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삼척시 (三陟市)
1995년 3월 1일 행정 구역 개편으로 그전 삼척시와 삼척군이 폐지, 통합되어 신설된 시.
▣ 시민 참여 콘텐츠
조회수 : 7 (4 등급)
◈ 삼척도호부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 삼척도호부】본래 실직국(悉直國)인데, 신라 파사왕(婆娑王) 때 내항(來降)하였다. 지증왕(智證王) 6년에 주(州)로 하였고, 경덕왕(景德王)이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군(郡)으로 하였다. 고려 성종(成宗) 14년에 척주 단련사(陟州團練使)로 고쳤고, 현종(顯宗) 9년 무오에 현령(縣令)으로 강등시켰으며(宋나라 太宗 大中祥符 11년), 홍무(洪武) 10년 정사(丁巳)에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다.
삼척시(三陟市) # 삼척도호부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 강원도
 
◎ 삼척 도호부(三陟都護府)
 
 
사(使) 1인.
 
본래 실직국(悉直國)인데, 신라 파사왕(婆娑王) 때 내항(來降)하였다. 지증왕(智證王) 6년에 주(州)로 하였고, 경덕왕(景德王)이 지금 이름으로 고쳐서 군(郡)으로 하였다. 고려 성종(成宗) 14년에 척주 단련사(陟州團練使)로 고쳤고, 현종(顯宗) 9년 무오에 현령(縣令)으로 강등시켰으며(宋나라 太宗 大中祥符 11년), 홍무(洪武) 10년 정사(丁巳)에 지군사(知郡事)로 승격하였다. 본조 태조(太祖) 2년 계유(癸酉)에 목조(穆祖)의 외향(外鄕)이라 하여 부(府)로 승격하였고, 태종(太宗) 13년 계사(癸巳)에 예에 의하여 도호부로 고쳤다. 별호는 진주(眞珠)이다.
 
태백산(太伯山;府의 서남쪽에 있다. 신라에서 五嶽을 정할 때, 北岳으로 하였다. 사당이 있는데, 이름을 太伯大王堂이라 하였다. 여러 고을 사람들이 봄·가을에 제사를 지낸다), 두타산(頭타山;府의 서북쪽에 있다. 산허리 돌 사이에 우물 50이 있으므로, 이름을 五十井이라 한다. 크게 가물면 모두 마르고 <오직> 한 우물만 마르지 아니한다. 邑人들이 봄·가을에 제사지낸다), 황지(黃池;府의 서쪽에 있는데, 祭田을 두고, 所在官이 제사를 지낸다. 下流로 30여리쯤 되는 府의 서쪽에 이르러 작은 산을 뚫고 북쪽에서 산 남방으로 흘러 나가므로, 穿川이라 하니, 곧 경상도 洛東江의 근원이다) 사방 경계는 동쪽으로 바다 어귀에 이르기 5리, 서쪽으로 경상도 봉화(奉化)에 이르기 1백 2리, 남쪽으로 울진(蔚珍)에 이르기 84리, 북쪽으로 우계(羽溪)에 이르기 28리이다. 호수(戶數)가 5백 81호요, 인구가 2천 6백 13명이다. 군정은 시위군이 63명이요, 선군이 21명이요, 진군(鎭軍)이 21명이다. 진(鎭;府使로써 僉節制使를 겸하게 하며, 방패군이 15명이다) 토성(土城)이 4이니, 진(陳)·김(金)·심(沈)·박(朴)이요, 사성(賜姓)이 1이니, 진(秦)이다.(민간에서 전하는 말이다)
 
