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김씨세덕가(金氏世德歌) ◈
카탈로그   본문  
의성 김씨 가문
의성 김씨 가문 조상의 덕을 칭송하는 가사. 원래는 「○○셰덕가」라는 제목이던 것을 ‘○○’ 부분을 지우고 ‘소몽조’라 쓰고 있음. 본문 내용을 보면 이 작품은 의성 김씨 가문의 덕을 칭송하는 작품이므로 원제는 「김씨세덕가」였을 것으로 추정됨. 소몽조(所蒙祖)는 직계 선조를 가리키는 말이므로 김씨의 범위가 너무 넓은데다 자기 직계 선조에 대해서만 기록한 것이기 때문에 이렇게 수정한 것으로 짐작됨. - 국립중앙박물관 e뮤지엄
1
세덕가(世德歌)
 
 
2
착하신 단군(檀君)님이 태백산(太白山) 강림(降臨)하사 제례작악(制禮作樂) 하시옵고 국호(國號)는 조선(朝鮮)이라 영세불망(永世不忘) 하리로다 예의동방 (禮儀東方)우리 조선(朝鮮)의관문물(衣冠文物) 찬연(燦然)하다 삼한고사(三韓古事) 그만두고 신라고려(新羅 高麗) 헤어보자 신라국(新羅國) 착한 성업(聖業) 일천년(一千年) 향국(享國)이오 고려국(高麗國) 장한 문명(文明)오백년(五百年) 거룩하다 이왕조(李王朝) 오백년(五百年)은 문치(文治)에 힘썻도다 성씨(姓氏)를 헤어보면 하도 많은 만성(萬姓)이라 고가세족(古家世族) 누구이며 명문대가(名門大家) 누구인가 대인군자(大人君子) 착한어른 대불핍절(代不乏絶) 하였구나 동서사방(東西四方) 사는 종족(宗族) 우리세덕(世德) 드러보소 영평경인(永平庚寅) 팔월사일(八月四日) 대보공(大輔公) 시조(始祖)님이 소아(小兒)의 명칭(名稱)으로 알지(閼知)라 불럿도다 계림(鷄林)에 탄생(誕生)할제 자운(紫雲)이 종천(從天)이라 대이귀궐(戴而歸闕) 태자(太子)된 후(後) 금궤(金樻)의 상서(祥瑞)로서 사성김씨(賜姓金氏) 하였으니 성씨(姓氏)도 좋을세라 수화금목(水火金木) 오행중(五行中)에 쇠금자(字) 우리성(姓)은 금생려수(金生麗水) 하였으니 려수(麗水)의 정광(正光)이라 신라국(新羅國)엔 군왕(君王)으로 세세상승(世世相承) 이어있고 고려국(高麗國)엔 장상(將相)으로 문무(文武)가 울흥( 興)이라 박석김(朴昔金) 세성씨(三姓氏)가 왕위(王位)를 추위(推位)할제 십칠대(十七代) 내물왕(奈勿王)은 석탈해(昔脫解)를 게립(継立)하여 사십육년(四十六年) 재위(在位)로서 첨성대(瞻星臺)에 장사(葬事)하고 둘제아들 복호씨(卜好氏)는 고구려(高句麗)에 볼모되여 야간도주(夜間逃走) 고성(高城)까지 화급사인(火急使人) 미치오나 시은좌우(施恩左右)하였기로 발전사지(拔箭射之) 면사(免死)하고 이십이대(二十二代) 지증왕(知證王)은 권농우경(勸農牛耕) 가르치고 국호(國號)를 제정(制定)할제 상복법(喪服法) 말가섯다 삼십팔대(三十八代) 원성왕(元聖王)은 거룩하기 그지없다 탈복두(脫㡤頭) 입정수(入井水)는 흉몽중(凶夢中) 길몽(吉夢)이라 천우신조(天佑神助) 북천항(北川漲)에 선입궁중(先入宮中) 즉위(卽位)하고 만파식적(萬波息笛) 