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학교(學校)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학교 (學校)
일정한 목적 아래 정해진 장소에서 교육자가아동, 학생들에게 일정한 교재를 사용하여 조직적, 계획적으로,그리고 계속적으로 교육을 베푸는 시설.
▣ 지식지도
◈ 지식지도
학교 (學校)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조선 제일 학생 많은 곳 근/현대 수필 방정환 (4)
▣ 백과사전
일정한 목적 아래 정해진 장소에서 교육자가 아동, 학생들에게 일정한 교재를 사용하여 조직적, 계획적으로, 그리고 계속적으로 교육을 베푸는 시설. 문화의 발달과 사회 생활의 복잡화로 자녀 교육을 가정과 사회에서만 감당할 수 없게 되어 교육을 하기 위한 특별한 기관으로 학교가 생겨났고, 또 학교 교육이 발달하게 되었다.
 
[발생]
중국에서나 우리 나라에서는 예로부터 학교라는 말은 별로 사용하지 않았다.
 
오늘날의 학교에 해당하는 교육 기관 은 태학, 학관, 당(堂), 원(院), 숙(塾), 학사(學舍), 학원 등의 이름으로 불렸다.
 
영어의 스쿨(school)은 그리스어의 스콜레(scholè), 라틴어의 스콜라(schola)에서 나온 말로서 본디 `한가(閑暇)'를 뜻하는 말이었다. 곧 그리스의 한가한 자유민들이 음악장이나 체육장에서 음악이나 체육을 즐기며 시간을 보내거나 아카데미 등에서 학예를 닦기도 했는데, 바로 그러한 장소를 가리켰던 말이다.
 
[발달 과정]
학교의 발달 과정은 동서양이 모두 고등 교육을 실시하는 대학이 먼저 생겼고, 초등 교육은 가장 늦게 발달하였다. 유럽의 경우를 보면 대학은 이미 중세에 발달하였는데, 초등 교육은 18세기 이후에 발달하였다. 우리 나라에서 처음으로 세워진 교육 기관은 고구려의 소수림왕 2년(372년)에 나라에서 세운 태학(太學)이다. 그리고 장수왕 15년(427년)에는 사학인 경당이 생겨났다. 신라 시대에는 신문왕 2년(682년)에 국학(國學)이 세워졌고, 고려 성종 때(992년경)에는 국자감 (國子監)이 있었다. 조선 시대에는 교육 기관이 크게 발전하여 서울에 최고 학부인 성균관(成均館)을 두고, 중등 학교 에 해당하는 4부 학당과 향교를 설치했으며, 그 아래에 사립 초등 학교격인 서당이 있었다. 근대에 접어들어 1886년에 신학문 교육 기관으로 육영 공원이 세워졌고, 갑오개혁 이후 새 교육 제도에 따라 여러 공립 학교가 세워졌다.
 
[종류]
우리 나라에서는 설립과 유지의 주체에 따라 국립 학교, 공립 학교, 사립 학교로 나눈다. 그리고 교육의 정도에 따라 초등 교육, 중등 교육 및 고등 교육의 단계로 나누기도 한다. 또 교육 목적으로 보면 초등 보통 교육을 베푸는 국민 학교, 중등 보통 교육을 베푸는 중학교, 고등 보통 교육 및 전문 교육을 베푸는 고등 학교, 전문적인 학예를 연구하고 지도적인 인격을 갖추게 하는 대학 등이 있다.
 
[ 교육의 의의]
학교란 인격 형성을 위해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교육이 베풀어지는 곳이다. 실제로 사회가 영위하는 모든 기능에 참가할 수 있게 함을 목표로 삼아 어린이들이나 청소년들의 학습을 이끌어 가며, 일정한 성과를 기대하는 의식적인 작용이 곧 교육이다. 이와 같은 교육은 정형화(定型化)된 것과 정형화되지 못한 것으로 구분할 수 있다. 곧 가정의 생활 양식에 따른 예법이나 지역 사회의 관습이나 행사 등을 통하여 어린이들을 훈련하는 것이라든지, 매스 커뮤니케이션 의 교육 등은 의식적인 것이라고는 해도 정형화된 교육 은 아니다. 정형화된 교육은 학교 교육에서 베풀어진다. 따라서 학교 교육은 ` 사회의 주요한 모든 기능의 재분배라는 기능을 의도적, 조직적으로 수행하는 제도' 라고 정의할 수 있다.
 

시설

학교 시설이란 학교 교육을 위해서 마련된 모든 시설과 땅을 말하며, 좁은 뜻으로는 시설 곧 학교 건축만을 가리킨다. 학교 시설은 학교의 모든 기능 곧 다양한 학습의 장소로서 또 향토 학교로서의 기능을 다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현재와 장래를 위하여 학생과 지역 사회에 도움을 줄 수 있고, 학교 계획을 원만히 이룰 수 있도록 설비를 갖추게 된다.
 

제도

교육 활동을 능률적, 합리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교육 제도 중에서 학교에 한정된 것이 학교 제도이다. 일반적으로 학교 제도는 보통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그 하나는 복선형(複線型 : 유럽형)으로, 지도자 계층의 학교 계통과 일반 시민 계층의 학교 계통이 분리되어 있는 제도이다. 다른 하나는 단선형(單線型 : 미국형)이라고 하는 것으로, 전 국민에게 단일 학교 제도가 적용되는 것이다. 우리 나라의 학교 제도는 단선형에 속한다.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없 음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