땅이 메마르고, 기후가 따뜻하며, 풍속이 해산물[海錯]로 생업을 삼고, 무예를 숭상한다. 간전(墾田)이 1천 9백 98결이요(논이 8분의 1에 넘는다), 토의(土宜)는 오곡·뽕나무·삼·모시·감·밤·배·모과·닥나무·칠이다. 토공은 꿀·밀[黃蠟]·잣·시우쇠·오배자·조피나무열매[仟椒]·호도·지초·석이·자단향·사슴포·여우가죽·삵쾡이가죽·노루가죽·곰의 털·돼지털·문어·대구·연어·상어·숭어·전복·홍합·미역이요, 약재는 승검초뿌리·바디나물뿌리[前胡]·인삼·나팔꽃씨[牽牛子]·대왕풀[白芨]·산무애뱀[白花蛇](가장 좋은 것)·담비쓸개·녹각교·북나무진[安息香]·석결명(石決明)·오미자이다. 토산(土産)은 가는 대·왕대이며, 사철(沙鐵)이 부(府)의 동쪽 6리 포정(浦汀)에서 나고, 백석(白石)이 부(府)의 서쪽 22리쯤 되는 고천산(古川山)에서 나는데, 옥과 같다.(티가 있어서 쓰지 못한다) 염분(鹽盆)이 40이요, 도기소(陶器所)가 1이니, 부의 북쪽 이리(泥里 上洞에 있다.(하품이다)
 
읍토성(邑土城;둘레가 5백 40보이다) 두타산 석성(頭陀山石城)이 부의 북쪽에 있다.(둘레가 1천 5백 18步이며, 안에 세 골짜기의 물이 함께 흘러서 한 내를 이루었는데, 사철 마르지 아니한다) 옥원역 토성(沃原驛土城;둘레가 1백 81보이며, 안에 창고 3칸이 있다. 샘이나 우물은 없다) 죽서루(竹西樓;읍성 가운데 있다. 八景이 있는데, ‘竹藏古寺-대나무 숲이 옛절을 감춤·岩控淸潭-바위가 맑은 못물을 침·依山村舍-산을 의지한 마을 집·臥水木橋-물에 누운 나무다리·牛背牧童-쇠등의 풀뜯기는 아이·隴頭饁婦-밭머리의 점심밥 먹이는 부인·臨流數魚-맑은 물에 임하여 고기를 셈·隔墻呼僧-담을 격하여 중을 부름’ 이라 하여, 옛 어진 이들의 詩가 많이 있다) 역(驛)이 5이니, 평릉(平陵;옛 이름은 平津이다)·사직(史直)·교가(交可;옛 이름은 橋河)·용화(龍化)·옥원(沃原)이요, 봉화가 5곳이니, 가곡산(可谷山)이 부의 남쪽에 있고(남쪽으로 蔚珍 亘出道山에, 북쪽으로는 임원산에 응한다)·임원산(臨院山;북쪽으로 초곡산에 응한다)·초곡산(草谷山;북쪽으로 양야산에 응한다)·양야산(陽也山;북쪽으로 광진산에 응한다)·광진산(廣津山;북쪽으로 江陵 임내 羽溪縣의 於乙達山에 응한다)
 
관할[所領]은 군(郡)이 1이니, 평해(平海), 현(縣)이 1이니, 울진(蔚珍)이다.
 
【원전】 5집 679면
삼척시(三陟市) # 삼척도호부
【인문】삼척도호부
(게재일: 2024.05.18. (최종: 2024.05.18. 14:17))  세종실록지리지 - 강원도
【작성】 궁 인창 (생활문화아카데미)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심화항목(D)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 마을 소식 (없음)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지식지도
원문/전문
시민 참여 콘텐츠
관련 동영상
▣ 주요 정보
▣ 참조정보
없 음
▣ 분류정보 (상위)
(C) 강원도의 마을
춘천시 (春川市)
원주시 (原州市)
강릉시 (江陵市)
동해시 (東海市)
태백시 (太白市)
속초시 (束草市)
삼척시 (三陟市)
홍천군 (洪川郡)
횡성군 (橫城郡)
영월군 (寧越郡)
평창군 (平昌郡)
정선군 (旌善郡)
철원군 (鐵原郡)
화천군 (華川群)
양구군 (楊口郡)
인제군 (麟蹄郡)
고성군 (高城郡)
양양군 (襄陽郡)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