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5일 (토)
(음 3월 8일, 甲辰)
집계기준 : 2025년 3월 31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광통관(廣通館)
•
심청전(沈淸傳)
•
나겔점(Nagel點)
•
신윤복(申潤福)
•
청산별곡(靑山別曲)
•
무정(無情)
•
어부가(漁父歌)
•
현대 소설(現代小說)
•
고전 문학(古典文學)
•
연행가(燕行歌)
•
권섭(權燮)
•
김장생(金長生)
•
논어집주(論語集註)
•
공주 민란(公州民亂)
•
정감록(鄭鑑錄)
•
김억(金億)
•
몽골([蒙古])
•
가시리(-)
•
삼국사기(三國史記)
▣
한명회 (韓明澮)
바로가기
[1415 ~ 1487]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구정(鷗亭) 또는 사우당(四友堂)이며, 시호는 충성(忠成)이다.
인물
:
인물 > 한국
[1415 ~ 1487] 조선 초기의 문신. 호는 구정(鷗亭) 또는 사우당(四友堂)이며, 시호는 충성(忠成)이다.
수양 대군을 왕위에 오르게 하는 데 큰 공을 세웠으며,
성삼문
등
사육신
들이 단종을 다시 왕위에 오르게 하는 일을 막아 내는 데 앞장 섰다.
그 뒤 벼슬이 도승지, 병조 판서를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세조
가 세상을 떠난 뒤에도 여러 벼슬을 지냈고,
성종
때에는 병조 판서를 겸임했다.
그리고
최항
,
신숙주
등과 《
세조실록
》을 완성하였다.
그의 딸 둘이
장순 왕후
(예종비),
공혜 왕후
(성종비)가 되었다.
[숨기기]
◈ 지식지도
관계
한명회
(韓明澮)
1415
1393
한기
(韓起)
1445
장순 왕후
(미정의)
공혜왕후
1453
정난 공신
양정
(揚程)
1461
간경 도감
(刊經都監)
동학사
(東鶴寺)
1453년
동로마 제국
오스만 투르크 제국
15세기
(15世紀)
1450년대
1454년
1457년
1409
최항
(崔恒)
사육신
(死六臣)
1416
권람
(權擥)
1417
신숙주
(申叔舟)
1418
성삼문
(成三問)
1455
조선 세조
(世祖)
1469
조선 성종
(成宗)
1352
권근
(權近)
1387
권제
(權踶)
1395
소헌 왕후
(昭憲王后)
1403
황보인
(皇甫仁)
1410
강맹경
(姜孟卿)
생육신
(生六臣)
1415
양성지
(梁誠之)
1417
박팽년
(朴彭年)
1417
이개
(李塏)
1418
조선 세종
(世宗)
1418
안평 대군 이용
1420
서거정
(徐居正)
1427
노사신
(盧思愼)
1437
소혜 왕후
(昭惠王后)
1438
신면
(申㴐)
1441
남이
(南怡)
1441
구성군 이준
1452
조선 단종
(端宗)
1454
월산 대군
(月山大君)
1494
조선 연산군
(燕山君)
1506
조선 중종
(中宗)
15c초
신중주
(申仲舟)
홍문관
(弘文館)
훈구파
(勳舊派)
세조실록
(世祖實錄)
동문선
(東文選)
성종실록
(成宗實錄)
조선 왕조 실록
1446
훈민정음
(訓民正音)
1447
동국정운
(東國正韻)
1447
용비어천가
1458
경국대전
(經國大典)
1491
대전속록
(大典續錄)
1493
악학궤범
(樂學軌範)
1453
계유정난
(癸酉靖難)
공릉
(恭陵)
•
한상질(韓尙質)
•
한확(韓確)
•
박쟁(朴崝)
•
단종 복위 운동
•
예종(睿宗)
•
어득해(魚得海)
•
1487년
•
1460년
•
1464년
•
1467년
•
1469년
•
1452년
•
압구정(鴨 鷗亭)
•
오가작통법(五家作統法)
•
수렴청정(垂簾聽政)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 참조 원문/전문
거인· 장인· 대인
근/현대 수필
최남선
(7)
수양
首陽
근/현대 소설
김동인
(1)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