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도통가(道統歌) ◈
카탈로그   본문  
1748년
권섭(權燮)
1
도통가(道統歌)
 
 
2
양의(兩儀)와 일태극(一太極)이 상승상수(相乘相隨) 하였으니
3
누가 이 조화(造化)를 이름지어 버렸는고
4
건곤(乾坤)이 나누어져 자축(子丑)이 개벽(開闢)하니
5
성인(聖人)이 출생하여 모든 백성의 주재자가 되도다
6
삼황(三皇)의 혼돈세계(混沌世界) 태고(太古)의 희호(熙皞)가 되니
 
7
* 兩儀(양의) : 음(陰)과 양(陽). 또는 하늘과 땅.
8
* 一太極(일태극) : 성리학에서 존재와 가치의 근원이 되는 궁극적인 실체.
9
* 相乘相隨(상승상수) : 상승(相乘)은 곱셈을 말하고 상수(相隨)는 서로 따른다는 뜻. 두 수를 곱한 것처럼 서로 의지하여 떨어지지 않음을 말함.
10
* 乾坤(건곤) : 하늘과 땅을 말함. 천지가 처음으로 생김을 말함.
11
* 三皇(삼황) : 중국 고대 전설상의 세 임금. 대체로 수인씨(燧人氏)·복희씨(伏犧氏)·신농씨(神農氏)를 가리킴.
12
* 混沌世界(혼돈세계) : 천지가 개벽할 때에 사물의 구별이 뚜렷하지 아니한 세계.
13
* 熙皞(희호) : 임금과 신하와 백성이 화락하게 잘 지내는 것.
 
 
14
사오제(四五帝) 나신 후(後)에 인문(人文)이 우뚝하여
15
주거의식(舟車衣食)으로 온갖 물품이 갖추어 지니
16
하늘처럼 넓디넓어 입으로 형용(形容)할까
17
당우(唐虞)의 온화하고 겸손함 어이하여 그만하고
18
하우씨(夏禹氏) 은왕성탕(殷王成湯)이 자손대대로 전했던가?
19
슬프다 백이숙제(伯夷叔齊)는 천명(天命)을 모르던가
20
문무주공(文武周公)의 지난 일이 몇 해나 되었는가
21
이구산(尼丘山) 저 기운(氣運)이 큰 성인을 낼 것이면
22
천심(天心)이 어떠하여 소왕(素王)이 되시었는가
23
천하(天下)를 철환(撤還)한들 큰 도를 펴시겠는가
24
마지막 말씀은 어이하고 빈 말을 드리었느냐
25
제자 삼천 명 중에 칠십 제자들은 어떻던고
26
높고 높으신 네 아성(亞聖)이 계통을 이으시니
 
27
* 舟車衣食(주거의식) : 생활필수품 일체를 말함.
28
* 唐虞(당우) : 중국의 도당씨(陶唐氏)와 유우씨(有虞氏)로 요순시대를 함께 이르는 말로 태평시대를 뜻함.
29
* 夏禹氏(하우씨) 殷王成湯(은왕성탕) : 하우씨(夏禹氏)는 중국 하(夏)나라의 우(禹)임금을 이르는 말이고 은왕성탕(殷王成湯)은 은(殷)나라 탕왕(湯王)을 말하는 것으로 모두 중국 고대 태평성대를 이르는 성군임.
30
* 伯夷叔齊(백이숙제) : 은나라 고죽군의 두 아들 은자의 대명사. 성군인 주 무왕이 은 주왕(紂王)을 멸하자 신하가 천자를 토벌한다고 반대하며 주나라의 곡식을 먹기를 거부하고 수양산에서 굶어 죽은 일이 있음.
31
* 文武周公(문무주공) : 주나라의 문왕과 무왕. 그리고 무왕의 아들 성왕을 도와 주의 태평성대를 계승했던 주공을 말함.
32
* 尼丘山(이구산) : 중국 산동성(山東省) 곡부현(曲阜縣) 동남에 있는 산으로 공자가 탄생한 곳임.
33
* 素王(소왕) : 왕자는 아니나 왕자의 덕을 갖춘 사람으로 여기서는 孔子를 말함.
34
* 撤還(철환) : 수레를 타고 돌아다님.
35
* 四亞聖(네 아성) : 네 사람의 아성. 아성은 성인 다음가는 큰 현인을 말함. 여기서는 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를 말함.
 
