 지정문화재 2건도 선보인다. <신구법천문도>는 2022년 보물로 지정된 천문도 8폭병풍이다(도5). 병풍의 제1-3폭까지는 동양의 전통적인 천문도인‘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제4-7폭에는 황도黃道를 중심으로 북쪽의 ‘황도북성도’, 남쪽의 ‘황도남성도’를 표현했다. 이 작품은 조선왕실의 천문학 수준을 드러낼 뿐만 아니라, 신구법천문도를 정교하게 도해하고 아름답게 채색한 화원의 탁월한 솜씨도 보여준다. 더불어 전시실에서는 기존에 전시했던 <이화개국공신녹권李和開國功臣錄券>(국보)의 다른 부분을 풀어 전시한다(도6). 녹권에는 태조 이성계의 이복동생인 이화(?~1408)가 세운 공로와 더불어 포상과 특전 등이 적혀있으며 닥종이의 연결 부분마다 옥새가 찍혀있다. 조선왕조에서 처음으로 발급한 관문서로, 나라를 세운 공신들의 업적을 파악하는 귀중한 자료이다.
 
 
신소장품 연구성과와 문화상품 
 
국립전주박물관은 신소장품을 연구해 그 결과를 공유하고 이를 활용한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영모화병풍>은 2023년 구입하여 조사를 거쳐 국립전주박물관 학술총서인 『석지 채용신 화조·산수화』(2023)에 소개된 바 있다. 이 책은 박물관 누리집 ‘학술조사> 발간도서’에서 무료로 다운로드받을 수 있다(도7). 또한 영모화 작품을 책상달력으로 제작, 활용했으며 문화상품으로 파일폴더(도8)를 제작해 가까이에서 조선의 전통 그림을 즐길 수 있도록 하였다.  
 
국립전주박물관은 ‘다시 찾는 박물관’을 만들고자 정기적으로 상설전시실의 전시품을 교체하고 다양한 문화상품을 개발하고 있다. 보다 많은 관람객들이 박물관에서 새롭고 유익한 정보를 접하면서 이를 충분히 즐길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봄볕이 따뜻한 날, 국립전주박물관을 방문해 새로 선보이는 전시품의 이야기를 들어보길 기대한다. 
 

 
붙임 1. 신소장품 중 주요전시품
 
도1. <다양한 동물(翎毛畫)>, 채용신 蔡龍臣 (1850-1941)
1910년대, 면에 색 綿本彩色, 국립전주박물관(전주75574)
 
산수나 나무, 암석을 배경으로 말, 학, 원숭이 등 다양한 동물을 그린 그림병풍이다. 오른쪽의 제1폭부터 말, 개, 학, 백로, 염소, 토끼, 원숭이, 사슴, 매, 기린을 그렸다. 채 용신은 초상화가로 잘 알려져 있지만 산수화나 동물 그림 도 다수 제작했다. 그는 스승 없이 혼자 배우고 익혀 자 신만의 동물화 화풍을 만들어갔는데 전례가 없는 사실적 인 표현들이 인상적이다. 어미젖을 물고 있는 강아지, 연 잎 아래 모여드는 올챙이와 물고기, 목마를 타고 다람쥐 를 바라보는 새끼 원숭이 표현 등은 그림을 감상하는 재 미를 더한다. 제10폭에는 3과의 인장(「석지石芝」, 「채용 신필蔡龍臣筆」, 「정산군수채용신신장定山郡守蔡龍臣信章」 )이 찍혀있다.
 
 
도2. 〈꽃과 새 (花鳥圖)>, 작자 모름, 20세기 전반, 비단에 색, 국립전주박물관(전주68900)
 
꽃과 새를 화려하게 표현한 가리개이다. 두 폭은 서 로 마주보는 구성으로 이루어져 하단에는 암석과 한 쌍의 새를 그리고, 그 주변과 위쪽으로 계절을 나타 내는 꽃가지를 표현했다. 왼쪽 그림은 만발한 매화와 암수 꿩을 그려 봄의 계절감을 나타냈고, 오른쪽 그 림은 화려한 새와 다양한 국화가 그려 가을임을 알 수 있다. 궁중장식화의 전통을 따라 청록 진채를 사 용하고 암석이나 나뭇가지 윤곽선에 녹색 점을 장식 적으로 찍었다. 19세기 후반부터 이러한 화조도 병풍 은 실내를 화사하게 꾸밀 뿐만 아니라 부귀와 번영을 뜻해 특별한 행사를 장식하는 기능을 했다.
 