전수(傳受)하니 후하천은(厚荷天恩) 감사(感謝)하다 숭복사(崇福寺)곡능비문(鵠陵碑文) 최고운(崔孤雲)이 지은비라 년기유구(年紀攸久) 봉비퇴(封圮頹)는 행로유읍(行路猶泣) 자손제(子孫啼)라 천억운잉(千億雲仍) 공의(公議)돌려 개수봉영(改修封塋) 하게되니 병신년(丙申年 )십일월(十日月)에 개축고유(改築告由) 하여있고 정유삼월(丁酉三月) 필역후(畢役後)에 양산군수(梁山郡守) 치전(致奠)하니 제문(祭文)을 볼작시면 사의(辭意)가 준절(準切)하다 가성엄이(佳城嚴而) 청정혜(淸淨兮)여 묘모신헤(墓貌新兮) 여고(如古)로다 상왕령지(想王靈之) 척강혜(陟降兮)여 증차일지(增此日之) 감척(感惕)이리 왕지령이(王之靈而) 사안혜(斯安兮)여 기음어(冀陰於) 명막(冥漠)이라 사십오대(四十五代) 신무왕(神武王)은 모반파장(謨反巴將) 참수(斬首)하고 사십육대(四十六代) 문성왕(文聖王)은 십팔년(十八年) 재위(在位)로다 오십육대(五十六代) 경순왕(敬順王)은 재위팔년(在位八年) 겨우해서 국빈쇠약(國貧衰弱) 자각(自覺)하고 군신(群臣)들과 상의(相議)한후 이서청강(齎書請降) 하시오니 천년사직(千年社稷) 그만 됨에 충신의사(忠臣義士) 통곡(痛哭)하고 태자곡읍(太子哭泣) 입산(入山)하되 무고생민(無辜生民)도탄(塗炭)없게 유공덕(有功德)도 굉장(宏壯)하다 휘(諱)석자(錫字) 의성군(義城君)은 경순왕(敬順王)의 제사자(第四子)라 습봉의성(襲封義城) 하온후(後)에 인이위관(因以爲貫) 하였도다 의성김씨(義城金氏) 부르기난 이로쪼차 처음이라 력구세(歷九世) 되온후(後)에 룡자비자(龍字庇字) 첨사공(詹事公)은 금차광록(金紫光綠) 높은베살 습봉의성(襲封義城) 하실적에 유공덕(有功德) 입사(立祠)하니 진민사가(鎭民祠) 이아닌가 부인(夫人)은 진주강씨(晋州姜氏) 후주씨(后柱氏)의 따님이라 오토산(五土山) 괘등형(掛燈形)에 산소(山所)가 엄연(儼然)하와 지우금(至于今) 전소(奠所)하니 어천만세(於千萬歲) 이즐소냐 십세휘(十世諱) 의자씨(宜字氏)는 은청광록(銀靑光祿) 벼슬로서 상서복야(尙書僕射) 정헌대부(正憲大夫) 감문상호(監門上護) 지나시고 진천송씨(鎭川宋氏) 부인(夫人)이오 묘소(墓所)난 고령(高靈)이라 십일세휘(十一世諱) 서자지자(瑞字芝字) 조헌대부(朝憲大夫)내영소윤(內盈少尹) 감악산(紺嶽山) 제사(祭祀)할제 장단진(長湍津) 건너다가 선파불반(船破不返) 하시오니 수중원혼(水中冤魂) 가이없다 장사유씨(長沙兪氏) 부인(夫人)이오 설단행사(設壇行事) 지금까지 십이세휘(十二世諱) 태자권자(台字權字) 벼슬은 봉익대부(奉翊大夫) 계묘윤월(癸卯閏月) 김용(金鏞)의 난(亂) 엄조흉해(奄遭凶害) 당(當)하시다 부인(夫人)은 누구신고 김씨박씨(金氏朴氏) 두분이라 묘소(墓所)난 어대신고 경기도(京畿道) 죽산(竹山)이라 성북문외(城北門外) 장광촌(長光村)에 진향지원(震向之原) 여기로다 십삼세휘(十三世諱) 거자두자(居字斗字) 봉익대부(奉翊大夫)공조전서(工曹典書)시거안동(始居安東) 하실적에 풍산(豊山)땅에 자리잡어 배위(配位)는 누구신고 문화류씨(文化柳氏) 부인(夫人)이라 묘소(墓所)는 박일동(朴日洞)에 자좌오향(子坐午向) 분명(分明)하다 누대(累代)를 실전(失傳)타가 진심력(盡心力)봉심(奉審)하여 묘도무비(墓道無碑) 하옵기로
 
