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고재완의 지식창고 문화재·역사·전
문화재·역사·전
2015년
  2015년 12월
2015년 12월 18일
따끈 따끈한 온돌방 스토리
about 문화재·역사·전
내서재
추천 : 0
온돌(溫突)
(2019.11.21. 19:07) 
◈ 따끈 따끈한 온돌방 스토리
어제에 이어 겨울철답다.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나는 추운 겨울에 따끈따끈한 온돌 아랫목에서 잘 익은 고구마를 먹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연세 있으신 분들이 아랫목에서 지진다고 했던 온돌은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더운 공기가 방밑을 지나 방바닥 전체를 덥게 하는 난방장치인데 전통 온돌에 대해 알아보자.
어제에 이어 겨울철답다. 아파트에서 살고 있는 나는 추운 겨울에 따끈따끈한 온돌 아랫목에서 잘 익은 고구마를 먹던 추억을 가지고 있다. 연세 있으신 분들이 아랫목에서 지진다고 했던 온돌은 아궁이에서 불을 때면 더운 공기가 방밑을 지나 방바닥 전체를 덥게 하는 난방장치인데 전통 온돌에 대해 알아보자.
 
 
 
온돌(溫堗.溫突)은 따뜻함이 바닥에서 돌출하여 배어 나온다는 뜻이다. 흔히 온돌을 <따뜻한 돌>로 종종 설명하는데 따뜻한 돌의 의미라면 온석(溫石)이나 난석(煖石)이라 썼을 것이다. 굳이 온돌이라 쓴 것은 우리의 전통 온돌이 돌을 다루는 기술보다 불을 다루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전통 구들은 흙을 이용하고 불을 다루고 가두는 한국 고유의 전통 난방기술로 따뜻한 기운이 위로 올라가는 자연스러운 난방이다. 발을 따뜻하게 하고 머리는 차게 하는 두한족열(頭寒足熱)의 건강건축이다.
 
▶온돌의 유래와 정의
 
현재 발견된 가장 오래된 고래(방의 구들장 밑으로 나있는, 불길과 연기가 통하여 나가는 길)가 있는 온돌은 3000년 전 알래스카 알류샨(Aleutian) 열도의 아막낙섬에 있는 구들이며, 한반도 북부의 북옥저 유적은 고래와 구들장이 있는 가장 오래된 유적으로 B.C 300년 경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된다. 그러나 두만강 하구의 서포항 집터의 고래 없이 돌과 진흙으로 된 구들유적은 신석기시대인 B.C 3000년 경 만들어진 것으로 현재 가장 오래된, 바닥을 따뜻하게 데우는 초기온돌이다.
 
온돌은 방에 연기가 나지 않는 세계최초의 난방법으로 ‘누운 불’을 사용하는 방법이다. ‘선 불’을 사용하는 서양의 벽난로와는 다르다. 불은 윗부분이 가장 뜨거우므로, 불 옆을 사용하는 것은 불 윗부분의 열기를 굴뚝을 통해 내보내고 열기의 일부만을 이용하는 비효율적인 방법이다. 우리는 구들을 놓아 불과 연기를 눕혀 바닥으로 기어 다니게 하고 그 위에 사람이 불을 깔고 앉아 불을 베고 잠을 자는 불을 호령하는 민족이다.
 
지금까지의 온돌에 관한 정의를 보면, ‘방바닥에 불을 때서 구들장을 뜨겁게 난방을 하는 장치’라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실생활에서는 온돌과 구들이 많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아파트에 사는 사람들도 온돌방에서 산다고 얘기하고, 숙박시설에 묵을 때도 ‘온돌방을 드릴까요? 침대방을 드릴까요?’ 하고 구분하여 부른다. 이처럼 온돌은 현재 생활에서 쓰는 단어와 사전적인 용어가 서로 다른 의미로 표현되고 있다.
 
‘구들’이라는 순우리말이 언제부터 사용되었는지는 확실치 않으나 구들이 처음 만들어진 시기를 추측해본다면 신석기시대 두만강 하구 서포항 집터 초기 구들 유적의 생성연도인 5000년 전보다 더 오래 전부터 사용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조선시대에 비로소 ‘ 구들’이 ‘온돌(溫突)’이란 한자어로 표기되기 시작하였다.
 
▶구조와 원리
 
온돌은 불을 잘 들어가게 하는 기술과 그 들어온 불기운을 잘 보존하는 기술이 핵심이다. 구들개자리는 열을 빨아들이고 식은연기는 다시 내보내며 굴뚝개자리가 외부의 찬 기운이 방바닥으로 역류하여 들어오는 것을 막는다. 또한 굴뚝을 최대한 낮춰 식은 연기를 배출한다.
 
구례 운조루의 굴뚝 중에는 위로 세워진 굴뚝이 없다. 기단부분에 식은 연기를 내보내는 작은 구멍이 있을 뿐이다. 불은 인류가 추운 지방으로 삶의 터전을 옮겨가는 데 있어 결정적인 도구였다. 불의 이용과 함께 음식과 요리가 발달했으며 추운 지방에서 겨울을 나게 되었다. 그러나 불은 항상 연기와 함께 오기에 연기의 퇴치가 항상 숙제로 남았다. 연기를 내보내면 연기와 함께 열기도 사라지므로 불이 꺼지면 다시 추워졌다.
 