 
도3. 〈책과 문방구 (文房圖)>, 20세기 전반, 작가 모름, 종이에 색, 국립전주박물관(전주75575)
 
책과 필통, 문방구 등 서재의 다양한 물건을 그린 문방도 이다. 8폭 각 폭에서 책장이나 소형 가구 없이, 책으로 공 간을 구획하고 책 위나 책 사이에 향로나 그릇, 화분, 도 장 등을 배치하였다. 문방도의 물건들은 길상적인 뜻을 내포하고 있는데 신선의 꽃인 수선화는 문인의 절개를 뜻 하며 모란과 복숭아, 석류 등은 부귀영화, 장수, 다산을 상징한다. 조선 후기 책가문방도가 유행하면서, 민가에서 도 책가문방도를 원했는데 민화와 결합한 문방도의 양상 을 보여준다.
 
 
도5. <자양금명>, 이황 李滉(1501~1570), 조선 1565년, 종이에 먹, 국립전주박물관(전주68674)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유학자 퇴계退溪 이황(李滉, 1501~1570)은 학자다운 바르고 단아한 글씨로도 이 름이 높았다. 이 글씨는 1565년 가을, 이황이 자신의 제자 금응협(琴應夾, 1526~1596)에게 써준 것으로 제 목의 ‘자양紫陽’은 남송南宋의 유학자 주희朱熹의 다 른 이름이고 ‘금명琴銘’은 거문고에 새긴 글이라는 뜻 이다. 이 글은 이황이 평소 좋아했던 글귀로, 바른 성 품을 기르고 함께 몸과 마음을 닦아 나갈 것을 권하 는 내용이다.
 
 
붙임 2. 지정문화재
 
도5. <신구법천문도(新舊法天文圖), 작가 모름, 조선 19세기, 비단에 색, 국립중앙박물관(덕수 1218), 보물
 
하늘의 별자리를 묘사한 천문도이다. 동양의 옛 천문도와 서양에서 유입된 새로운 천문도가 나란히 그려져 있어 동 서양의 천문도를 비교할 수 있다. 오른쪽에서 왼쪽 방향 으로 1,2,3폭에는 조선 초기의 천문도인 ‘천상열차분야지 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그렸는데 28수 별자리를 비롯해 적도, 황도, 은하수가 다양한 색으로 표현되었다. 제4-7폭 에는 황도黃道(지구가 태양을 도는 큰 궤도)를 중심으로 북쪽의 ‘황도북성도’, 남쪽의 ‘황도남성도’를 표현했고 마 지막 8폭에는 위에서부터 태양, 달, 토성(鎭星), 목성(歲星), 화성(熒惑), 금성(太白), 수성(辰星)을 그렸다. 두 개의 성도와 일월오성도日月五星圖는 중국에 들어와 있던 서양 선교사 쾨글러(Ignatius Kögler, 1680∼1746)가 제작한 천 문도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병풍은 19세 기의 서양 합성안료인 양록洋綠, 군청 등이 쓰여져 19세 기 후반경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왕실의 천문학 수준을 드러낸, 격조 높은 왕실 병풍이다.
 
 
도6. <이화를 개국공신으로 임명하는 문서(李和開國功臣錄券)>, 조선 1392년, 종이에 먹, 개인소장, 국보
 
공신녹권은 나라에 공이 있는 인물을 공신으로 임명 하는 증서로, 이 문서는 태조 이성계가 나라를 세우 는 데 공헌한 신하인 이화李和(?~1408)에게 내린 것 이다. 이화는 이성계의 이복형제로, 1392년(태조 1)에 개국공신에 오르고 의안백에 봉해졌다. 이 녹권에는 이화가 세운 공로와 더불어 포상과 특전도 기록되었 다. 또한 태조 이성계의 개국동기, 훈공에 관한 등급 결정, 포상 절차와 내용, 공신에 대한 처우, 공신의 부 모와 처자에 대한 봉작 등이 적혀있다. 총 9장의 닥 나무 종이를 이어 붙여 만들었는데 연결한 곳마다 옥 새를 찍었다. 조선왕조에서 처음으로 발급한 관문서 로, 나라를 세운 공신들의 업적을 파악하는 데 귀중 한 자료이다.
 
 
붙임 3. 학술총서와 문화상품
 
도7. 학술총서 『석지 채용신 화조 산수화』(2023 발간)
 
도8. 화조도를 활용한 문화상품, L자형 투명 폴더
 

 
 
※ 원문보기
국립전주박물관(國立全州博物館) 전주시(全州市) # 영모화 # 자양금명
【문화】 국립중앙박물관 보도자료
• [국립중앙박물관]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대학교안암병원 업무협약 체결
• [국립전주박물관] 새 소장품을 소개합니다. - 국립전주박물관, 신소장품 최초 공개
• [국립경주박물관] 모두에게 편리한 디지털 전시안내 서비스 본격화 - 국립경주박물관 ‘이용 장벽 없는 스마트 전시관’ 사업 개시 -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문화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