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1 |
ENCY040920 |
윤두수 (尹斗壽)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533 ~ 1601] 조선 중기의 문신(文臣)·정치인이자 성리학자, 작가, 시인이며, 서인(西人)의 일원이다. 본관은 해평(海平), 자는 자앙(子仰), 호는 오음(梧陰),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서인 중진 문신으로, 서인 중 몇 안되는 이황학파 사람이었다.
|
|
1082 |
ENCY028894 |
윤백남 (尹白南)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888 ~ 1954] 소설가, 극작가, 연극 영화인. 본래의 이름은 교중(敎重)이며, 충남 공주에서 태어났다.
|
|
1083 |
ENCY028896 |
윤보선 (尹潽善)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897 ~ 1990] 대한민국 제4대 대통령. 정치가.
|
|
1084 |
ENCY028898 |
윤봉길 (尹奉吉)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심화항목
|
[1908 ~ 1932] 항일 의사.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중장을 받았다.
|
|
1085 |
ENCY040599 |
윤선거 (尹宣擧)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610 ~ 1669] 조선시대 후기의 유학자, 시인, 정치인이다. 자는 길보(吉甫), 호는 미촌(美村)·노서(魯西)·산천재(山泉齋)이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다. 충청남도 출신으로 김장생, 김집(金集)의 문인이다. 시호는 문경(文敬)이다.
|
|
1086 |
ENCY028900 |
윤선도 (尹善道)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심화항목
|
[1587 ~ 1671] 조선 중기의 문신, 시조 작가. 호는 고산(孤山) 또는 해옹(海翁)이다. 그는 시조에 뛰어나 정철의 가사와 더불어 시가사상 쌍벽을 이룬다. 그의 작품은 문집 《고산유고》에 시조 77수와 한시문이 전한다. 작품으로는 『산중신곡』 『속산중신곡』 『어부사시사』 등이 있다.
|
|
1087 |
ENCY028901 |
윤세복 (尹世復)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884 ~ 1960] 독립 운동가. 본래 이름은 세린(世麟)이고, 호는 단애(檀崖)이다. 경남 밀양 출신. 1923년에는 대종교 제3세 교조가 되었다. 1962년에 대한 민국 건국 공로 훈장 단장을 받았다.
|
|
1088 |
ENCY028902 |
윤순 (尹淳)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680 ~ 1741] 조선 시대의 문신, 서예가. 호는 백하(白下) 또는 학음(鶴陰)이다.
|
|
1089 |
ENCY028903 |
윤심덕 (尹心悳)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897 ~ 1926] 가수. 그는 일반 대중 유행 가수가 되어 많은 인기를 얻게 되고, 방송과 언론에 의해 레코드를 취입하게 되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곡은 《사(死)의 찬미]]》로 열광적인 인기를 모았다.
|
|
1090 |
ENCY028906 |
윤용하 (尹龍河)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921 ~ 1965] 작곡가.
|
|
1091 |
ENCY028907 |
윤원형 (尹元衡)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503 ~ 1565] 조선 중기의 외척이자 문신으로, 파산부원군 윤지임과 전성부부인 전의 이씨(全城府夫人 全義李氏)의 다섯째 아들이자 윤원량·윤원로 문정왕후의 동생이며 소윤(小尹)의 영수이다.
|
|
1092 |
ENCY028908 |
윤은보 (尹殷輔)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468~1544] 조선 중기의 문신.
|
|
1093 |
ENCY028909 |
윤의립 (尹毅立)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568~1643 조선 시대의 문신.
|
|
1094 |
ENCY028910 |
윤이상 (尹伊桑)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917 ~ 1995] 현대 음악의 5대 거장으로 꼽히는 재독 한국인 작곡가. 1995년 11월 4일 타계하였다.
|
|
1095 |
ENCY028911 |
윤임 (尹任)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487 ~ 1545] 조선 중종 때의 문신. 대윤(大尹)의 우두머리이다. 자는 임지(任之). 중종의 장인인 파원 부원군 윤여필(尹汝弼)의 아들이며, 중종의 제1계비인 장경 왕후의 오빠이다.
|
|
1096 |
ENCY028912 |
윤자운 (尹子雲)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416 ~ 1478]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낙한재(樂閒齋)이고, 시호는 문헌(文憲)이다. 1467년에 '이시애의 난'을 진압하였다.
|
|
1097 |
ENCY028914 |
윤증 (尹拯)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629 ~ 1714] 조선 중기의 학자. 호는 명재(明齋)·유봉(酉峯)이고, 시호는 문성(文成)이다.
|
|
1098 |
ENCY028916 |
윤지당 임씨 (允摯堂任氏)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 ~ ?] 조선 중기의 여류 문인.
|
|
1099 |
ENCY028917 |
윤지충 (尹持忠)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759 ~ 1791] 조선 말기의 천주교 순교자. 세례명은 바오로이다. 정약용의 외사촌으로 전라도 진산의 양반 집안에서 태어나 1783년(정조 7년)에 진사가 되었다. 1791년에 어머니가 죽자 천주교 의식에 따라 위패를 폐하고 제사지내지 않은 것이 관가에 알려져 불효·불충·악덕의 죄로 사형당하여 우리 나라 천주교 사상 최초의 순교자가 되었다.
|
|
1100 |
ENCY028918 |
윤집 (尹集)
|
인물 : 인물(대한민국)
|
|
미지정
|
[1606~1637] 조선 중기의 문신. 3학사의 한 사람으로 호는 임계(林溪), 또는 고산(高山)이고, 시호는 충정(忠貞 이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