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 차
|
1 장. 1. 한라장촉(漢拏壯囑) |
|
| 1702년(숙종 28) 4월 15일. 당시 제주도에 관한 전반적인 내용과 주변도서에 대한 지식을 알려주고 있는 고지도 |
2 장. 2. 승보시사(陞補試士) |
|
| 1702년(숙종 28) 윤6월17일 이형상 제주목사가 시험관(試官), 제주판관(濟州判官) 이태현(李泰顯)이 부시관(副試官), 대정현감(大靜縣監) 최동제(崔東濟)를 참시관 (參試官)으로 시행한 승보시(陞補試) 시험장(장소: 관덕정)의 모습을 그림. |
3 장. 3. 공마봉진(貢馬封進) |
|
| 1702년 (숙종 28) 6월7일 실시 진상에 필요한 말을 각 목장에서 징발하여 관덕정에서 제주목사가 입회한 가운데 최종적으로 확인하는 광경을 그린 그림 |
4 장. 4. 감귤봉진(柑橘封進) |
|
| 망경루(望京樓) 앞뜰에서 각 종류의 감귤과 한약재로 사용되는 귤껍질을 봉진하는 그림 |
5 장. 5. 귤림풍악(橘林風樂) |
|
| 망경루 후원(後園) 귤림(橘林)에서 풍악을 즐기는 장면을 그린 그림 |
6 장. 6. 교래대렵(橋來大獵) |
|
| 1702년(숙종 28) 10월11일 교래 지경에서 진상을 위한 산짐승과 날짐승을 사냥하는 그림 |
7 장. 7. 산장구마(山場驅馬) |
|
| 1702년(숙종 28) 10월15일 산장에서 말을 몰아 일정한 장소에 모으고 그 수를 확인하는 그림 |
8 장. 8. 성산관일(成山觀日) |
|
| 1702년(숙종 28) 7월13일 성산일출봉에서 해뜨는 광경을 바라보고 있는 그림 |
9 장. 9. 우도점마(牛島點馬) |
|
| 1702년(숙종 28) 7월13일 우도 목장 내에 있는 말을 점검하는 그림 |
10 장. 10. 화북성조(禾北城操) |
|
| 1702년(숙종 28) 10월29일 화북진에 소속된 성정군의 군사훈련 모습 |
11 장. 11. 조천조점(朝天操點) |
|
| 1702년(숙종 28) 10월20일에 있었던 조천진 성정군의 군사훈련과 인근 제2소 목장의 둔마(屯馬)를 점검하는 그림 |
12 장. 12. 김녕관굴(金寧觀窟) |
|
| 1702년(숙종 28) 10월30일 김녕의 용암굴에 횃불을 들고 들어가는 그림 |
13 장. 13. 별방조점(別防操點) |
|
| 1702년(숙종 28) 10월30일 별방성에서의 군사훈련과 성정군, 군기, 우마를 점검하는 그림 |
14 장. 14. 별방시사(別防試射) |
|
| 1702년(숙종 28) 11월1일 순력도중 별방진에 들러 활쏘기를 장려하기 위해 시행하는 활쏘기 시험장면 |
15 장. 15. 수산성조(首山城操) |
|
| 1702년(숙종 28) 11월2일 정의현 수산진성에서의 성정군 군사훈련을 점검하는 그림 |
16 장. 16. 정의조점(旌義操點) |
|
| 1702년(숙종 28) 11월2일 정의현성에서의 조련(操鍊)과 제반사항을 점검하는 그림 |
17 장. 17. 정의양로(旌義養老) |
|
| 1702년(숙종 28) 11월3일 정의현성에서 치러진 노인잔치 광경 |
18 장. 18. 정의강사(旌義講射) |
|
| 1702년(숙종 28) 11월4일 동짓날에 정의현에 머물면서 시행한 강사(講射), 즉 강(講)받기 시험과 활쏘기 시험 장면 |
19 장. 19. 정방탐승(正方探勝) |
|
| 1702년(숙종 28) 11월5일 배를 타고 정방폭포를 탐승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
20 장. 20. 천연사후(天淵射帿) |
|
| 1702년(숙종 28) 11월6일 천지연폭포에서의 활을 쏘는 장면을 그린 그림 |
21 장. 21. 서귀조점(西歸操點) |
|
