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남해안 별신굿(-)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남해안 별신굿 (-)
(중요 무형 문화재 제82호) 거제도와 충무를 중심으로 하여 한산도·욕지도·갈도·사량도 등 남해안 지역에서 행해지는 마을 풍어제의 하나.
▣ 지식지도
◈ 지식지도
남해안 별신굿 (-) 굿 별신굿 놀이 내림굿 다리굿 두린굿 무당 무악 샘굿 영등굿놀이 지노귀굿 배뱅이굿 동해안 별신굿 띠뱃굿놀이 은산 별신제 하회 별신굿탈 놀이
▣ 시민참여콘텐츠
◈ 인기순 (1 ~ 4 위)
2024.02.01
갑진년 새해맞이 첫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 실시
【문화】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함께 푸른 용의 해인 갑진년(甲辰年) 설을 맞아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를 개최한다.【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
2020.01.22
2020년 경자년 첫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개최
【문화】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이 지원하는 국가무형문화재 1~2월 공개행사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의 진행으로 서울, 부산, 구례, 부안, 강릉, 통영 등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전승지원과】
◈ 등록순
2024.02.01
갑진년 새해맞이 첫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 실시
【문화】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최영창)과 함께 푸른 용의 해인 갑진년(甲辰年) 설을 맞아 <국가무형유산 공개행사>를 개최한다.【국립무형유산원, 전승지원과】
2020.01.22
2020년 경자년 첫 국가무형문화재 공개행사 개최
【문화】 국가무형문화재의 보전과 진흥을 위해 문화재청 국립무형유산원(원장 김연수)이 지원하는 국가무형문화재 1~2월 공개행사가 한국문화재재단(이사장 진옥섭)의 진행으로 서울, 부산, 구례, 부안, 강릉, 통영 등 전국 각지에서 펼쳐진다.【전승지원과】
▣ 참조 카달로그
◈ 참조 키워드
동해안 별신굿 (4) 백과 가망굿 (2) 강릉농악 (2) 구례잔수농악 (2) 김용호 (2) 백과 위도띠뱃놀이 (2) 은산 별신제 (2) 백과 통영시 (2) 백과
▣ 백과사전
거제도와 충무를 중심으로 하여 한산도·욕지도·갈도·사량도 등 남해안 지역에서 행해지는 마을 풍어제의 하나.
 
해안 지역을 중심으로 행해지는 풍어제는 어민들이 고기를 잘 잡기를 기원하고, 동시에 마을의 평안함을 기원하는 행사를 말한다. 해안 지역의 풍어제 중에서도 별신굿은 동해안과 남해안의 일부 지역 에만 전승되어 온 마을 제의로, 세습무인 사제무가 굿을 주관하는 것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3년에 한 번씩 굿을 벌이는 것이 보통이며, 마을에 따라 1년 또는 2년에 한 번씩 굿을 하기도 한다. 굿을 벌이는 시기는 음력 정월 초하루부터 정월 보름 사이이며, 보통의 마을에서 지내는 동제(洞祭)는 마을 수호신에게 제사를 지내지만 풍어제인 별신굿은 여러 신들에게 제사를 지내는 점이 다르다. 굿을 벌이는 '굿당'은 마을 회관 등으로 정해지며, 제물로는 밥과 떡, 생선전, 생선찜, 생선포, 나물, 3색 과일 등이 준비된다. 동해안 별신굿에 비해 제물을 간단히 차리는 편인데, 각 가정마다 제물을 한 상씩 차려 내놓는 것이 특이한 볼거리를 제공해 준다.
 
굿의 순서는 마을 수호신 에게 무당이 인사드리는 들맞이→당산 할아버지를 맞이하는 당산굿→ 마을 사람들의 무병 장수를 기원하는 일월맞이굿→바다에서의 안전과 풍어를 기원하는 용왕굿→굿당의 부정을 쫓고 청결하게 하는 부정굿→조상들을 모시고 대접하는 가망굿→천지풍신에게 풍어와 풍농, 자손의 번영을 기원하는 제석굿→ 팔도의 서낭님에게 가업의 창성을 기원하는 서낭굿→ 마을의 굿장모가 별신굿을 주관하는 무당 대신 대를 잡고 마을에 공수를 내려주는 대굿→손굿(손님굿)→마마신으로 인해 공포에 떠는 일이 없도록 기원하는 손풀이→마마신의 노여움을 풀어 주는 굿인 동살풀이→ 바다에서 죽은 사람들이 극락으로 가도록 기원하는 염불굿→죽은 굿선생님들을 위한 군웅굿→잡귀와 잡신들에게 제물을 먹여 보내는 거리굿 순으로 진행된다.
 
이와 같은 순서로 행해지는 남해안 별신굿은 동해안 별신굿 과 함께 민간 신앙의 오랜 전통을 지닌 것으로, 예술성과 놀이성이 뛰어난 우리 민족의 문화 유산이다.
 
1987년 중요 무형 문화재 제82호인 풍어제의 일부로 지정되었지만, 오늘날 남해안 별신굿은 거제도를 중심으로 하여 겨우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일제 강점기 이후로 민간 무속 신앙 등을 천시하는 풍조가 생겨나면서 세습무인 사제무 계승이 어려움을 겪어 왔고, 특히 남부 지방에서는 무당을 '당골'이라고 부르며 이들을 천시하는 경향이 강했기 때문에 별신굿을 주관할 무당이 아주 드물게 존재할 수밖에 없었다. 이로 인해 남해안 별신굿을 행하는 풍속은 남해안의 일부 지역 에만 한정되어 전해 온 것이다.
 
남해안 별신굿의 기능 보유자로는 정모련이 인정되었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 원문/전문 (없음)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