3
구재건석(鳩材建石) 이표(以表)하다 종시간사(終始幹事) 누가햇나 십이대손(十二代孫) 세자일자(世字鎰字) 봉심시(奉審時) 고유문(告由文)은 구사당(九思堂) 이지으시고 봉심후(奉審後) 고유문(告由文)은 우고(雨皐)께서 지으셨다 십사세휘(十四世諱) 천자씨(洊字氏)는 공민왕(恭愍王) 임인년(壬寅年)에 국파군망(國破君亡) 하옵기로 벼슬을 마다시고 부동성외(府東城外) 이거(移居)하사 명기동왈(名其洞曰) 방적(邦適)이라 방지혁이(邦之革矣) 아안적귀(我安適歸) 이뜻이 분명(分明)하다 권양촌(權楊村) 제문(祭文)보면 입심행도(立心行道) 가(可)히알다 반아초복(返我初服) 미궐망기(薇蕨忘飢)락아명교(樂我名敎) 여세상위(與世相違) 완부가립(頑夫可立) 유부가기(儒夫可起) 량공평생(諒公平生) 서기무괴(庶幾無愧) 부군묘(府君墓)난 어데신고 전암세곡(箭岩細谷) 오향지원(午向之原) 부인(夫人)은 홍주이씨(洪州李氏)전교령(典敎令)따님이라 묘소(墓所)난 어데인고 락천(洛川)에계시도다 벼슬은 무었인가 정략장군(定略將軍) 도만호(都萬戶)라 십오세휘(十五世諱) 영자명자(永字命字)조봉대부(朝奉大夫) 신녕현감(新寧縣監) 부인(夫人)은 세분인대 이씨(李氏)김씨(金氏)권씨(權氏)로다 부군묘(府君墓)난 어데신고 부서안기(府西安奇) 오향지원(午向之原) 이씨묘(李氏墓)난 어데신고 남선노림(南先魯林) 친당묘하(親堂墓下) 김씨묘(金氏墓)난 어데신고 부남노림(府南魯林)친당묘하(親堂墓下)권씨묘(權氏墓)난 어데신고 염절산(廉節山) 연원(燕院)이라 문종국구(文宗國舅) 경혜공(景惠公)이 친당부형(親堂父兄) 되옵시네 십육세휘(十六世諱) 한자계자(漢字啓字) 원사공(院事公) 일럿도다 을묘(乙卯)에 생원(生員)할제 하단계(河丹溪)로 동방(同榜)하고 무오(戊午)에 문과(文科)할제 성매죽헌(成梅竹軒) 동방(同榜)이라 세조조(世祖朝) 시사일변(時事一變) 사병남귀(謝病南歸) 불사(不仕)하다 문헌록(文獻錄) 볼작시면 필법(筆法)도 특이(特異)함을 집현전(集賢殿) 학사(學士)들이 자이불급(自以不及) 감탄(感嘆)했다 퇴귀향리(退歸鄕里) 유시(有詩)하니 백구시(白鷗詩)가 이아닌가 백구(白鷗)는 이백사(宜白沙)하니 막향춘(莫向春) 초벽(草碧)하라 불수자(不須自) 분명(分明)하면 이위인(易爲人) 소식(所識)듣고 글귀를 쌕여보면 거룩하기 그지없다 동학사(東鶴寺) 숙모전(肅慕殿)에 종향(從享)을 하시었고 공주(公州)의 참읍사(昌邑祠)에 생사육신(生死六臣) 병향(倂享)하다 귀와선생(龜窩先生) 입조시(入朝時)에 현조(顯祖)를 무르오니 문충공(文忠公) 학봉선생(鶴峯先生) 방조(傍祖)라 대답(對答)한즉 성상(聖上)이 가라사대 집현학사(集賢學士) 김모지후(金某之后) 명조(名祖)가 있음에도 없다함은 무삼일고 