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의 태조가 한양으로 천도할 때부터 서울을 둘러싸 쌓은 성벽. 사적 제10호. 둘레 약 17㎞, 면적 59만 6,812㎡. 1396년(태조 5) 약 11만 8,000명이 공사에 참여해서 쌓았다.
조선을 건국한 후 태조는 1395년(태조 4) 9월 도성 축조 도감을 설치하고 정도전으로 하여금 성벽을 쌓을 곳을 돌아보게 했다. 이에 정도전은 백악산· 낙산· 목멱산· 인왕산에 직접 올라 이 산들의 능선을 연결하는 5만 9,500자의 성곽 부지를 결정했으며, 실제 공사는 그 이듬해인 1396년(태조 5) 1월 시작되어 49일 만에 완성되었다.
우선 전체 길이를 600자씩 나누어 각 구간마다 《천자문》의 글자 하나씩으로 이름을 정했더니 모두 97자가 쓰였다. 첫 글자인 천(天)자는 백악산 동쪽의 첫 구간에 쓰였으며, 맨 끝자인 조(弔)자는 낙산· 목멱산 · 인왕산을 거쳐 다시 처음의 백악산으로 돌아가 그 서쪽에 쓰였다.
600자씩인 공사 구간은 다시 100자씩 6개 구역으로 나뉘어 공사가 이루어졌는데, 각각의 구역에 책임자들을 임명해 자신들의 이름을 걸고 튼튼한 성벽을 쌓을 수 있도록 했다. 이 때 책임감을 심어주기 위해 각자가 맡은 구역의 성벽에 관직·고향·이름 등을 새겨 넣도록 했는데, 지금까지 남아 있는 일부 성벽들에서 그 흔적을 발견할 수 있다.
처음 성벽을 쌓을 때는 돌로 쌓는 석성과 흙으로 쌓는 토성으로 구분해 쌓았는데, 주로 산지에는 석성을 쌓고 평지에는 토성을 쌓았다. 이 당시 석성을 쌓는 데 쓰인 돌들은 거의 자연 그대로의 형태를 이용했지만 벽면은 수직을 이루었다. 이렇게 하여 완성된 석성의 총 길이가 1만 9,200자, 토성의 총 길이는 4만 3,000자였다. 서로 다른 두 형태의 이 성곽들은 각기 다른 높이로 쌓아졌는데, 석성은 대체로 15자 정도의 높이였으며, 토성은 25자 높이로 쌓았다. 물길이 나 있는 곳에는 물길을 가로질러 홍예를 쌓고 좌우에는 돌로 된 성곽을 쌓았다.
같은 해에 토성 을 석성으로 바꾸는 공사가 이루어졌으며, 4 대문과 4소문을 만들었다. 동쪽에 흥인지문(동대문), 서쪽에 돈의문, 남쪽에 숭례문(남대문), 북쪽에 숙청문이 4 대문으로 지어졌으며, 사소문으로는 북동쪽에 홍화문, 남동쪽에 광희문, 북서쪽에 창의문, 남서쪽에 소덕문이 지어졌다. 이 가운데 흥인지문 에만 성문을 보호하기 위한 담장인 옹성을 쌓았고, 숙청문에는 문루를 세우지 않았다(암문).
세종 때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는데, 1422년(세종 4)에 토성 부분을 석성으로 다시 쌓으면서 태조 때와는 다르게 직사각형으로 잘 다듬어진 돌을 사용했다. 1451년(문종 1)에도 수리가 이루어졌으나 임진왜란을 겪으면서 많은 곳이 무너지는 등 피해를 입었고, 1616년(광해군 8)에 그 일부를 수리했다.
1704년(숙종 30) 이후 약 5년 동안 대대적인 보수 공사가 이루어졌는데, 이 때 고쳐 쌓은 성곽들에는 정사면체의 잘 다듬어진 돌을 사용했기 때문에 이전 태조 때나 세종 때 쌓은 것들과 쉽게 구분할 수 있다. 1743년(영조 19)에도 일부분에 대한 보수를 했고, 1869년(고종 6)에는 동대문을 수리했다.
일제 강점기에 일본인들이 고의로 성곽과 성문을 무너뜨렸기 때문에 서울 성곽 중 지금까지 남아 있는 곳은 삼청동·성북동·장충동 일대뿐이고 8곳의 성문도 숭례문· 흥인지문 등 4곳만이 남아 있다.
사적으로서의 명칭은 지정 당시 서울성곽으로 정하였다가 2011년 현재의 명칭으로 바뀌었다.
2012년 11월 23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 신청자격이 부여되는 세계유산 잠정목록에 등재되었으나, 2017년 3월 등재 불가 통보를 밟으면서 불발되었다.
4대문과 4소문
4대문은
흥인지문 ·
돈의문 ·
숭례문 ·
숙정문이며
4소문은
혜화문 ·
소의문 ·
광희문 ·
창의문이다. 이 중 돈의문과 소의문은 멸실되었다.
또한 도성 밖으로 물길을 잇기 위해 흥인지문 주변에 오간수문과 이간수문을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