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한글(고어)  한글 
◈ 木州雜歌 (목주잡가) ◈
카탈로그   본문  
18세기
황윤석(黃胤錫)
1
木州雜歌 (목주잡가)
2
黃胤錫(황윤석) (1729~1791)
 
 
3
其一
4
天地(천지) 치 크시고 日月치 으시니
5
우리 先王 恩澤(선왕 은택)은 萬萬世(만만세)예 傳(전)시리
6
아마도 낫 賤臣(천신)이 혼자 닛기 어려웨라
 
7
* 선왕 은택: ‘선왕’은 영조(英祖)를 가리킴. 영조가 자신을 목천의 원님으로 제수하였기에 은택이라 함.
 
 
8
其二
9
年年 九月(연년구월) 열사흔날 年年 三月 初(초)닷샌날
10
우리 先王 聖德(선왕 성덕)을 어느덧 닛올가
11
으즙어 百年限(백년한)여 죽도록 갑오려
 
 
12
其三
13
닛오려 못 닛올 쉬인 두 先王 功德(선왕 공덕)
14
時時(시시)와 夜夜(야야)로 念念(연면)의 눈물이
15
두어라 우리님 聖明(성명)이시니
16
太平萬歲(태평만세)비노라
 
17
* 52년: 영조(英祖)의 재위 기간
 
 
18
其四
19
밥술도 님 恩惠(은혜)오 뵈올도 님 恩惠(은혜)니
20
家屬親戚(가속친척)들이 님 恩惠(은혜) 하라시렴
21
眞實(진실)노 아기옷 아오면
22
衣食日用(의식일용) 無愧(무괴)리
 
 
23
其五
24
君恩(군은)이 罔極(망극)와
25
白髮(백발)의 木川(목천)오니
26
그리던 家屬(가속) 울어 大綱(대강) 만나리다
27
아마도 四百里 風雪(풍설)의 慈親思念(자친사념) 어려웨라
 
28
* 목천: 작자가 원님으로 부임한 충청도 목천.
29
* 가속 울어: 목천에 부임하게 되어 가족과 헤어지게 된 일
30
* 사백 리: 작자의 고향인 전북 흥덕과 목천과의 거리
 
 
31
其六
32
阿爸(아파)님 날 리오 阿嬤(아마)님 내 뫼오려
33
三年後 六年(삼년후 육년)만의 薄邑(박읍)을 엇단말가
34
두어라 薄邑(박읍)일만졍
35
天地君父(천지군부) 恩惠(은혜)로다
 
36
* 3년 후 6년: 아버지 삼 년 상을 치른 후 육 년 만에
37
* 박읍: 산물이 별로 없는 피폐한 고을.
 
 
38
其七.
39
고흘도 젹다말고 物力(물력)도 窘(군)타 말고
40
내  다 오면 國恩(국은)을 가푸려니
41
슬푸다 勢(세)업슨 微臣(미신)이라
42
과 달나 어이 랴
 
 
43
其八
44
 누의님 쉬인 여 아이손 마온 아홉
45
져근 누의 마온 여 아니 늙다 올소냐
46
내 나도 쉬인 아히니
47
百年 慈親(백년 자친)  榮奉(영봉)리
 
 
48
其九
49
아  애오  婚姻(혼인) 늦게 되나
50
十八歲 小子와 十一歲 小女
51
阿㜷(아미) 업시 어이려뇨
52
슬푸다 先人餘慶(선인여경) 계시니
53
너희 壽福(만복) 바라노라
 
54
* 맏아들의 딸: 작자에게는 손녀딸이 됨.
55
* 아미 없이: 작자가 상처(喪妻)하였음을 의미함.
 
 
56
其十
57
白髮(백발)의 小室(소실)보니
58
琴瑟舊情(금슬구정) 더욱 셟다
59
時時(시시)로 각하면 二十九年(이십구년)
60
아마도 새오녜오 天數(천수)ㅣ오니
61
셜움즐김 무엇리
 
62
* 금슬구정: 작자가 부인과 함께 했던 때의 옛 정.
63
* 이십구년: 작자가 부인과 혼인했던 29년 전.
64
* 세오 녜오: 새 부인(세로 얻은 첩)과 옛 부인(죽은 부인).
 