대답(對答)하기 항공(惶恐)하여 척주(瘠柱)가 한습(汗濕)햇다 부인(夫人)은 누구신고 송씨안씨(宋氏安氏) 두분이라 묘소(墓所)는 어데신고 가수내(佳樹川) 부감지원(負坎之原) 춘추전소(春秋奠所) 받들기는 금계파(金溪派)서 주장(主張)한다 십칠세휘(十七世諱) 만자근자(萬字謹字)별호(別號)난 망계(望溪)로다 증손(曾孫)의 귀(貴)로인(因)해 증직(贈職)은 좌통례(左通禮)라 해주오씨(海州吳氏) 부인(夫人)이오 동림기원(東林己原) 묘소(墓所)로다 십팔세휘(十八世諱) 례자범자(禮字範字)병절교위(秉節校尉) 벼슬로서 손자학봉(孫子鶴峯)귀(貴)히 됨에 좌승지(左承旨)를 증직(贈職)하다 부인(夫人)은 영해신씨(寧海申氏) 군수명창(郡守命昌) 따님이라 묘소(墓所)는 비리곡(飛鯉谷)에부인묘(夫人墓)가 아래 있다 십구세휘(十九世諱) 진자씨(璡字氏)는 별호(別號)는 청계(靑溪)시라 교지의방(敎之義方) 오현자(五賢子)로 세층오용(世稱五龍) 일럿도다 위자구사(爲子求師) 착한교훈(敎訓)조유계문(早遊溪門) 시켰도다 백운정(白雲亭) 선유정(仙遊亭)과 청기(靑杞)에 별업(別業)두고 장구(杖屨)가 소요(逍遙)하니 공망형해(共忘形骸)아니신가 향사빈도(享泗濱)도 거룩하고 연방세고(聯芳世稿) 더욱조타 정우복(鄭愚伏) 선생(先生)께서 묘갈(墓碣)을 지으신대 갈문(碣文)에 이은 바는 능회능구(能誨能久) 말삼하고 을유년(乙酉年)에 생원(生員)이오 증직(贈職)은 이조판서(吏曹判書) 향년(享年)은 얼마신고 팔십일년(八十一年) 대수(大壽)로다 공존사직(功存社稷) 뿐이런가 업수우예(業垂後裔) 하였도다 부조위(不祧位)로 봉사(奉祀)하니 영세토록(永世)토록 이즐소냐 경진사월(庚辰四月) 이십삼일(二十三日) 부군(府君)님의 대기(大忌)로다 묘소(墓所)난 어데신고 경출산(景出山) 진향지원(震向之原) 부인(夫人)은 누구신고 당저(唐底)에 여흥민씨(驪興閔氏) 사정공(司正公)의 따님이오 문도공(文度公)의 육세손녀(六世孫女)병오(丙午) 유월십사일(六月十四日)은 정부인(貞夫人)의 대기(大忌)로다 이하(以下)로 볼작시면 오파(五派)로 나누어서 맛분은 약봉(藥峯)이니 휘자(諱字)는 극자일자(克字一字)내직관작(內職官爵) 사성(司成)이오 외직(外職)은 홍원현감(洪原縣監) 예천군수(醴泉郡守)창원부사(昌原府使)밀양부사(密陽府使) 성주목사(星州牧使) 다섯골을 살으시며 시헤창생(施惠蒼生) 덕(德)을 쌋다 묘소(墓所)난 어데신고 비리곡(飛鯉谷)에 묘향(卯向)이라 자손(子孫)을 이룰지면 대종파(大宗派)라 하였도다 둘제분은 귀봉(龜峯)이니 휘자(諱字)는 수자일자(守字一字) 을묘(乙卯)에 생원(生員)하고 천(薦)으로 찰방(察訪)이라 묘소(墓所)는 어데신고 경출산(景出山)동영묘향(同塋卯向) 자손(子孫)을 말 할제는 저근파(派)라 부르도다 셋제분은 운암(雲巖)이니 휘자(諱字)는 명자일자(明字一字) 퇴계선생(退溪先生) 성훈(聖訓)바다 행검(行儉)이 고명(高明)하사 세인(世人)이 이르기를 공문(孔門)의 안자(顔子)이라 갑자(甲子)에 생원(生員)하사 