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이기이원론(理氣二元論)
이기이원론
자 료 실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about 이기이원론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이기이원론 (理氣二元論)
성리학에서 이와 기의 결합으로 모든 존재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는 성리학이론.
▣ 지식지도
◈ 지식지도
이기이원론 (理氣二元論) 기호 학파 성리학 영남 학파 유교 이기일원론 이기론 노론 문묘 붕당 사서 삼경 서인 소론 실학 양명학 어록 역전 예송 논쟁 예학 유가 정주학 제자 백가 주기론 주리론 주자학 중국 철학 유교 경전 사단칠정 고려 372년 285년 권근 김장생 서경덕 송시열 이이 이황 정도전 정이 주돈이 공자 곽종석 권상하 권제 기대승 기정진 김석주 김성일 김시습 김안국 김자점 김집 동중서 마희경 성혼 송익필 송준길 순자 신 사임당 안향 안회 어숙권 왕양명 왕인 류성룡 윤선도 윤증 윤휴 이색 이언적 이지함 이항복 임성주 자사 정경세 정몽주 정엽 정호 조식 조헌 주희 차천로 최명길 최충 최치원 조선 태조 조선 태종 한원진 허목 황진이 효종 허엽 박순 권부 이덕홍 민유중 윤선거 장재 정탁 허적 이우 한교 민순 임의백 황준량 태학 화곡서원 격몽요결 경연일기 경제문감 고려사 도산십이곡 사서율곡언해 삼봉집 성학집요 송자대전 율곡전서 조선경국전 화담집 양촌집 입학도설 퇴계전서 제1차 왕자의 난 경신환국 갑술환국 조선 효종의 북벌 계획 도산 서원 숭양 서원 화양 서원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이이 (5) 백과 성리학 (4) 백과 이언적 (4) 백과 김성일 (3) 백과 류성룡 (3) 백과 영남 학파 (3) 백과 기대승 (2) 백과 기정진 (2) 백과 기호 학파 (2) 백과 도산 서원 (2) 백과 도산십이곡 (2) 백과 서경덕 (2) 백과 유교 (2) 백과 이기론 (2) 백과 정구 (2)
▣ 백과사전
성리학에서 이와 기의 결합으로 모든 존재의 생성과 변화를 설명하는 성리학이론.
 
중국 사상사에서 세계와 현실 존재에 대한 해명은 노장(老莊)의 자연적 세계관과 후기 음양 오행으로 대표되는 기적 세계관(氣的世界觀)이라는 흐름과 선진(先秦)의 천(天)과 《주역》의 태극을 세계의 근원자로 보는 흐름, 두 흐름이 있다.
 
성리학의 이기론은 불교의 이사론(理事論)의 영향 아래에서 이 두 흐름을 종합한 것이기 때문에 처음부터 강한 이원론적 성격을 갖게 되었다. 이와 같은 이기이원론은 주돈이(周敦頤)정이(程頤)를 거쳐 [주희|주희(朱熹)]]에 이르러 완성되었다.
 
다만 서양의 이원론이 신과 세계, 정신과 육체 등 통일될 수 없는 상호 대립적인 두 요소로 이루어진 것임에 비해, 성리학의 이기이원론에서는 이기의 두 요소를 상대적인 동시에 상수적(相須的)인 것으로 본다는 데 그 특징이 있다.
 
성리학에서 이는 존재가 존재이게 하는 소이연(所以然)의 원리며, 동시에 변화 속에서 자기동일성을 유지하게 하는 존재의 본질(性)이다. 이에 비해 기는 소이연의 이가 존재화하는 데 갖추어야 할 터전이며, 동시에 현실 존재의 구체적이고 물질적인 구성 요소다.
 
그러나 이처럼 서로 달리 규정되는 이와 기는 현실 존재에서는 서로 분리되어 존재하지 않는다. 이러한 이기의 관계를 ‘하나이면서 둘이며, 둘이면서 하나(一而二 二而一)’라고 표현하며, 그 하나임을 불리(不離)라 하고 그 둘임을 부잡(不雜)이라 한다.
 
그런데 성리학의 이기론은 단순히 존재 세계에 대한 해명에 그치지 않는다. 그것은 오히려 인간 존재에 대한 해명을 위해 제기된 것이며, 더 나아가서는 인간의 가치 체계를 근거지워 주기 위해 생겨난 것이기 때문에, 여기에서 많은 논리적인 문제가 파생하게 되었다. 그 중에서도 이기관계에 있어서 생성론적인 선후(先後)의 문제와 가치론적인 경중(輕重)의 문제가 가장 대표적인 것이라 할 수 있다.
 
순수한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보면 이기의 관계는 그들이 현실 존재 속에서 분리될 수 없기 때문에 불상리(不相離)다. 한편, 이선기후(理先氣後)와 이중기경(理重氣輕)을 내세워 이기의 불상잡(不相雜)을 강조하는데 강한 가치론적인 시각이 표출된다. 이렇게 보면 주희에 의해 확립된 이기이원론은 사실상 이 우위(理優位)를 전제한 이기이원론임을 알 수 있다.
 
여기에 주자학의 강한 이념성의 근거가 있고, 동시에 후기 성리학이 관념성과 공소성으로 흘러 기학파(氣學派)의 반격을 받게 되는 이유가 있다.
 
한국 성리학의 흐름에서도 초기에는 주희의 같은 이 우위적 이기이원론이 주류를 이룬다. 초기 성리학 형성에 큰 공헌을 한 정도전(鄭道傳)권근(權近)의 이선기후의 입장이나, 한국 성리학의 최고봉이라 할 수 있는 이황(李滉)의 이존기비(理尊氣卑)의 주장이 그 대표적인 예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기에 대한 이의 능동성과 주재성(主宰性)을 강조한 이황의 이원론적인 시각은 그 뒤 이현일(李玄逸)·이상정(李象靖)·이진상(李震相)영남학파로 이어져 이일원론으로 전개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가치론적인 흐름을 부정하지 않으면서도 존재론적인 관점에서 이기의 불리(不離)를 강조하는 학자로서는 이이(李珥)를 들 수 있다. 보통 그는 서경덕(徐敬德)의 기철학에서 영향을 받은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이기론은 존재론과 가치론을 함께 아우르는 주자학의 이중적 성격을 나름대로 계승한 것이다. 이 때문에 그의 이기론은 이기일원론으로 불리기도 한다. 그의 이기론은 김장생(金長生)·송시열(宋時烈)을 거쳐 기호학파에 정통적으로 계승된다.
 
【인용】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