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 
◈ 인도사상(印度思想)의 공헌(貢獻) ◈
카탈로그   본문  
미상
최남선
1
印度思想[인도사상]의 貢獻[공헌]
 
 
2
불국사의 다른 古記[고기]를 據[거]하건대, 天寶[천보][일]○년 始役[시역]하던 해로부터 김대성의 죽은 大歴[대역][구]년까지가 二四[이사]년이요, 이 뒤에 국가가 그 뒤를 받아서 役事[역사]한 것이 또 얼마 동안인지 모른즉, 이러구러 三[삼]○년 이상의 세월을 허비하고서 오늘날 불국사의 정교와 석굴암의 장엄이 출현한 것이었읍니다. 그러나 그 開創[개창]의 緣起[연기]와 및 그 工作[공작]의 정교한 유래에는 이러한 인도 사상적 설화를 전하였읍니다.
 
3
또 龍[룡]이란 것은 인도에서는 큰 위력을 가진 무서운 물건으로 일반이 존숭하고, 불교에서는 붙들어다가 불법 보호의 신을 삼았는데, 일변 불법에 굽히지 않는 龍[룡]의 무리도 있다 하여, 이것을 佛典[불전] 중에 毒龍[독룡]·惡龍[악룡]이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毒龍[독룡]·惡龍[악룡]을 물리치고 그 자리에 절을 이룩하였다는 전설은, 어찌 생각하면 고유 신앙과 외래 종교인 불교와의 갈등 관계를 나타내는 이야기로 볼 수도 있는 재미있는 이야기거니와, 여하간에 이러한 내력을 말하는 절이 위에 말한 萬漁寺[만어사]의 외에도 梁山[양산]의 通度寺[통도사], 長興[장흥]의 寶林寺[보림사] 金剛山[금강산] 九龍淵[구룡연]에 관계되는 楡岾寺[유점사] 등 드문 드문 여러 곳에 있읍니다. 그런데 이러한 사원의 緣起談[연기담]만은 경우에 있어서 조선에서 처음 생긴 숫것이 아니라, 대개는 인도나 지나에 있는 것을 넌지시 빌어다가 쓰는 것이 많습니다. 사원 전체의 開創[개창]뿐 아니라, 터전은 좋으나 샘물 없는 것이 欠[흠]이러니, 有德[유덕]한 중이 지팡이 끝으로 땅을 두드려서 좋은 샘밑이 터졌다 하는 順天[순천]의 松廣寺[송광사], 처음 절을 이룩한 神僧[신승]의 지팡이 꽂은 것이 살아서 나무가 되어서 언제까지고 한결같이 있다는 善山[선산]의 桃李寺[도이사], 이렇다 저렇다 하는 사원 관계의 기담은 진실로 상상 이상의 다수에 오릅니다. 〈삼국유사〉에도 꽤 많이 실려 있지마는, 거기 빠진 실제의 수는 더 몇 곱 몇십 곱임을 모를 것입니다.
 
4
불교가 반도 문학의 발달에 대하여 영향을 준 것을 낱낱이 주워섬김은 심히 번거로운 일이매, 여기는 그런 잔사설을 할 겨를부터 없읍니다. 이제 개개의 제목을 떠나서 총괄적으로 인도 사상, 특히 불교 신앙이 반도의 문학, 특히 기담 소설에 대하여 어떠한 공헌을 하였는지를 말씀할진대, 첫째는 因果應報[인과응보]의 윤리 사상입니다. 곧 善因善果[선인선과], 惡因[악인] 惡果[악과]로 기왕의 잘, 잘못이 장래의 화복을 불러온다는 관념입니다. 둘째는 輪廻轉生[윤회전생]이라는 생명관입니다. 곧 一[일]개의 생명이 人[인]·畜[축]·天[천]·鬼[귀] 여러 세계로 돌아다니면서 바꾸어 태어난다는 관념입니다. 그리하여 이 인과응보의 관념과 輪廻轉生[윤회전생]의 사상이 서로 합하여 성립한, 이른바 三世因果[삼세인과] · 六道轉生[육도전생]이라는 신앙이 조선 문학의 내용에 대하여 一大軸的[일대축적] 영향을 주었음은 그 작품의 실제에 나아가서 斑斑[반반]히 考驗[고험]할 수 있음과 같습니다. 三世[삼세]라 함은 前生[전생]·此生[차생]·後生[후생]을 이름이요, 六道[육도]라 함은 사람이 사후에 生前[생전] 所行[소행]의 선악대로 좋고 언짢은 데로 갈려가서 새로 태어난다는 여섯 길 곧 ─ 地獄[지옥]·餓鬼[아귀]·畜生[축생](以上[이상]은 三惡道[삼악도]라 하는 것) · 修羅[수라]·人間[인간]·天上[천상]의 여섯 세계를 이르는 것입니다. 어떠한 계기로써 전생의 사람이 此生[차생]에서 짐승이 되고, 此生[차생]의 짐승이 사람도 되고, 天仙[천선]도 된다고 하고, 이것이 三重[삼중]과 六岐[육기]로 서로 엇갈려 나가매, 여기 소설가의 솜씨를 부릴 여지가 퍽 많을 밖에 있읍니까. 인도의 사상이 조선 문학의 생장에 기여한 여러 공적의 중에 이것이 무엇보다 먼저 거론될 것입니다. 이 외에도 천당·지옥의 광경을 장엄화하였다든지, 귀신·天仙[천선]의 性狀[성상]을 복잡화하였다든지, 내지 異人[이인]·異境[이경]·異物[이물]의 변화 다단한 요소를 공급하였다든지의 여러 사실을 말씀할 수 있겠지요마는, 이런 것까지는 여기 논급하지 않겠읍니다.
【원문】인도사상(印度思想)의 공헌(貢獻)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설화〕
▪ 분류 : 근/현대 수필
▪ 최근 3개월 조회수 : 8
- 전체 순위 : 5121 위 (4 등급)
- 분류 순위 : 1094 위 / 1835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인도사상의 공헌 [제목]
 
  최남선(崔南善) [저자]
 
  설화(說話) [분류]
 
◈ 참조
 
 
 
  불교(-)
 
 
  용(龍)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근/현대 수필 카탈로그   본문   한글 
◈ 인도사상(印度思想)의 공헌(貢獻)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3년 03월 07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