문장도덕(文章道德) 터를딱자 불행단명(不幸短命) 하시오니 통석(痛惜)하기 그지없다 묘소(墓所)난 어데신고 아미산(阿尾山) 간향(艮向)이라 신당리(新塘里)에 기지(基地)잡아 자손(子孫)은 신당파(新塘派)라 넷제분은 학봉(鶴峯)이니 휘자(諱字)는 성자일자(誠字一字) 외직(外職)은 경상감사(慶尙監司) 내직(內職)벼슬 부제학(副提學)에 증직(贈職)은 이조판서(吏曹判書) 시호(諡號)는 문충(文忠)이라 탁월(卓越)하신 덕행(德行)으로 공존사직(功存社稷) 하옵시고 업수후예(業垂後裔) 하시오니 태산북두(泰山北斗) 이 아닌가 금계동(金溪洞)에 창업(創業)하사 자손(子孫)은 검제파(派)라 다섯제분 남악(南嶽)이니 휘자(諱字)는 복자일자(復字一字) 외직(外職)은 창원부사(昌原府使) 울산부사(蔚山府使) 전라어사(全羅御使) 내직(內職)벼슬 말할지면 성균관(成均館) 사성(司成)이라 묘소(墓所)는 어데신고 에천군(醴泉郡) 제동(堤洞)이라 금당실(金塘室) 기지(基地)잡아 자손(子孫)은 금당(金塘)실 파(派)라 여룡여호(如龍如虎) 오형제분(五兄弟分) 후진(後進)을 드러보면 대과소과(大科小科) 합(合)하여서 칠십여원(七十餘員) 되옵시고 삼백여(三百餘)나 되옵시는 별호(別號)가진 어룬님(任)이 고명(高明)하신 문장덕행(文章德行) 일월(日月)로 쟁광(爭光)이라 장(壯)하도다 우리세덕(世德) 뉘아니 칭찬(稱讚)할까 문헌(文獻)도 이와 갓고 관작(官爵)도 적지않다 계계승승(繼繼承承) 누백년(累百年)에 문호(門戶)가 찬연(燦然)하다 성조현비(聖祖賢妣) 음덕(陰德)싸아 자손(子孫)이 창대(昌大)로다 천전동(川前洞) 기지(基地)잡아 대업(大業)을 창설(創設)하니 시설(施設)도 굉장(宏壯)하고 포치(布置)도 융숭(隆崇)하다 개호송(開湖松) 경포대(鏡浦坮)는 수구(水口)로 장쇄(藏鎖)하고 영양(英陽)에서 흔른물은 만궁(蠻弓)으로 둘러있고 약산(藥山)에서 나린용(龍)은 병풍(屛風)같이 옹포(擁抱)하고 산(山)은 방박(磅磚) 수명려(水明麗)로 산천적유(山川積艈) 정기(精氣)모아 중개통천(中開洞天) 광활(廣濶)하니 천전동(川前洞)이 여기로다 금성천리(金城千里) 어데런고 천부개중(千府開中) 조흘세라 대소종택(大小宗宅) 각(各)집 문호(門戶)반울비경(盤鬱+爵飛驚) 즐비(櫛比)하다 남(南)쪽으로 바라보니 용두산(龍頭山)둘너 막혀 신당추월(新塘秋月) 가려(佳麗)한곳 운암종택(雲巖宗宅) 특립(特立)하고 동(東)쪽으로 바라보니 망천동(輞川洞)이 기이(奇異)하여 산고광활(山高廣濶) 별개천(別開天)에 지산강당(芝山講堂) 찬연(燦然)하다 북(北)쪽으로 바라보니 광산화곡(廣山花谷) 후장(後藏)이오 착벽개정(鑿壁開亭) 백운정(白雲亭)은 강산명미(江山明媚) 불입모(拂入眸)라 임호서원(臨湖書院)경치(景致)조타 운천(雲川)할바 존모지처(尊慕之處)경출산(景出山)을 첨망(瞻望)하니 청계대조(靑溪大祖) 천년유택(千年幽宅) 사빈서원(泗濱書院)궁숭(穹崇)하다 육부자분(六父子分) 모앙(慕仰)하니 심전의덕(心全懿德) 