 
65
其十一
66
南來先墓 桃李所(남래선묘 도리소)여
67
王輪山(왕륜산)도 몃 런고
68
象頭山 東南(상두산 동남)의 더옥 죠타
69
龍頭(용두)ㅣ려라
70
이 後(후)의 先人亡室(선인망실) 完窆(완폄)되면
71
무삼 關念(관념) 올소냐
 
72
* 남래선묘: 작자의 선조가 낙향했던 전북 지역.
73
* 왕륜산, 상두산, 용두산: 전북 정읍, 태인 지역에 있는 산.
74
* 세오 녜오: 새 부인(세로 얻은 첩)과 옛 부인(죽은 부인)
 
 
75
其十二
76
오래다 우리 龜壽洞中(귀수동중) 東偏(동편) 잿밧이다
77
僉正先祖舊墓(첨정선조 구묘)고
78
烈女房親旌門(열녀방친 정문)마조
79
眞實(진실)노 二百年 追慕(추모)면
80
孝子孝孫(효자효손) 되오리라
 
81
* 귀수동: 작자의 선영이 있던 전북 지역의 지명인 듯.
82
* 첨정: 조선시대 종사품의 벼슬.
83
* 정문: 열녀 등을 표창하고자 그 집 앞에 세우던 붉은 문.
 
 
84
其十三
85
龜壽洞(귀수동) 本宅西徧(본댁서편)
86
四十里 逍遙山下(소요산하)
87
蓬萊(봉래) 几案(궤안)이오 沙浦(사포) 襟帶(금대)로다
88
그 中의 우리집 三世遺躅(삼대유촉)
89
어이 아 니소니
 
90
* 소요산, 봉래산: 작자의 선영이 있던 전북 지역에 있는 산인 듯.
91
* 사포: 전북 부안 지역의 포구.
92
* 금대: 산천이 꼬불꼬불하게 이어져 있음을 비유적으로 표현한 말.
93
* 삼대: 작자의 조부와 부친과 작자 자신.
 
 
94
其十四
95
龍頭先山(용두선산) 十里西南(십리서남)
96
太山古縣(태산고현) 第三里(제삼리)라
97
黃榜山下(황발산) 龍溪(용계)물의
98
慈親夢中(자현몽중)  비최네
99
이 몸이 胎育(태육)온 吉地(길지)오니
100
承先待後(승선대후) 아닐소냐.
 
101
* 용두산, 황발산: 작자의 선영이 있던 전북 지역에 있는 산인 듯.
102
* 태산: 전북 태인의 옛 지명.
103
* 제삼리: 지명
104
* 용계: 용처럼 흐르는 물, 혹은 고유 명사.
 
 
105
其十五
106
文章(문장)도 繼繼(계계)샤
107
行誼(행의)도 承承(승승)샤
108
科宦(과환)이 긋다
109
우리 五世(오세) 눌 불을가
110
두어라 明農 讀書(명농독서)여
111
先子 遺訓(선자 유훈)여믄
 
112
* 우리 오세: 집안 오대 내내 벼슬길에 오르지 못함.
 
 
113
其十六
114
言語(언어)도 不可不愼(불가불신)
115
飮食(음식)도 不可不節(불가부절)
116
言語(언어)로 文字(문자)의 미뤄 보고
117
飮食(음식)으로 財祿(재록)의 미뤄 보라
118
녯 聖人(성인) 頤卦 大象(이괘대상)이니
119
우리 先訓(선훈) 더옥 죠타
 
120
* 이괘: 육십사괘의 하나로 ‘☲’ 둘을 포갠 모습. 밝음이 거듭됨을 상징함.
 
 
121
其十七
122
虛靈(허령)온 이내 本心(본심)
123
純善(순선)온 이내 本性(본성)
124
本心(본심)은 聖凡(성범)이 가지오
125
本性(본성)은 人物(인물)이 가지니
126
엇디타 本心性 汨失(본성심 골실)여
127
至愚極賤(지우극천) 되올소냐
 
 
128
其十八
129
天地(천지)도 廣大(광대)다 내 치 廣大(광대)
130
日月(일월)도 光明(광명)다 내 치 光明(광명)
131
眞實(진실)노 내 음 天地日月(천지일월) 갓게 면
132
堯舜同歸(요순동귀)오리라
 
 
133
其十九
134
靈明不測(영명불측) 이 내 
135
出入無時(출입무시) 이 내 
136
毫釐間(호리간) 千里 萬里오
137
須臾間(수유간) 千古 萬古ㅣ라
138
아마도 輕輕(경경)히 照管(조관)고
139
略略(약략)히 存在(존재)여 敬字(경자)닛지 마오려니
 