한국의 온돌은 불이 꺼진 후에도 열기를 간직한 인류 최초의 축열난방설비였다. 또한 구들의 굴뚝은 개자리가 있어 최고의 집진설비가 된다. 그래서 굴뚝에서 나온 연기는 불완전 연소로 생겨난 검은 그을음이 아니라 하얀색의 수분(목초액)이 대부분이다. 불은 땅속의 개미와 쥐들을 쫓았고, 연기가 땅바닥으로 빠져나오니 너무 뜨겁지 않으면서 마당의 나무와 흙집을 소독하고 모기 등 각종 벌레들을 퇴치하는 일석삼조의 효과를 보았다.
 
툇마루나 정자에 않아 구들에서 불을 때서 굴뚝으로 나온 하얀 연기가 마당에 깔리는 모습을 보고 있노라면 신선이 구름 위에 떠 있는 듯한 모습이 된다. 온돌의 연료는 좋은 나무가 아니었다. 쌀겨나 콩대, 옥수수대 등 식량 부산물이나 나뭇잎이나 짚, 마른 소똥 등으로 연료를 대신하였다. 불을 처음 땔 때는 마른 솔가지가 화력도 좋고 불붙이기 수월했고 한쪽에 세워둔 짚단에서 서너 개를 뽑아 두세 번 꺾어 첫불을 때면 금방 불이 살아났다.
 
 
 
▶한옥을 한옥답게 하는 온돌
 
온돌은 단순한 난방설비가 아니라 집의 중심이고 핵심이다. 한옥은 여름용 마루와 겨울용 온돌이 함께 있는 세계에서 유일한 자연 친화적이며 지속가능한 저탄소 주거이다. 그리고 한옥의 지붕은 기와나 초가, 너와 등 다양하지만 그 뼈대는 항상 나무와 흙이다. 돌로 짓지 않는 이유는 돌은 비록 타지도 썩지도 않으며 튼튼하지만 사람에게는 그리 좋지 않기 때문이다. 돌은 죽은 재료로 집 밖이나 무덤 등에 주로 사용되었다.
 
나무나 흙은 사람에게 좋지만 벌레에게도 좋기에 그냥 두면 쥐나 온갖 벌레들이 집안을 점령하게 된다. 빈집으로 두면 금방 거미줄이 치고 오래지 않아 무너지게 되는데 이는 사람이 살지 않으면 불을 때지 않게 되고, 이때문에 기둥을 개미들이 훼손하기 때문이다.
 
최근 한옥 붐이 일면서 나무를 주된 구조로 지은 집들이 많은데, 서양의 목조주택처럼 방부처리를 하지 않기 때문에 벌레 퇴치방법을 찾느라 골머리를 앓고 있는데 구들을 만들어 불을 때면 일거에 해결될 문제다.
 
▶아랫목과 윗목
 
온돌은 아랫목과 윗목의 온도차로 인한 대류현상을 발생시켜 방의 쾌적도를 높인다. 침대가 없으므로 방을 여러 가지 기능으로 이용하는 문화가 정착됐고 이러한 좌식생활은 여유 있는 생활을 유지하면서 끈기 있는 문화를 탄생시키게 된다.
 
또한 따뜻한 아랫목이 윗사람의 자리가 됨으로써 생활 속에서 위아래를 아는 예의바른 문화를 창출했다. 또 아랫목은 온 가족이 모여 앉아 집안의 화목을 다지는 필수공간이기도 하다. 이와 같이 한옥은 온돌로 실내외를 구분하고 방안에서는 아랫목과 윗목을 다시 구분하여 청결함과 건강함 그리고 편안함을 만들었다.
 
추운 겨울에는 온 가족이 아랫목에 모여앉아 군밤과 군고구마를 먹으며 가족애를 키웠다. 체온이 떨어지면 면역능력도 떨어지기 때문에 체온을 보존하기 위한 것이 난방의 주목적이다. 예부터 일본은 온천으로, 핀란드는 사우나로, 한국은 온돌로 겨울을 났다.
 
겨울잠을 자는 곰은 먹이가 부족한 겨울철에는 최소한의 에너지만 소비하는 방법으로 겨울을 난다. 우리의 한옥에도 추운 겨울에 아랫목에 모여 적은 공간을 난방하며 겨울을 나는 지혜가 있다.
 
현재 우리의 주거환경은 윗목 아랫목 구분이 없고 방바닥과 실내공간의 온도가 거의 비슷하게 유지되는 입식생활문화로 바뀌어 있다. 아랫목에 발을 묻고 오손도순 지내던 가족문화의 흔적은 사라지게 된 실정이다. 항상 이불을 깔아놓는 침대문화는 진드기 등 해충의 서식처를 제공하여 각종 질병을 유발하고, 아래보다 위가 더 따뜻하고 건조한 실내공기는 감기에 걸리기 쉬운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
 
▶온돌방의 효능
 
온돌방은 신체를 최대한 바닥에 밀착시켜 열을 얻는 접촉난방으로, 방안에 벽난로 같은 난방시설을 두지 않기 때문에 산소가 충분하여 방안이 쾌적하다. 또한 앉았을 때 둔부, 허벅다리 등 혈액순환이 잘 되지 않는 하체부위가 직접적인 전도열을 받아 혈액순환이 촉진되며 누워있을 때는 배면(등)이 구들에 밀착되어 직접적인 전도열로 따뜻해진다.
 
