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3~1950] 시인. 영랑은 호이고, 이름은 윤식(允植)인데 《
시문학(詩文學)》에 작품을 발표하면서부터 아호인 영랑(永郞)을 사용했다.
잘 다듬어진 언어로 섬세한 서정을 노래하여 순수 서정시의 새로운 경지를 개척하였다.
1915년 강진보통학교를 졸업한 뒤 혼인했으나 1년 반 만에 부인과 사별했다. 1917년 휘문의숙(徽文義塾)에 입학했다. 이때부터 문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기 시작했다. 휘문의숙 3학년 때 3·1운동이 일어나자 고향 강진에서 거사하려다 일본 경찰에 체포되어 6개월간 대구형무소에서 옥고를 치렀다. 1920년에 일본으로 건너가 아오야마학원(靑山學院) 중등부에 입학했다. 그러나 1923년 관동대지진으로 인해 학업을 중단하고 귀국했다.
시작 활동은
박용철·
정지용·
이하윤(異河潤) 등과 1930년 3월에 창간된 《
시문학》에 시 「동백잎에 빛나는 마음」, 「언덕에 바로 누워」 등 6편과 「사행소곡칠수(四行小曲七首)」를 발표하면서 본격적으로 시작했다.
그는 일제 말기에 창씨개명과 신사 참배를 끝까지 거부하는 곧은 절개를 보여 주었다.
광복 후 은거 생활에서 벗어나 사회 활동에 적극 참여해 고향 강진에서 우익운동을 주도했고,
대한독립촉성회에 관여해 강진대한청년회 단장을 지냈다. 1948년에는 제헌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했으나 낙선했다. 1949년에는 공보처 출판국장을 지냈다. 1949년 전남 강진에서 서울로 이사한 이듬해 한국전쟁을 맞았다. 1950년 9·28 당시 서울에서 유탄을 맞고 사망했다.
묘지는 서울 망우리에 있고, 광주광역시의 공원에 시비가 세워졌다.