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S 여러분! 반갑습니다.    [로그인]
키워드 :
지식놀이터 :: 김기림(金起林)
[광고]
[100 세트 한정] 행운의 2달러 스타노트+네잎클로버 컬렉션 35% 19,800원 12,800원
김기림 (金起林)
[1908 ~ ?] 시인· 평론가. 그는 이양하 · 최재서 등과 주지주의 문학 이론을 도입, 우리 나라에서 맨 처음으로 한국적 모더니즘 문학 운동을 선언하는 한편, 그 이론에 바탕을 둔 시의 시도를 꾀해 한국 시사(詩史)에 큰 공적을 남겼다.
김기림 (金起林) [1908 ~ ?] 시인· 평론가. 함북 성진 출생 일본의 니혼 대학·도호쿠 제국 대학을 졸업하고 경성 중학에서 영어· 수학을 가르쳤다. 1933년부터 9인회 회원으로 활동, 조선 일보 기자를 지냈다. 광복 후 월남하여 한때 좌익계 조선 문학가 동맹에 휩쓸렸으나 곧 전향(轉向)하였다. 이어 중앙 대학 강사, 서울 대학 교수 등으로 재직하다가, 6·25 전쟁 때 납북되었다. 그는 이양하 · 최재서 등과 주지주의 문학 이론을 도입, 한국적 모더니즘 문학 운동을 선언하는 한편, 그 이론에 바탕을 둔 시의 시도를 꾀해 한국 시사(詩史)에 큰 공적을 남겼다. 시집 《기상도》 《태양의 풍속》 《바다와 나비》 등 시론집 《시의 이해》 《시론》 등
◈ 지식지도 관계
김기림 (金起林) 1908 모더니즘 주지주의 (主知主義) 다다이즘 (dadaisme) 문예 사조 (文藝思潮) 스콜라 철학 표현주의 (表現主義) 프롤레타리아문학 현대문학 1909 미래주의 1930년대 1933년 1904 이양하 (李敭河) 1908 최재서 (崔載瑞) 1933 구인회 (九人會) -384 아리스토텔레스 1225 토마스 아퀴나스 1632 스피노자 1770 헤겔 (Hegel) 1882 제임스 조이스 1883 T. E. 흄 1885 사토 기요시 (佐藤清) 1888 T. S. 엘리엇 1903 정지용 (鄭芝溶) 1904 이태준 (李泰俊) 1905 박팔양 (朴八陽) 1905 유치진 (柳致眞) 1907 이효석 (李孝石) 1908 김유정 (金裕貞) 시문학파 1908 이무영 (李無影) 친일 문학인 42인 명단 1909 박태원 (朴泰遠) 1909 조용만 (趙容萬) 1909 김환태 (金煥泰) 1909 김유영 (金幽影) 1910 이상 (李箱) 1913 김현승 (金顯承) 1914 김광균 (金光均) 1917 윤동주 (尹東柱) 20C초 이종명 (李鍾鳴) 1926 해외 문학 연구회 1930 시문학 (詩文學) 1931 문예 월간 (文藝月刊)
▣ 원문/전문 (인기순, 1~10 위)
바다와 나비 근/현대 시 김기림(金起林) (62) 고 이상의 추억 근/현대 수필 김기림 (32) 기상도 氣象圖 근/현대 시 김기림 (29) 이상의 문학의 한 모 근/현대 수필 김기림 (9) 유리창 근/현대 시 김기림(金起林) (9) 곡 백범선생 哭 白凡先生 김기림 (0) 바다 김기림 (0)
◈ 참조 원문/전문
김기림에게 근/현대 수필 이상 (42) 태양의 풍속 (김기림시집) 근/현대 수필 이병각 (2) 김기림 시집 『새노래』 평 박인환 (0)
 
▣ 참조 카달로그
◈ 주요 언급 키워드
(5) 백과 1933년 (4) 백과 이태준 (4) 백과 1949년 (3) 백과 문학평론 (3) 평론 (3) 백과 현대문학 (3) 백과 흥사단 (3) 백과 1936년 (2) 백과 1939년 (2) 백과 T. S. 엘리엇 (2) 백과 김동명 (2) 백과 김동인 (2) 백과 김억 (2) 백과 모더니즘 (2) 백과 문예 사조 (2) 백과 신석정 (2) 백과 이광수 (2) 백과 장만영 (2) 백과 전무길 (2) 정지용 (2) 백과 주요섭 (2) 백과 주요한 (2) 백과 최재서 (2) 백과 한흑구 (2) 백과
◈ 참조 키워드
이상 (3) 백과 바다 (2) 백과
[광고]
제주 클레르 드 륀 펜션 제주시 애월읍, M 010-6693-3704
▣ 커뮤니티 (참여∙의견)
내메모
페이스북 공유하기 트위터 공유하기
기본항목(E)
내서재 추천 : 0
▣ 카달로그 작업
관련 의견 모두 보기
자유 의견
▶ 지식지도
원문/전문
▷ 시민 참여 콘텐츠 (없음)
▷ 관련 동영상 (없음)
▣ 참조정보
백과 참조
목록 참조
외부 참조
©2021 General Libraries 최종 수정일: 2021년 1월 1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