 
36
제(齊)와 양(梁)이 떨어져 있으니 맹자(孟子)인들 어찌하리
37
주염계(周濂溪)와 두 정자(程子)가 자양(紫陽)에 전(傳)하시니
38
예악문물(禮樂文物)이 갖추기도 갖추어졌구나
39
일심(一心)의 천덕왕도(天德王道)가 다름이 있겠는가
40
이륜(彛倫)과 경의(經義)를 등한(等閑)하게 의론(議論)할까
41
넓고 아득한 이 세상(世上)이 말세가 되었으니
42
오백년(五百年)의 큰 현인을 또 어디 가서 얻어올꼬
43
낙락(落落)히 쇠퇴한 사업 누가 이어내겠나
44
고려 말(高麗末) 우리나라 초에 서너 현인 일어나니
45
주자(朱子)와 공자(孔子)의 도(道)를 사람마다 알겠구나
46
당당(堂堂)한 예절과 의리의 나라 성중(城中)에 또 있는가
47
화산(和山)에 재배(再拜)하니 구교팔조(九敎八條)가 어제와 같다
48
신공(神功)과 성덕(聖德)이야 바라나 볼 것이고
49
엄숙한 오군자(五君子)는 잔병이 있고 없고
50
참담(慘憺)한 백륙운(百六運)이 선인(善人)에게 무슨 재앙인가
 
51
* 齊(제) 梁(양) : 제와 양은 중국 남북조(南北朝) 시대 남조의 대표적인 두 나라로 맹자가 전국시대 때 두 나라를 다니며 유학을 설파하였던 일을 뜻함.
52
* 周濂溪(주염계) : 송(宋)대의 학자이자 성리학의 시조인 주돈이(周惇頤)를 말함. 염계는 그의 호.
53
* 二程子(두정자) : 북송 때의 성리학자인 정명도(程明道)와 정이천(程伊川) 형제를 말함.
54
* 紫陽(자양) : 송나라 때 주자가 세운 서원이 있던 곳.
55
* 禮樂文物(예악문물) : 예악과 문물. 성리학에서는 예악의 예는 사회의 질서를 바로 잡고, 악은 인심을 화락하게 한다고 해서 중요하게 여겼음.
56
* 天德王道(천덕왕도) : 공자는 천도(天道)를 주장했고, 맹자는 왕도(王道)를 주장한 것을 말함.
57
* 彛倫(이륜) 經義(경의) : 이륜은 사람으로 떳떳이 지켜야 할 도리인 人倫을 말하고 경의는 경전의 뜻을 말함.
58
* 九敎八條(구교팔조) : 기자가 구교와 팔조로 백성을 교화한 것을 말함.
59
* 百六運(백륙운) : 재액을 당할 운수.
 
 
60
서남(西南)의 두 큰 현인(大賢)이 일대(一代)에 일어나시니
61
하늘이 이 도를 아니 돕는다 못할것이다
62
소이발(所以發) 사물을 비추는 한 마디가 밝고 밝아
63
신기(新奇)한 이 큰 공(功)이 사우간(師友間)에 발휘(發揮)하니
64
태극극면(太極極面) 날 생자(生字)를 누가 시비(是非)하리
65
성학집요(聖學輯要)) 한 책자는 일생(一生)의 정력(精力)이라
66
명목(名目)도 기특(奇特)하고 차서(次序)도 좋을시고
67
그 끝에 늙은 선생(先生)이 사숙(私淑)하여 나왔단 말인가
68
일백권(一百卷) 지은 글이 편편(篇篇)마다 주자(朱子)로다
69
망극(罔極)한 큰 화근(禍根)에 문병(門屛)이 일어나니
70
천지간(天地間) 일직자(一直者)를 후학(後學)에 맡기었구나
71
화양(華陽) 만동묘(萬東廟)를 뜻 받아 지으시니
72
만고(萬古)의 강상(綱常)이 떨어질 일 있겠는가
73
유풍(遺風)이 점점(漸漸) 멀어지고 시속(時俗)이 차차(次次) 져무니
74
한 맥(脈)의 우리 도(道)는 어디다 붙여 놓을까
 