| 1702년(숙종 28) 11월5일 서귀진의 조련과 군기 및 말을 점검하는 그림 |
22 장. 22. 현폭사후(懸瀑射帿) |
|
| 1702년(숙종 28) 11월6일 현재의 중문 천제연폭포에서 활쏘는 모습을 그린 그림 |
23 장. 23. 고원방고(羔園訪古) |
|
| 1702년(숙종 28) 11월6일 고둔과원(羔屯果園)에서 왕자구지(王子舊地)를 탐방하는 그림 |
24 장. 24. 산방배작(山房盃酌) |
|
| 1702년(숙종 28) 11월10일 산방굴(山房窟)에서 배작(盃酌)의 그림을 그린 그림 |
25 장. 25. 대정조점(大靜操點) |
|
| 1702년(숙종 28) 11월10일 대정현성의 성정군 조련과 대정현의 제반사항을 점검하는 그림 |
26 장. 26. 대정배전(大靜拜箋) |
|
| 1702년(숙종 28) 11월11일 대정현에서 시행된 배전(拜箋)의 광경을 그린 그림 |
27 장. 27. 대정양로(大靜養老) |
|
| 1702년(숙종 28) 11월11일 대정현에서의 노인잔치를 그림 |
28 장. 28. 대정강사(大靜講射) |
|
| 1702년(숙종 28) 11월12일 대정현에 머물면서 시행한 강사(講射)의 장면 |
29 장. 29. 모슬점부(慕瑟點簿) |
|
| 1702년(숙종 28) 11월13일 모슬진 군대를 점검하는 그림 |
30 장. 30. 차귀점부(遮歸點簿) |
|
| 1702년(숙종 28) 11월13일 실시한 차귀진의 조련과 점검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
31 장. 31. 명월조점(明月操點) |
|
| 1702년(숙종 28) 11월14일 명월진 성정군의 훈련모습과 말을 점검하는 그림 |
32 장. 32. 명월시사(明月試射) |
|
| 1702년(숙종 28) 11월14일 명월진성에서 활쏘기 시험장면을 그린 그림 |
33 장. 33. 애월조점(涯月操點) |
|
| 1702년(숙종 28) 11월14일 애월진의 군사와 말을 점검하는 그림 |
34 장. 34. 제주조점(濟州操點) |
|
| 1702년(숙종 28) 11월15일 제주읍성에서 성정군의 조련과 제반사항을 점검하는 그림 |
35 장. 35. 제주사회(濟州射會) |
|
| 1702년(숙종 28) 11월18일 실시된 활쏘기 장면 그림 |
36 장. 36. 제주전최(濟州殿最) |
|
| 1702년(숙종 28) 11월17일 제주목사가 관하 각 관리의 치적(治績)을 심사하는 모습을 그린 그림 |
37 장. 37. 제주양로(濟州養老) |
|
| 1702년(숙종 28) 11월19일 제주목에서 이형상 제주목사가 동헌 앞에서 양로연을 실시하는 광경 |
38 장. 38. 병담범주(屛潭泛舟) |
|
| 1702년(숙종 28) 11월19일 이형상 제주목사가 취병담(翠屛潭), 곧 용연(龍淵)에서의 뱃놀이모습을 그림 |
39 장. 39. 건포배은(巾浦拜恩) |
|
| 1702년(숙종 28) 12월20일 향(鄕)품(品)문(文)무(武) 300여 명이 관덕정 앞과 건입포(健入浦)에서 임금이 있는 북쪽 즉 조정을 향해 배례하는 모습과 제주의 각 마을에 있었던 신당(神堂)의 일부가 불타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
40 장. 40. 비양방록(飛揚放鹿) |
|
| 1702년(숙종 28) 10월11일 사슴을 생포하고 1703년 4월28일 비양도로 옮겨 방사(放飼)하는 그림 |
41 장. 41. 호연금서(浩然琴書) |
|
| 1703년(숙종 29) 보길도에서 한라산을 바라보면서 호연한 마음으로 거문고를 타며 책을 읽는다는 뜻으로 <한라장촉(漢拏壯囑)>과 짝을 이루는 그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