 
140
其二十
141
이 쥐면 아지리 아니 쥐면 라나리
142
勿忘 勿助(물망무조) 地境(지경)의
143
이 내  삼가 펴
144
죽도록 蹈虎履氷(도호이빙)이오
145
臨淵隕谷(임연운곡)이오리라
 
146
오륜과 수신(修身), 21~26
 
 
147
其二十一
148
君臣(군신)은 大義(대의)잇고 父子(부자) 至親(지친)이며
149
長幼有序(장유유서)의 兄弟(형제)들고
150
朋友有信(붕우유신)의 師生(사생)드네
151
아마도 夫婦一倫(부부일륜)은 五倫之本(오륜지본)이라
152
엇디 無別(무별)올소냐
 
 
153
其二十二
154
七歲孫男(칠세손남)을 祖母(조모)도 안을소냐
155
七歲孫女(칠세손녀)를 祖父(손부)도 안을소냐
156
七歲男女不同席(남녀칠세부동석)을
157
兄弟姉妹(형제자매)예도 닛지 말게
158
아모리 夫婦間(부부간) 至親至密(지친지밀)이나
159
爲先有別(위선유별) 이셰라.
 
 
160
其二十三
161
人生(인생)이 有慾(유욕)야
162
寒暖飢飽(한난기포) 밧긔 無限(무한)
163
淫聲(음성)도 저푸오나
164
亂色(난색)도 더욱 저퓌
165
조금곳 本心(본심) 일오면 사 아녀 禽獸(금수)ㅣ러라
 
166
* 한난기포: 춥고, 따뜻하고, 배고프고, 배부른 일상의 삶들.
 
 
167
其二十四
168
禽獸(금수)도 寒暖(한난)알고
169
禽獸(금수)도 飢飽(기포)알고
170
禽獸(금수)도 死生利害(사생이해)
171
낫낫치 모 일 잇둣던가
172
슬프다 禽獸(금수)만 賤(천)타 말고
173
내 몸 貴(귀)키 도라보게.
 
 
174
其二十五
175
이 내 몸이 天地間(천지간)의 禽獸(금수)와 다기
176
倫紀 禮節(윤기예절)을 제 모르고
177
이 能(능)히 아롬이니
178
엇지타 天地(천지)예 參爲三才(참위삼재)여
179
禽獸 同歸(금수동귀)올소냐
 
 
180
其二十六
181
禽獸(금수)옷 아니 되면 夷狄(이적)도 되지 말고
182
下愚(하우)로 上智(상지) 틔워
183
堯舜 周孔 濂洛 關閩(요순주공염락관민) 되여 보소
184
두어라 層層 階梯(층층계제)예
185
머다한들 언마 머올손가
 
186
* 요순주공염락관민:
187
요순은 요임금과 순임금.
188
주공은 주공(周公)과 공자(孔子)
189
염락은 주돈이(周敦頤)와 정호(程顥), 정이(程頤)
190
관민은 장재(張載)와 주희(朱熹)
 
 
191
其二十七
192
末世人物(말세인물)이라 
193
上古人物(상고인물) 다넌가
194
偏邦人物(편방인물)이라 
195
中國人物(중국인물) 다넌가
196
으즙어 天生人物(천생이물)이라
197
古今中外(고금중외) 분간(分揀)말게
 
198
* 편방인물: 조선의 인물을 가리킴.
 
 
199
其二十八
200
人才(인재)야 前(전)도 後(후)도
201
彼此同異(피차동리) 언마 리
202
아 이 잇오면 쓰이 이 절노 잇네
203
아마도 一代人才(일대인재)
204
自了一代事(자료일대사)가 노라
【원문】木州雜歌 (목주잡가)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여러분의 댓글이 지식지도를 만듭니다. 글쓰기
〔시조〕
▪ 분류 : 시조
▪ 최근 3개월 조회수 : 10
- 전체 순위 : 2419 위 (3 등급)
- 분류 순위 : 66 위 / 83 작품
지식지도 보기
내서재 추천 : 0
▣ 함께 읽은 작품
(최근일주일간)
▣ 참조 지식지도
▣ 기본 정보
◈ 기본
  # 목주잡가 [제목]
 
  황윤석(黃胤錫) [저자]
 
  18세기(18世紀) [발표]
 
  시조(時調) [분류]
 
◈ 참조
 
 
  # 목천군
 
▣ 참조 정보 (쪽별)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지식놀이터 :: 원문/전문 > 문학 > 한국문학 > 고전 시가 > 시조 카탈로그   본문   한글(고어)  한글 
◈ 木州雜歌 (목주잡가) ◈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 : 2021년 08월 02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