75
* 兩大賢 : 서쪽에 퇴계 이이가 있고, 남쪽에는 이황이 살았다는 사실로 서남의 대현이라고 한 것임.
76
* 所以發(소이발) : 이이의 기발이승일도설(氣發理乘一途說)을 뜻함.
77
* 聖學輯要(성학집요) : 이이의 저서로 1575년(선조 8) 제왕의 학문 내용을 정리해 바친 책.
78
* 늙은 先生 : 송시열(宋時烈)을 말함. 송시열이 이이의 학통을 이은 것을 뜻함.
79
* 私淑(사숙) : 직접 가르침을 받지는 않았으나 마음속으로 그 사람을 본받아서 도나 학문을 닦음.
80
* 罔極(망극)한 大禍根(대화근) : 숙종 때(1689년) 왕세자 책봉문제로 송시열이 제주도로 유배를 가고 사약을 받게 된 일을 말함.
81
* 門屛(문병) : 대문이나 중문 안에 가로 막은 담으로 여기서는 송시열 일문을 말함.
82
* 天地間(천지간) 一直者(일직자) : 주자의 정신을 이어받은 송시열이 제자 권상하에게 전수한 “직자결”의 가르침에서 온 말임.
83
* 華陽(화양) 萬東廟(만동묘) : 송시열이 권상하에게 유언하여 세워진 사당으로 1717년에 명나라 신종(神宗)을 위한 사당. 충북 청천면 화양동에 있음.
84
* 綱常(강상) : 사람이 행해야 할 도덕으로 삼강과 오상.
 
 
85
책상머리에 앉아서 할 일이 전혀 없어
86
시경, 서경, 중용, 대학과 공자, 맹자 각 칠 편에
87
심경(心經), 근사록(近思錄)과 희문(羲文)의 큰 주역과
88
인경(麟經)의 대일통(大一統)과 강목(綱目)의 존양(尊攘)의 뜻을
89
반복(反復)하여 뒤적이고 부채질하며 읽은 말이
90
구름 연기 막막(漠漠)하고 일월(日月)이 창창(蒼蒼)하니
91
희허(戱歔) 탄식(歎息)하고 대지팡이 하나에 기대서서
92
천만 겹(千萬疊) 녹수청산(綠水靑山)에 단심가(短長歌)를 부르노라
 
93
* 羲文(희문) : 주역의 8괘를 만든 복희씨와 후대에 주역의 괘사와 팔괘도 등을 만들어 주역을 다듬은 주 문왕을 말함.
94
* 麟經(인경)의 大一統(대일통) : 인경은 공자가 쓴 역사서 《춘추(春秋)》의 별칭이며 대일통은 일통(一統)을 중히 여긴다는 의미로 《춘추(春秋)》에서 나온 말.
95
* 綱目(강목)의 尊攘(존양) : 강목은 주희가 편찬한 《자치통감강목(資治通鑑綱目)》의 별칭이며 존양은 왕실을 높이고 오랑캐를 물리친다는 존왕양이(尊王攘夷)를 말함.
【원문】도통가(道統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12
- 전체 순위 : 2600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147 위 / 26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도통가 [제목]
 
  권섭(權燮) [저자]
 
  # 옥소고 [출처]
 
  1748년 [발표]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도통가(道統歌)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8월 24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