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백과사전 >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문학/예술/체육
자 료 실
지식 분류
문학
예술
체육
about 문학/예술/체육


 

일치 근접
 

 ◇ 구성 목록 ◇
 
 
 
 
 
카테고리 (문학/예술/체육 > 문학) 에서 검색
전체검색결과 : 21    현재페이지 : 1 / 2
 
1 ENCY040799 고대 가요 (古代歌謠)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우리 민족의 역사가 시작하는 시대부터 향찰 표기의 향가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존재하였던 시가를 총칭한다. 「구지가(龜旨歌)」,「황조가(黃鳥歌)」, 「공무도하가(公無渡河歌)」 등 이 있다.
2 ENCY040492 고대 그리스 문학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일반항목
3 ENCY003854 국문 소설 (國文小說)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한글로 쓴 소설. 갑오개혁 이전에 나온, 한글로 된 소설을 한문 소설에 상대하여 이르는 말이다. 《홍길동전》 《구운몽》 등이 있다.
4 ENCY003858 국문학사 (國文學史)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국문학이 생겨난 이후 현대에 이르기까지의역사, 또는 그것을 기록한 책.
5 ENCY040325 궁중 문학 ( )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궁궐 안에서 일어난 일들이나 생활을 내용으로 한 문학. 또는 궁중의 귀인(貴人)이 지은 작품. 혜경궁 홍씨의 《한중록》, 《인현왕후전》, 《계축일기》등이 이에 속한다.
6 ENCY006166 남원고사 (南原古詞)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한글로 씌어진 《춘향전》의 여러 이본, 즉 내용이나 글자가 일정한 표준이 되는 원본과 약간씩 다른 판본들 중 한 가지. 필사본이며, 5권의 책으로 이루어져 있다. 지은이는 누구인지 정확히 알 수 없으며, 1864~1869년에 기록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7 ENCY007508 단시조 (短時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 종류 중의 하나. 시조란 우리의 민족적인 정서가 짙게 배어 있는 우리 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시가 형식을 말한다.
8 ENCY040268 만년장환지곡 (萬年長歡之曲)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일반항목 조선 상류사회에서 즐기던 시조, 가사와 더불어 정가(正歌)에 속한다. 일명 가곡이라고도 부르며, 중요 무형문화재 제30호로 지정되어 있다.
9 ENCY018891 사설 시조 (辭說時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 형식의 한 가지. 초장, 중장, 종장의 3장 중 어느 2장이 평시조보다 긴 형식의 시조이다. 장형 시조라고도 한다.
10 ENCY040746 슈투름 운트 드랑 (Sturm und Drang)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1765년에서 1785년에 걸쳐 독일에서 일어난 문학운동. '질풍(疾風)과 노도(怒濤)'로 번역된다.
11 ENCY025723 엇시조 (--時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 형식의 한 가지. 중형 시조, 반사설 시조, 농시조(弄時調)라고도 한다.
12 ENCY026081 여창 지름시조 (女唱----時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의 한 종류로 여성이부르는 시조.
13 ENCY040941 연시조 (連時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의 한 종류.
14 ENCY040913 오타바 리마 (ottava rima)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8행시라고도 함. 8개의 11음절 행으로 이루어져 있고, abababcc의 운을 밟는 이탈리아의 시절 형식.
15 ENCY040497 월북작가 (越北作家)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일반항목 대한민국 광복 이후 삼팔선이나 휴전선 이북으로 넘어간 작가.
16 ENCY040621 유배 가사 (流配歌辭)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일반항목 귀양지를 소재로 하거나 귀양지에서 지은 가사작품. 우리나라 시가 문학 사상 최초의 유배시가는 고려 의종 때 정서(鄭敍)의 『정과정곡』을 들 수 있으나, 조선시대 가사문학에 있어서는 조위(曺偉)가 무오사화 때 전라도 순천에 유배되어 그곳에서 지은 『만분가』가 그 효시라고 알려져 있다.
17 ENCY030670 장가 (長歌)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를 단가(短歌)라고 하는 데 대하여 가사(歌辭)를 이르는 말.
18 ENCY033568 중허리 시조 (中----時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를 음악 형태상으로 구별한 명칭. 중거 시조라고도 한다.
19 ENCY033748 지름 시조 (----詩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를 창법상으로 구별한 명칭. 두거 시조 또는 삼수(三數) 시조라고도 한다.
20 ENCY037440 평시조 (平時調) 지식 : 문학/예술/체육 > 문학
미지정 시조 형식의 한 가지. 초장이 3·4·3(4)·4자, 중장이 3·4·3(4)·4자, 종장이 3·5·4·3자로 글자 총수 45자 안팎으로 이루어지는 가장 기본적이고 대표적인 시조 형식이다.

이전  |  [1] [2|  다음 

 

일치 근접
 

▣ 상위 디렉터리
(C) 지식 분류
지식일반
인문과학
사회과학
자연과학
기술과학
의학/약학
산업
생활
종교/신화
문학/예술/체육
©2004 General Libraries

페이지 최종 수정일: 2016년 6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