바닥에 까는 요보다 덮는 이불이 크기 때문에 온돌에서 방열된 열이 이불 속에 가두어지며, 이불 속은 마치 열주머니와 같게 되어 온몸이 따뜻해진다. 또한 모세혈관이 팽창되므로 혈액순환이 원활해져 땀까지 배출시키므로 매일 자면서 목욕하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저장된 열이 방안에 넓게 퍼지도록 하며, 온돌바닥이 땅의 습기를 적당히 흡수하면서 열을 방출하므로 방의 실내온도와 습도가 적당히 유지된다. 한 번 불을 때면 석 달 열흘간이나 온기를 지속했다는 경남 하동의 칠불사 亞자형의 온돌방인 아자방(亞字房.경상남도 유형문화재 제144호)구들은 신라 효공왕때 담공선사가 놓은 구들로 전해지는데 우리 전통 구들의 꽃이라 할 수 있다.
 
나무를 때는 불편함이 수반되는 온돌은 편리함보다는 편안함을 추구하는 난방법이다. 우리 민족은 예로부터 구들에서 태어나서 구들에서 자라고 구들에서 죽는다. 죽은 후에 제사상도 구들에서 받게되기에 실로 요람에서 무덤까지 구들에서 살았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와 같이 온돌은 의식주생활에 깊숙이 뿌리내린 우리의 귀중한 문화유산이다. 우리 어머니들은 아궁이에 불을 때며 산후조리를 넉넉히 대신했다. 이처럼 우리 민족의 모태는 온돌이고 구들이다.
 
▶오늘날의 아파트 온돌
 
현재 널리 사용되고 있는 보일러 난방이나 전기의 발열을 직접 이용한 온돌, 온수를 매개체로 하는 간접난방 온돌의 경우는 사전적 정의의‘온돌’에 포함시키기 어렵다. 결국 현재 온돌이나 구들의 사전적 정의는 어디까지나 ‘과거의 구들과 온돌’에만 적용되고 ‘현재의 온돌’에는 적용하기 힘든 모순을 갖고 있다. 그러나 지금 우리는 전기를 이용하든, 물을 이용하든 엄연히 온돌에 산다고 말하고 아파트의 바닥난방도 한국의 전통난방법이 발전한 온돌이라고 설명한다.
 
특히 우리의 온돌은 바닥접촉과 탈화를 근간으로 하고 있어 서양의 공기를 데워 난방을 하는 패널히팅(Panel heating) 방식과는 차이가 있다. 결론적으로 직접가열을 하든 물 등으로 간접가열을 하든, 또한 어떤 연료를 쓰든 상관없이 바닥을 따뜻하게 한다면 모두 온돌로 정의되어야 마땅하다.
 
이는 선사시대이래 지금까지 이어져 온 한민족의 온돌의 전통과 역사의 계승을 위해서, 그리고 근세에 발달한 연탄 구들과 연탄 아궁이 보일러를 사용한 온돌 등 과거와 현대의 중간적 온돌까지 우리 온돌문화의 전통에 포함시키는 것이 합당할 것이다.
 
☞ 지리산 하동 칠불사(七佛寺) 아자방(亞字房)에 대하여
칠불사 아자방의 길이는 약 8m이고, 방 안 네 귀퉁이에 70㎝ 높이로 좌선대를 마련하였다. 좌선대에서는 승려들이 좌선을 행하였으며, 중앙의 낮은 곳은 불경을 읽는 공간으로 꾸며졌다. 이러한 구조가 ‘亞(아)’자와 같다고 하여 아자방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난방을 위해 온돌을 이중으로 구축하였는데, 그로 인해 한 번 불을 넣으면 상하 온돌과 벽면까지 100일 동안이나 따뜻하다고 한다.
 
아자방의 온돌은 처음 만든 이래 1,000년을 지나오는 동안 한 번도 고친 일이 없다고 하므로, 원형의 모습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만 100년마다 한 번씩 아궁이를 막고 물로 청소를 하였다고 전한다.
 
 
\na-;출처: 김준봉(국제 온돌학회 회장) , 민족문화대백과,네이버지식백과,하동군
 

 
※ 원문보기
온돌(溫突)
문화재·역사·전
• "서울시의회 건물(옛 국회의사당.부민관)" 역사 알아보기
• 따끈 따끈한 온돌방 스토리
• 대동여지도의 김정호 -4편- 거리 측정기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로그인 후 구독 가능
구독자수 : 0
▣ 정보 :
미정의 (보통)
▣ 참조 지식지도
▣ 다큐먼트
▣ 참조 정보 (쪽별)
◈ 소유
◈ 참조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 참조정보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