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5월 11일 (일)
(음 4월 14일, 庚辰)
집계기준 : 2025년 5월 5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시경(詩經)
•
홍길동전(洪吉童傳)
•
남석하(南碩夏)
•
통도사(通度寺)
•
만언사(萬言詞)
•
설문 해자(說文解字)
•
서동지전(鼠同知傳)
•
1934년
•
윌리엄 셰익스피어
•
이태준(李泰俊)
•
척화오신(斥和五臣)
•
베니스 국제 영화제
•
대수양(大首陽)
•
동국정운(東國正韻)
•
어부사시사(漁父四時詞)
•
수궁가(水宮歌)
•
여운형(呂運亨)
•
정선필 금강전도
•
허전(許㙉)
•
사서 삼경(四書三經)
▣
장덕수 (張德秀)
바로가기
[1895 ~ 1947] 독립 운동가· 정치가. 호는 설산(雪山)이다. 8·15 광복과 더불어 송진우· 김병로 등과 함께 한국 민주당을 조직하고 정치부장으로 활약하다가 자택에서 피살되었다.
인물
:
인물 > 한국
[1895 ~ 1947] 독립 운동가· 정치가. 호는 설산(雪山)이다.
황해도 재령에서 태어나 일본 와세다 대학 정치과를 졸업하고, 미국 컬럼비아 대학에서 철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때 상하이에 가서 있다가 1919년에
여운형
과 함께 일본 정부를 방문하고 한국 독립을 역설하였다.
1920년에는 '동아일보' 주필이 되어 언론을 통한 민족 정신 고취에 노력했으며, 보성 전문 학교 교수를 지냈다.
8·15 광복과 더불어
송진우
·
김병로
등과 함께
한국 민주당
을 조직하고 정치부장으로 활약하다가 자택에서 피살되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장덕수
(張德秀)
1895
민족 대표 48인
순창군
(淳昌郡)
1947년
1877
김병로
(金炳魯)
1885
여운형
(呂運亨)
1889
송진우
(宋鎭禹)
1887
원세훈
(元世勳)
1889
백관수
(白寬洙)
1891
김성수
(金性洙)
1891
안재홍
(安在鴻)
1894
조병옥
(趙炳玉)
1897
윤보선
(尹潽善)
1945
한국민주당
1945
조선건국준비위원회
1949
민주국민당
1949
대한국민당
1919
3·1 운동
(三一運動)
1919
대동단 사건
1929
광주학생독립운동
•
유일선(柳一宣)
•
김우영(金雨英)
•
신한 청년단
•
조선체육회(朝鮮體育會)
•
시국대응전선사상보국연맹
•
조선임전보국단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고비사막과 상해생활
근/현대 수필
여운형
(1)
설산 장덕수에게
여운형
(0)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