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
로그인
]
키워드 :
일치
근접
지식카탈로그
|
원문·전문
|
참여마당
역사지도
|
부가서비스
|
도식화자료
통계센터
|
소개ㅍ
지식지도
지식놀이터
참여∙의견
그외 관심 원문 :
관심 분야 선택
원문∙전문 (전체)
문예이론∙평론
독후감∙서평
인물∙인물평
역사서
여행∙기행
예술∙작품
【오늘】
2025년 4월 17일 (목)
(음 3월 20일, 丙辰)
집계기준 : 2025년 4월 14일
오늘 많이본 카탈로그
역사지도
국어유의어사전
영어유의어사전
•
이상(李箱)
•
신미록(辛未錄)
•
절(寺)
•
시경(詩經)
•
강천사(剛泉寺)
•
날개(-)
•
정지용(鄭芝溶)
•
매화전(梅花傳)
•
난중일기(亂中日記)
•
무정(無情)
•
산해경(山海經)
•
6전(六典)
•
게티즈버그 연설
•
김홍도(金弘道)
•
조용조(租庸調)
•
단군 신화(檀君神話)
•
종로구(鍾路區)
•
천자문(千字文)
•
길상사(吉祥寺)
•
불영사(佛影寺)
▣
1598년
바로가기
[
지도보기
]
조선 선조 31년. 임진왜란(정유재란 1597~1598). 이순신, 노량해전에서 전사, 임진왜란 끝남
시대
:
우리나라
9월,
제2차 울산성 전투
11월,
이순신(李舜臣)
이
노량해전(露梁海戰)
에서 전사.
왜군 철수.
동양
• 이란 사파비 왕조의 아바스 1세, 영국인 로버트 샤레이의 도움으로 군제개혁을 단행하고 이스파한으로 천도.
9월, 일본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
세계
• 신교도에게 신앙의 자유 인정하고
위그노 전쟁
(
1562년
~ ) 종결.
• 4월 13일. '
낭트 칙령(勅令)
' 발함.(
앙리 4세
)
• 러시아의
류리크왕조
단절, 보리스 고두노프 황제에 선출됨(~1605).
[숨기기]
1598년
우리나라
11.19.
노량해전
,
이순신
사망.
동양
8. 일본,
도요토미 히데요시
사망(1536~ )
조선에 주둔하던 왜군 전군 철수.
세계
프랑스,
낭트 칙령
발표 (신앙의 자유)
◈ 지식지도
관계
1598년
1598
낭트 칙령
부르봉가
위그노
(Huguenot)
종교 전쟁
(宗敎戰爭)
개신교
(改新敎)
16세기
(16世紀)
1590년대
1590년
1591년
1592년
1593년
1594년
1595년
1596년
1597년
1599년
1562년
근세
(近世)
역사 시대
(歷史時代)
1600년대
1500년대
1510년대
1520년대
1530년대
1540년대
1550년대
1560년대
1570년대
1580년대
1589년
1572년
1567년
1537
도요토미 히데요시
1545
이순신
(李舜臣)
1553
앙리 4세
1536
황윤길
(黃允吉)
1537
권율
(權慄)
1538
김성일
(金誠一)
1542
영규
(靈圭)
1542
류성룡
(柳成籠)
1544
조헌
(趙憲)
1547
원균
(元均)
1554
김시민
(金時敏)
1562
가토 기요마사
1564
윌리엄 셰익스피어
난중일기
(亂中日記)
1908
이순신전
(李舜臣傳)
1562
위그노 전쟁
1598
노량 해전
(露梁海戰)
1598
울산성 전투
1592
금산 전투
(錦山戰鬪)
1592
임진왜란
(壬辰倭亂)
1592
진주성 전투
1592
한산도 대첩
1593
행주 대첩
(幸州大捷)
1596
이몽학의 난
1597
정유재란
(丁酉再亂)
거북선
([龜船])
(미정의)
류리크왕조
•
선거이(宣居怡)
•
송희립(宋希立)
•
남이공(南以恭)
•
이지조(李之藻)
•
고니시 유키나가
•
절이도 해전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태평사
太平詞
가사
박인로
(17)
낭트 칙령
The Edict of Nantes
국제법(근대이전)
(7)
[회화] 메두사
카라바조 (1598년)
(3)
[회화] 바쿠스
카라바조 (1598년경)
(0)
◈ 참조 원문/전문
간양록
看羊錄
지리/여행기
강항(姜沆)
(48)
갑진만필 2절
甲辰漫筆 2節
총서
윤국형(尹國馨)
(1)
갑진만필 3절
甲辰漫筆 3節
윤국형(尹國馨)
(0)
난중일기(7)
무술년
고전 수필
이순신
(2879)
◈ 최근등록순
이완근 이학준의 희망의 문학
>
가사∙개화가사
2019.07.18
◈
태평사(太平詞)
【학습】
1598년(선조 31) 박인로(朴仁老)가지은 가사. 작자가 38세 때에 지은 작품으로 그의 문집인 ≪노계집 蘆溪集≫에 실려 있다. 작자가 경상도 좌병사 성윤문(成允文)의 지휘 아래 왜적을막고 있을 때 부산에 있던 적이 밤에 달아나자, 성윤문이 10여일 그곳에 머무른 뒤에 본영으로 돌아와 수군(水軍)을 위로하기 위하여 박인로로 하여금 이 가사를 짓게 한 것이다.
0
|
가사
,
노계집
,
박인로
,
태평사
,
1598년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