여열유풍(餘烈遺風) 백세금식(百世衿式) 이아닌가 송석(松石)으로 도라드니 산명수려(山明水麗) 조흔곧에 옥녀직금(玉女織錦) 터를얻어 대박(大朴)할바 산소(山所)로다 선창(仙窓)으로 을너가니 도연(陶淵)땅이 지척(咫尺)이라 숭정처사(崇禎處士) 유허지(遺墟地)는 와룡초당(臥龍草堂) 여기로다 표은(瓢隱)할바 높은절의(節義)산고수장(山高水長) 장(壯)하시고 천지음양(天地陰陽) 유행(流行)할제 광명정대(光明正大) 기품(氣稟)바다 일월(日月)로 쟁광(爭光)이오 산악(山嶽)같은 기상(氣像)이라 심양삼경(尋陽三逕) 어데런고 진가갑자(晋家甲子) 보수(保守)로다 장육당(藏六堂)도 기이(奇異)하고 선유정(仙遊亭)도 심유(深幽)하니 흥하북탁(洪河北坼) 용음(龍吟)이오 거석서준(巨石西蹲) 호시(虎視)로다 격진령(隔塵嶺) 가로막혀 경관(景觀)도 조흘세라 홍파(紅波)는 섬섬(閃閃)하고 백석(白石)은 영영(盈盈)이라 서후면(西後面) 차저가니 금계동(金溪洞)이 어데런고 산회수포(山回水抱) 조흔기지(基地) 학봉종택(鶴峯宗宅) 웅립하며 임천서원(臨川書院) 어데메뇨 우모갱장(寓慕羹墻) 더욱조타 예천(醴泉)땅 드러서니 금당실(金塘室)이 화려(華麗)하고 정산원(鼎山院) 높은곳에 흥학명교(興學明敎) 유적(遺跡)만타 지례동(知禮洞)을 도라드니 산고곡심(山高谷深) 심수(深邃)하여 별유천지(別有天地) 비인간(非人間)에 무릉도원(武陵桃源) 망불(髣髴)이라 전후좌우(前後左右)각촌(各村)에는 일일(一一)히 통합(統合)해서 조종우해(祖宗于海) 물과 같이 천전동(川前洞)을 중심(中心)삼아 사무대소(事無大小) 허다경륜(許多経倫) 호상원호(互相援護) 하여보자 가신령절(佳辰令節) 자조모여 없난정(情)도 새로두자 각처종족(各處宗族) 드러보소 우리규모(規模) 이와 같다 청계대조(靑溪大祖) 유훈(遺訓)말씀 불목(不睦)한자(者) 부벌(負罰)하라 엄(嚴)하시고 중(重)하시다 경공(敬恭)해서 패복(佩服)하여 명심(銘心)하여 있지 말고 동심합력(同心合力) 하리로다
 
 
4
임인국추절(壬寅 菊秋節)
5
곡성산하(谷城山下)에서 지음
【원문】김씨세덕가(金氏世德歌)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가사〕
▪ 분류 : 가사
▪ 최근 3개월 조회수 : 25
- 전체 순위 : 1865 위 (2 등급)
- 분류 순위 : 125 위 / 266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김씨세덕가 [제목]
 
  # 세덕가 [저자]
 
  가사(歌辭) [분류]
 
◈ 참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가사 카탈로그   본문   한글 
◈ 김씨세덕가(金氏世德歌)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11월 28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