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춘면(春眠)을 느지여 죽창(竹窓)을 반(半開)
3
뎡화(庭花)난 작작(灼灼)데 가는나뷔 머무 듯
4
안류(岸柳) 의의(依依)하여 성근랄 여세라
5
창젼(窓前)에 덜괸 술를 일이삼(一二三盃) 먹은후에
6
호탕(浩蕩)한 미친 흥(興)을 부질업시 자아여
7
마금편(白馬金鞭)으로 야유원(冶遊園) 차자가니
8
화향(花香)은 습의(濕衣)고 월(月色)은 만졍(萬庭)데
9
광(狂客)인 듯 취(醉客)인 듯 흥을 겨워 머무 듯
10
희(徘徊) 고면(顧眄)여 유졍(有情)히 섯노라니
11
취와쥬란(翠瓦朱欄) 놉푼 집이 녹의혹상(綠衣紅裳) 일미인(一美人)이
12
사창(紗窓)를 반(半開)고 옥안(玉顔)을 잠간 드러
13
웃는 듯 기는 듯 교(嬌態)하고 마자드러
14
츄파(秋波)랄 암쥬(暗注)하고 녹기금(綠綺琴) 빗기안고
15
쳥가 일곡(淸歌一曲)으로 츈의 자아니
16
운우 양상(雲雨陽臺上)에 초몽(楚夢)이 다뎡(多情)다
19
너는 쥭어 곳치 되고 나는 쥭어 나뷔 되여
20
삼츈(三春)이 디진토록 나사지 마자터니
21
인간에 말이만코 조물(조물)됴차 음야
22
신뎡(新情)이 미흡(未洽)야 달을손 니별이라
23
쳥강(淸江)에 노던 원앙(鴛鴦) 우녜고 나는 듯
24
광풍(狂風)에 놀 봉졉(蜂蝶) 가다가 돌치는 듯
25
셕양(夕陽)은 다져가고 뎡마(停馬)난 자로울제
26
나삼(羅衫)을 뷔여잡고 암연(暗然)이 여흰후에
29
간장(肝臟)이 다셕그니 목숨인들 보젼(保全)랴
30
일신(一身)에 병이되니 만사(萬事)에 무심여
31
서창(書窓)을 구지 닷고 셤셔이 누어스니
32
화용 월(花容月態)는 안즁(眼中)에 심연하고
33
분벽 사창(粉壁紗窓)은 침변(枕邊)이 여귀로다
34
하엽(荷葉)에 노젹(露跡)하니 별누(別淚) 리는 듯
35
류막(柳幕)의 연롱(煙濃)니 유한(遺恨)을 먹음은 듯
37
슬푸다 져소 내말갓치 불여귀(不如歸)라
38
삼경(三更)에 못든잠를 사경말릐 비러드니
39
상사(相思)든 우리님을 가온데 잠간보고
40
천슈만한(千愁萬恨) 못다일너 일장호졉(一杖蝴蝶) 흐터지니
41
아릿온 옥빈홍안(玉鬢紅顔) 겻헤 얼풋 안졋는 듯
42
어화 황홀다 을 시(生時) 삼고지고
43
무침허희(無寢噓犧)야 밧비니러 바라보니
44
운산(雲山)은 쳡첩야 쳔리안(千里眼)을 가리왓고
45
호월(皓月)은 창창야 님 향심에 비초엿다
50
엇그뎨 이월지 녹안변(綠岸邊) 불거터니
56
산두(山頭)에 편월(片月)되여 님의겻헤 빗최고져
57
셕상(石上)에 오동(梧桐)되여 님의무흡 베여보랴
58
옥상(屋上) 됴량(朝陽)에 제비되여 날고지고
59
옥창(玉窓) 도화(櫻桃花)에 나뷔되여 날고지고
60
태산(泰山)이 평지(平地)되고 금강(錦江)이 다마르나
61
평(平生) 슬푼 회포(懷抱) 어듸를 가을리
62
셔즁 유옥안(書中有玉顔)은 나도 잠간(暫間) 드러니
64
장부(丈夫)의 공명(功名)을 일노좃차 알리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